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말의 속살

우리말의 속살

(우리말 어원 에세이)

천소영 (지은이)
창해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말의 속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말의 속살 (우리말 어원 에세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글이야기
· ISBN : 9788979191905
· 쪽수 : 358쪽
· 출판일 : 2000-05-25

책 소개

이 책은 우리가 쓰는 언어를 통해 우리것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한편, 어떻게 하면 많은 사람들이 모국어를 사랑할 수 있을까 하는 취지에서 씌어졌다. 우리말의 어원을 재미있는 이야기식으로 더듬어 그 말의 밑바닥에 깔린 우리 민족의 사상과 정서, 나아가 의식구조의 저변을 다루고 있다.

목차

1. 생활 속의 우리말

임신·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요람기의 용어 |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유아의 언어 습득 |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부모 호칭어 | 엄마·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혼사 용어 | 풀보기·자리보기·댕기풀이
질병 용어 | 든 병·난 병·걸린 병
생사 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느질 용어 | 깁고·박고·호고·공그르고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음료수 용어 1 | 꽃 꺾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2. 우리말 속의 풍토성

명절·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명절·절후 용어 2 | 한가위·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명절·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농경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농경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농경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3. 모어에 대한 재인식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4. 우리말에 대한 반성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음식 이름 | 족발·주물럭·닭도리탕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5. 고유 이름 산책
지명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울다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고운 담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郡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서울과 한강 | ‘아리수’ 가의 새마을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여성의 이름 | 언년이·영자·정숙·한송이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6. 지명 전설을 찾아서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 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탄천과 동방삭 | 수청水淸과 탄천炭川
수원과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서산과 태안반도 | 서해 낙조에 어리는 백제의 미소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영일과 호미등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저자소개

천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문학박사.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역임. 중국 북경외국어대학교(北京外國語大學) 교환교수, 중국 북경대학 외국어대학원(北京大學 外國語大學院) 강수, 중국 길림대학(吉林大學) 주해(珠海) 캠퍼스 방문교수 역임. 저서로는 『우리말의 속살』, 『우리말의 문화 찾기』, 『한국어와 한국문화』, 『한국어의 문화전통』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