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중 언어문화론

한·중 언어문화론

(어원에 담긴 한·중 민족의 삶과 뿌리, 201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허세립, 천소영 (지은이)
대원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중 언어문화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중 언어문화론 (어원에 담긴 한·중 민족의 삶과 뿌리, 201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36908317
· 쪽수 : 215쪽
· 출판일 : 2014-12-26

책 소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편찬되었다. 하지만 중국어를 접해 보려는 한국인에게도 양국의 언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목표 언어만의 습득으로는 소정의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목차

머리말
1장 언어와 문화
언어의 이해
1. 말〔言語〕에 대한 인식
2. 말이란 무엇인가
3. 말의 뿌리〔言語系統論〕
1) 공통 조어(祖語)와 어족(語族)
2) 한국어와 중국어의 계통설
인도·유럽 어족(Indo-European family)/핀·우그리아 어족(Fino-Ugric family)/ 드라비다 어족(Dravian family)/오스트로네시아 어족(Austronesian family)/ 아프리카·아시아 어족(Afro-Asiatic family)/니제르·콩고 어족(Niger-Congo family) 기타
문화의 이해
1. 문화란 무엇인가
2. 언어와 문화
1) 언어와 문화와의 관계
2) 언어와 민족성
3) 문화적 의사소통에 대한 바른 이해

2장 한국어와 한국문화

한민족(韓民族)의 기원
한국·한국문화의 특성
한국의 언어문화
1. 한국어의 흐름
2. 고유문자 ‘한글’의 위상
3. 언어문화의 특성
4. 언어문화의 이해
1) 한국인의 정서 용어(情緖用語)
2) 어원(語源)으로 보는 의식 구조
‘무지개’의 예/‘아름다움’의 예/‘고맙습니다’의 예
한국어의 분야별 특징
1. 말소리〔音韻論〕 에서의 특징
1) 분절음 체계에서
2) 운율 체계에서
3) 음절(音節) 구조에서
4) 음상(音相)에서
2. 형태·어휘(語彙) 에서의 특징
1) 단어 형성법〔造語法〕의 발달
2) 한자어의 유입과 그 문제점
3) 한자어와 고유어, 그리고 외래어
4) 고유어의 감각성
3. 문장〔文法〕 에서의 특징
1) 한국어의 기본 문형(文型)
2) 서술어 중심의 문장
3) 문법 요소(조사, 어미)의 기능
4) 문법의 범주
4. 담화·화법(話法)에서의 특징
1) 상대 중심의 상황 의존형
2) 존대 의사의 표현〔敬語法〕
3) 우회적 간접화법
4) 완곡어법(婉曲語法)의 여운
5) 한국인의 제3의 언어
5. 방언(方言) 에서의 특징

3장 중국어와 중국문화

언어행위와 문화
중국문화의 특성
1. 인도(人道)를 중시하는 사상문화
2. 예치(禮治)를 중시하는 정치문화
3. 집단을 중시하는 윤리문화
4. 직관적 사유를 중시하는 인지(認知) 문화
5. 도덕형 문화라기보다 윤리형 문화
한국인이 보는 중국
1. 가깝고도 가까운 나라
2. 외양과 몸놀림
3. 실속형과 과시형
4. 자주성과 배타성
5. 다양성과 계층성
중국어의 분야별 특징
1. 중국 표준어〔普通話〕와 방언
2. 중국 문자〔漢字〕의 특징
3. 말소리〔聲韻〕 에서의 특징
1) 음절(音節)의 구조
성모(聲母)/운모(韻母)/성조(聲調)
4. 어휘에서의 특징
1) 음절의 수에서
2) 어휘의 구조에서
3) 외래어의 수용 면에서
4) 방언 어휘에서 ― 중국 대만, 홍콩과의 방언 차이
어휘의 존재 여부/형동실이(形同實異)/실동형이(實同形異)
5. 문법에서의 특징
1) 제한된 형태 변화
2) 어순〔語序〕 및 허사(虛詞)의 역할
6. 담화·화법에서의 특징
1) 의도된 함축성(含蓄性)
2) 전통적 언어 예법
다례경인(多例敬人)/비기존인(卑己尊人)/손기리인(損己利人)

4장 한·중 양 국어 비교의 실제

성조(聲調)에서
형태 면에서
어휘 면에서
1. 한국 한자어
2. 중국 한자어
3. 동일한 어휘의 의미 변질
4. 동일한 의미의 어형 변질
5. 한자어 의미의 세분화 정도
6. 어휘의 파생적 의미 차이
7. 외국어의 수용 태도
문장 표현〔文法〕에서
1. 어순과 문장 구조
1) 어순(語順)
2) 문장 구조
3) 존대의 표현〔敬語法〕
담화·화용(話用) 면에서
1. 언어 습관에 의한 표현의 차이
2. 사유 및 인식의 차이
1) 주·객관적 관점의 차이
2) 지시 대명사 기준점의 차이
양 국어의 방언 차이에서
양 국어의 언어 규범에서
1. 한국어의 어문정책
2. 중국어의 어문정책
1) 중국어 규범화의 배경
2) 푸퉁화 및 간화자 정책
결 론
참고 문헌

저자소개

천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문학박사.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역임. 중국 북경외국어대학교(北京外國語大學) 교환교수, 중국 북경대학 외국어대학원(北京大學 外國語大學院) 강수, 중국 길림대학(吉林大學) 주해(珠海) 캠퍼스 방문교수 역임. 저서로는 『우리말의 속살』, 『우리말의 문화 찾기』, 『한국어와 한국문화』, 『한국어의 문화전통』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허세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박사(文学博士). 길림대학교 주해캠퍼스(吉林大学珠海学院)한국어학과 교수. 저서로는 『중국어 의사소통의 화용론적 연구』, 『한중언어 문화론』, 『중국대학의 한국어 교육 연구』, 『현대한국어 초급1』, 『현대한국어 초급2』, 『현대한국어 중급1』, 『교과과정·교재·교수법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