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족주의
· ISBN : 9788979402926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8-08-30
책 소개
목차
근현대 한국지성사대계 총서를 출간하며
서론
제1장 근대 민족주의의 등장과 민족주의 연구
제2장 근대 민족주의의 추동력: 인민주권과 평등사상
제1부 한국인의 근대적 민족의식 각성과 근대 민족주의 형성의 역사적 조건
제1장 일본에 의한 간접적 서양 근대 수용
제2장 한말 ‘민족(民族)’ 개념의 등장과 민족의식의 각성
제3장 한말 국권상실의 위기의식 속에 유보된 인민주권과 민주정(民主政) 논의
제2부 ‘병합(倂合)’ 이후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와 항일 민족주의의 발현
제1장 일본 제국주의의 ‘병합(倂合)’과 한국 근대 민족주의
제2장 ‘병합(倂合)’과 일시동인(一視同仁)의 동화주의(同化主義)
제3장 민족적 저항의식의 현재화와 3.1운동을 통한 민족주의의 발현
제3부 민주공화주의 민족주의 항일 변혁이념의 분화
제1장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통해서 정립된 민주공화주의 민족주의 이념과 분화
제2장 자본주의적 실력양성을 통한 근대 국가 건설 지향의 민주공화주의
제3장 반제국주의(反帝國主義) 반봉건(反封建) 근대 국가 건설 지향의 민주공화주의
제4부 민족 ‘해방(解放)’과 민족분단 그리고 대한민국의 민족주의
제1장 주어진 ‘해방(解放)’과 분출한 ‘민족(民族)담론’
제2장 해방정국시기 한국 민족주의의 지향과 혼돈
제3장 분단체제와 한국 민족주의
결론 해방 전후의 연속성 속에서 본 한국 민족주의 재고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