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88979402957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18-08-30
책 소개
목차
『근현대 한국지성사대계 총서』를 출간하며
서론
제1부 한말 ‘동양’ ․ ‘아시아’ 담론과 ‘민족’의 발견
제1장 중화(中華)와 문명화(civilization), 그리고 ‘동양(東洋)’
제2장 청일전쟁 이전 ‘아시아’ ․ ‘동양’ 담론과 중립화론
제3장 러일전쟁 전후 ‘인종주의’ 담론과 삼국제휴론
제4장 계몽운동기 ‘보종(保種) ․ 보국(保國)’론과 ‘국민(國民)’ ․ ‘민족(民族)’
제5장 동아시아 3국의 근대국가로의 전환과 ‘동양(東洋)’
제2부 일제시기 조선 지식인층의 ‘아시아’ ․ ‘동양’ 인식
제1장 식민지 조선의 ‘아시아’ ․ ‘동양’
제2장 1920년대~1930년대 초반 세계정세, 약소민족해방운동 인식
1. 3 ․ 1운동 전후 세계관 변화와 ‘세계대세(世界大勢)’론
2. 1920년대~1930년대 초반 약소민족해방운동 인식의 특성
제3장 1920년대 중반~1930년대 초반 중국 국민혁명운동 인식과 그 편차
제4장 중일전쟁 발발 후 일제의 ‘동아신질서’론과 식민지 조선 지식인층의 반응
제5장 연대의식과 내적 균열, 그리고 식민지 전시(戰時) 협력
제3부 해방 이후 한국사회의 ‘아시아’ ․ ‘제3세계’ 인식과 변동
제1장 해방과 탈식민, 그리고 냉전(冷戰)과 분단(分斷) 속의 ‘아시아’
제2장 한국전쟁 이후 ‘제3세계’ 인식
1. 한국전쟁 발발과 ‘제3세계’ 민족주의 운동 인식의 변동
2. 1950년대 후반 국제정세와 ‘제3세계’ 인식의 변화
제3장 4월혁명의 진동: ‘제3세계’ 민족해방운동과의 연대의식
제4장 5 ․ 16쿠데타와 ‘제3세계’ 민족주의: ‘억압-포섭-호응’의 변주
제5장 탈식민 민족주의로부터 근대화 민족주의에의 길
결론
참고문헌 229
색인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