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식물 일반
· ISBN : 9788979471779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0-10-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인체병과 팬데믹
● 병이란 무엇일까? ● 감염병의 종류 ● 감염병의 경보 단계 ● 페스트 팬데믹
● 스페인독감 팬데믹 ● 신종플루 팬데믹 ● 코로나19 팬데믹
제2부 식물병과 식물의학
● 식물병이란 무엇일까? ● 식물병은 인체병과 어떻게 다를까?
● 세계 100대 발명품 ‘현미경’ ● 생명체가 아닌 병원체 ‘바이러스’
● 식물병원체는 사람에게 전염될까? ● 식물도 상처를 입으면 고통을 느낄까?
● 식물병은 어떻게 진단할까? ● 식물병은 어떻게 치료할까? 등
제3부 식물병 에피데믹과 팬데믹
● 악마의 저주, ‘곡류(호밀과 수수) 맥각병’
● 케네디 가문을 탄생시킨 ‘감자 역병’
● 포도나무에 한꺼번에 찾아온 ‘세 가지 재앙’
● 두 집 살림하는 ‘잣나무 털녹병’
● 스리랑카 산업을 바꾼 ‘커피나무 녹병’
● 미국밤나무 숲을 황폐화시킨 ‘밤나무 줄기마름병’
● 남산 위에 저 소나무를 위협하는 ‘소나무재선충병’
● 미국 검역망을 뚫은 ‘감귤나무 궤양병’
● 진딧물이 옮기는 ‘감귤나무 트리스테자병’
● 로마의 신으로 군림했던 ‘밀 줄기녹병’
● 나무좀과 공생하는 ‘느릅나무 시들음병’
● 코코야자나무를 넘어뜨리는 ‘코코야자나무 카당카당병’
● 코코야자나무 킬러 ‘코코야자나무 치사누렁병’
● ‘벵골 대기근’을 일으킨 ‘벼 깨씨무늬병’
● 통일벼를 몰락시킨 ‘벼 도열병’
● 바나나 멸종설을 만든 ‘바나나 시들음병’
● 사과나무와 배나무를 불태우는 ‘과수 화상병’
● 미국 옥수수밭을 휩쓴 ‘옥수수 깨씨무늬병’
● 늙은 나무만 공격하는 ‘참나무 시들음병’
● 상처에서 피가 흐르는 ‘키위나무 궤양병’
참고문헌 및 자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간 문명이 자연과의 조화로운 상생의 길을 파괴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우연히 인간 영역을 엿보게 됐고, 이로써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블루오션(blue ocean)을 만난 셈이 됐다. (중략) 늦었지만 인류는 지구 생태계에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현명함과 지혜로움을 발휘해야 한다. 지구 생태계를 파괴하는 그동안의 삶의 자세를 성찰하고 기후변화를 늦추는 세계적 운동을 전개해서 지구 생태계에서는 누구나 공존해나가는 생물 다양성을 통한 생태 백신으로 새로운 질병 대란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인체병은 세균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곰팡이가 일으키는 병은 몇 종류가 되지 않고 인체에 치명적이지도 않지만 완치가 잘 되지 않는다. 그러나 식물병은 곰팡이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세균이 일으키는 식물병은 종류가 많지 않지만 치료가 더 어렵다. 물론 인체병원균은 식물병을 일으키지 않을 뿐 아니라 식물병원균이 인체병을 일으키는 경우도 거의 없다.
소나무가 송충이에 의해 공격을 받게 되면 특정 화학물질을 배출해서 기생성 말벌을 유인하고, 모여든 말벌들은 송충이 유충 속에 알을 낳는다. 이 알들은 부화해서 송충이 유충을 먹고 성충으로 자라기 때문에 결국 송충이는 죽게 된다. 힘없는 소나무가 기생성 말벌을 이용해 송충이에게 복수를 하는 신비로운 자연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