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세무/회계
· ISBN : 9788980363674
· 쪽수 : 1184쪽
· 출판일 : 2015-05-20
책 소개
목차
PART1 자금관리 및 계획 수립
제1장 기업자금 개요
제2장 자금수지관리 및 계획 수립
PART2 금융환경과 금융시장의 이해
제1장 기업의 금융환경
제2장 자금조달을 위해 필요한 개념과 지식
제3장 자금의 운용과 투자금융상품
PART3 단기운영자금
제1장 단기운영자금조달 개요
제2장 기업여신 상품
제3장 전자결제(B2B)상품-결제성 상품
제4장 수출입 관련 금융상품
PART4 중장기 간접금융
제1장 시설자금대출
제2장 Syndicated Loan(신디케이티드론)
제3장 리스 및 할부금융
PART5 중장기 직접금융
제1장 자본조달과 자본시장
제2장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제3장 주식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PART6 특수금융
제1장 Project Finance(프로젝트파이낸스, PF)
제2장 선박금융
제3장 자산유동화를 통한 자금조달
제4장 M&A금융
PART7 외환관리
제1장 외환거래와 환율
제2장 환위험관리
제3장 현물환거래/선물환거래/외환스왑
제4장 통화선물
제5장 통화스왑
제6장 환변동보험
제7장 통화옵션
PART8 중소·벤처기업 금융
제1장 중소기업정책자금
제2장 중소기업의 민간자금 조달
PART9 신용평가와 가치평가
제1장 신용평가
제2장 기업가치평가
제3장 투자사업 타당성평가
부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 리 말>
최근 수년 동안 기업의 자금관리 실무에 대한 훈련과정이 여러 교육기관에서 신설되는 등 자금업무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에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도 자금 부문이 추가됨으로써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국가차원의 직무표준화 대상에 포함되었다. 앞으로 자금업무에 대한 직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관련 교육프로그램과 자격시험 등이 더욱 다양하게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1년 본 서 ?기업자금관리실무?가 출간된 이후 기업의 경영환경과 금융시장에도 많은 변화가 초래되었다. 전자금융의 발달에 의한 지급결제수단의 다양화와 편의성 증진 및 전자단기사채 제도 도입, IPO(신규상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유상증자 제도 변경, 금융상품의 진화에 따른 투융자복합금융의 발전, 중소?중견기업의 범위 개편 및 정책금융 다양화 등……
이러한 금융시장?금융상품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기업자금관리실무?의 개정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이를 위한 공동저자들의 모임에서는 관련 실무지식을 좀 더 체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논의 끝에 전체 구성내용에 약간의 변화를 주게 되었다. 자금조달수단을 전통적 기준에 따라 단기운영자금, 중장기간접금융 및 중장기직접금융으로 구분해왔으나 이번 개정판에서는 PART 6. 특수금융을 신설하여 복합적인 성격의 Project Finance, 선박금융, 자산유동화 및 M&A금융을 별도로 묶어서 서술하였다. 아울러 개별 금융상품에 대해 좀 더 심도 있게 서술하고자 특정 분야의 전문가 몇 분을 추가하여 기존 집필진을 한층 보강하였다.
본 서 개정판 ?기업자금관리실무?가 기업 재무인력의 실무매뉴얼로서 자금관리 업무역량을 한 단계 더 높이고 회계 및 자금업무 모두를 아우르는 종합적 재무통찰력을 갖추도록 하는 가이드북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아낌없이 자문을 해주시고 자료를 제공해주신 많은 분들에게 진심을 다해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다수의 저자로 구성된 집필진을 하나로 조율해가며 출간작업을 원만하고 치밀하게 진행해주신 ㈜영화조세통람의 관계자 여러분들께도 지면을 통해 고마움을 전하고자 한다.
2015년 5월
공동저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