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더스트리 5.0

인더스트리 5.0

(지속성장하는 혁신적 미래산업의 이해)

이인식, ESIR, 줄리안 M. 뮐러, 이경전, 송욱기, 문형남, 이명호, 한승전, 양영진, 양재수, 박진호 (지은이), 정서현, 송경모 (옮긴이)
인문공간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더스트리 5.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더스트리 5.0 (지속성장하는 혁신적 미래산업의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842981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3-11-28

책 소개

인간 중심, 자연 중심에 목표를 둔 미래산업의 10대 기술을 소개한 공학개론서이다. 유럽연합(EU)은 2020년 <인더스트리 4.0>(이하 4.0)의 연장선상에서 그 한계를 보완하고 새 방향의 매력적인 경제 패러다임인 <인더스트리 5.0>(이하 5.0)을 발표했다.

목차

책을 내면서

1부 인더스트리 5.0이란 무엇인가?

1장 인더스트리 5.0 _유럽의 혁신적 비전

-지속 가능한 산업을 향한 체계적 변화
1. 유럽은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야 한다
2. 산업의 새로운 비전: 인더스트리 5.0
3. 인더스트리 5.0의 거버넌스
4. 우리의 행동 촉구

2장 인더스트리 5.0의 구현 기술
-유럽 기술 리더의 워크샵 보고서
1. 인더스트리 5.0의 구현 기술 요약
2. 인더스트리 5.0을 구현하는 6대 기술
3. 도전 과제와 구현 수단
4. 목표와 기술적 구현 수단, 해결 과제

2부 인더스트리 5.0의 10대 기술

1장 Human-Machine-Interaction(HMI)

_사용자 중심의 지속가능한 인간 기계 상호작용
1. 인간과 컴퓨터, 대화 형식의 상호작용
2. 인간과 컴퓨터의 대화, 프라이버시가 필요
3. 연합학습 기술 사용
4. 대화→거래, 거래→자동 행동
_인간 기계 상호 작용이 에이전트화(化)

2장 Metaverse
_신인류의 호기심, 메타버스의 본질
1. 메타버스는 지나가는 열풍인가
2. 메타버스 활용 분야와 혁신 기술
3. 메타버스는 미래의 성장 동력

3장 Cobot
_인간과 협업하는 코봇의 미래
1. 코봇에 대한 이해
2. 코봇의 종류, 장점과 단점
3. 코봇 적용 산업, 코봇 현재와 미래

4장 Brain-Machine-Interface(BMI)
_뇌-기계, 생각만으로 기계를 움직인다
1. BMI 기술의 개념
2. BMI 기술의 발전
3. BMI 기술의 활용
4. BMI 기술의 미래

5장 Artificial Intelligence(AI)
1. 왜 인공지능 기술이 중요한가?
2. AI, 인더스트리 5.0의 핵심 기술
3. 인더스트리 5.0이 추구하는 대량 개인화 생산
4. 인더스트리 5.0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요소
5. EU의 인공지능 법과 윤리
6. 한국의 제조 혁신과 인공지능
7. 인간과 기계의 협업 중심의 인공지능 개발 필요

6장 Bio-Inspired Technology(생물영감기술)
_청색기술과 지속 가능 발전 기술
1. 청색경제와 청색기술
2. 청색기술 사례
3. 청색기술 산업화

7장 Smart Material(스마트 물질)
_지속 가능한 물질 및 에너지 순환
1. 산업혁명과 재료
2. 4차 산업혁명과 재료
3. 5차 산업혁명과 재료
4. 지속 가능한 물질 및 에너지 순환
5. 스마트 물질의 미래

8장 Digital Twins
_기존 시스템을 스마트화하는 기술
1. 디지털트윈 기술의 등장
2. 디지털트윈이란 무엇인가?
3. 디지털트윈은 왜 필요한가?
4. 디지털트윈은 어떻게 구현하나?
5. 한국의 디지털트윈 정책 제언

9장 Cyber Safe Data Communication
_정보보안 및 해킹과 컴퓨터 데이터 조작
1. 컴퓨터 네트워킹과 컴퓨터 보안의 이해
2. 사이버 보안과 공격 형태
3. 해킹의 종류와 해킹 프로세스
4. 서버 해킹과 컴퓨터 데이터 조작

10장 Energy
_탄소중립형 에너지 대전환과 우리의 대응
1. 불타는 세계의 자본주의
2. 기후변화, 에너지의 냉혹함
3. 에너지 도전_한국은 ‘고립된 섬’
4. 에너지 주도권, ‘자원보유국→기술보유국’
5.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의 과제

저자소개

양재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교수이자 정보융합기술창업대학원 정보통신학과 주임교수. 경기정보산업협회장 및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부회장. 1988년 뉴저지공과대학 전기 및 컴퓨터공학과 공학박사를 취득했다. 정보통신기술사(1996년), 기술고등고시(통신직,1980년)에 합격해 공직에 재직했으며, 이후 KT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다. 경기도청 정보화특별 보좌관으로 활약했다. 방송•통신 인프라구축 및 IT월드컵 성공적 개최로 체육 포장(2002년), 대통령 표창장(2000년)을 받았다. 저서는 《정보융합기술과 기업가정신》(21세기사) 외 10여 권을 출간했고, 논문은 〈영상감시장치 위변조 방지를 위한 검증 모듈의 암호화 키 생성 및 펌웨어 구현에 관한 연구〉 등 9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이경전 (감수)    정보 더보기
2003년부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에서 교수(경영학과, 빅데이터응용학과, 첨단기술비즈니스학과)로 재직 중이며,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빅데이터 연구센터와 인공지능 & 비즈니스 모델 연구소(AI-BM.net) 소장을 맡고 있다. 2017년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회장을 지냈고, 한국경영정보학회 AI 연구회 회장, 한국경영연구원(KMDI) AI 비즈니스응용연구회 회장으로 재임 중이다. 카이스트(KAIST)에서 경영과학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고, 서울대에서 행정학 석박사를 수료했으며, 카네기멜론대학(Carnegie Mellon University), UC 버클리(Berkeley),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초빙 과학자·교수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버튼터치하트』(2018), 『AI 에이전트와 사회 변화』(2024), 『Life with Intelligence: AI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2024) 등이 있으며, 미국인공지능학회(AAAI)로부터 네 차례(1995, 1997, 2020, 2024년) 혁신적 인공지능 응용상(IAAI Award)을, 전자정부유공자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AI Magazine≫에 세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100편 이상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하고 다양한 공공기관과 기업의 자문 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유튜브 ‘경전TV’ 채널을 개설하고 있다. 공학한림원 회원이다.
펼치기
이인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ESG청색기술포럼 대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노무현 정부), 문화창조아카데미 총감독(박근혜 정부) 역임. 과학칼럼니스트. 신문에 560편, 잡지에 170편 이상 기명칼럼을 연재하고, 중고등 교과서와 지도서에 160여 편의 글이 수록되었다. 저서 53권을 펴내고, 제1회 한국공학한림원 해동상, 제47회 한국출판문화상, 2006년 <과학동아> 창간 20주년 최다 기고자 감사패, 2008년 서울대 자랑스런 전자동문상을 받았다.
펼치기
문형남 (감수)    정보 더보기
○ 현,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 글로벌융합학부 교수 (전 경영전문대학원 주임교수) ○ 겸직: (사)한국구매조달학회 회장, (사)지속가능과학회 공동회장, 한국AI교육협회 회장, ㈜ESG메타버스발전연구원 원장/대표이사, (사)4차산업혁명실천연합 공동대표, K-헬스케어학회 회장, 대한민국ESG메타버스포럼 의장, 인공지능국민운동본부 공동의장, 한국공정거래조정원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CP) 등급평가위원, 산림청 정책자문위원, 조달청 정책연구 심의위원, 한국공항공사 사회공헌위원회 위원,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ESG위원회 위원, 세종도시교통공사 ESG위원회 위원, 서울특별시립 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ESG·WT(복지기술) 자문위원 ○ 역임: (사)한국생산성학회 회장, (사)지속가능과학회 2대 회장, (사)대한경영학회 회장 ○ 학력: 성균관대학교 경영학사, 고려대학교 경영학석사(AI전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공학박사(AI전공) 과정 수료, 성균관대학교 경영학박사,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박사과정(북한IT전공) 수료 ○ 경력: 서울공군기지 서울공항관리대 운영계장(공군장교) 3.5년, 동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애널리스트) 5년, 매일경제 기자 7년, 숙명여대 교수 24년 ○ 전문 분야: AI융합비즈니스, IT융합비즈니스, 구매조달, 이동통신, 4차[5차]산업혁명 ○ 연구·교육 경력: 인공지능(AI) 40년, ESG 20년 ○ 교환교수: 미국 미시간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U of M) 교환교수(2007), 캐나다 캘거리대학교(University of Calgary) 교환교수(2022.7.~2023. 8.) ○ 수상·수훈: 산업자원부장관 표창과 감사원장상 등 장관상 6회 수상, 근정포장 수훈(2021) ○ 저서: ‘4차 산업혁명과 북한’, ‘핫 트렌드 2019’, ‘4차 산업혁명 마스터 플랜’, ‘대한민국 미래보고서’, ‘4차산업혁명과 ESG혁명’, ‘세상을 바꾸는 메타버스’(2022) 외 다수 ○ 최초 기록: ‘IT융합비즈니스’, ‘AI융합비즈니스’, ‘AI 대중화’, ‘AI 생활화’, ‘AI 일상화’, ‘AI전환(AX)’, ‘ESG전환(EX)’, DX + AX + EX = ‘3X’, ‘AI ESG 융합‘ 등의 용어를 만들어서 처음으로 사용하고 강조하고 있으며, 생성형 AI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공헌: 1) 다년간 행정기관 홈페이지 평가·컨설팅 정부용역을 사업책임자로서 수행하여 대한민국 전자정부가 세계 최고 수준이 되는데 기여. 2) 국회 토론회 주최와 주제 발표 등을 통해서 우리나라가 세계최초로 5G 상용화하는데 기여. 3) 인공지능(AI) 교육을 통해 ‘AI 대중화’와 ‘AI 일상화’를 실현하여 우리나라가 AI강국이 되는데 기여하려고 함.
펼치기
줄리안 M. 뮐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의 슐로스 제에부르크 사립대학(Privatuniversitat Schloss Seeburg) 교수. 기계 공학과 산업 공학 및 경영학에서 석사 학위,독일 프리드리히-알렉산더 에를랑겐-뉘른베르크 대학교(Friedrich-Alexander University Erlangen-Nurnberg)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인더스트리 4.0, 기술혁신 경영, 공급망 관리,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등이다.
펼치기
한승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재료연구원에 책임연구원으로 1997년부터 재직 중이며, 2018, 2022년 일본 도호쿠대 금속재료연구소 초빙교수를 지냈다. 2019년, 2021년 과학기술정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저서는 물질과 재료에 관한 교양서 《모던알키미스트》가 있다. 1990년 부산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 1997년 KAIST 재료공학과를 졸업했다. 2019년 과학기술진흥공로로 과학기술정통부 장관표창, 2021년 출연연 우수연구성과로 과학기술정통부 장관상 등을 수상했으며, 한국 동합금 연구회에서 수여하는 2014년 해봉상, 2016년 동천상을 수상했다. 2021년 과학기술정통부에서 주관하는 국가연구개발 100선에 선정, 2021년 대한금속·재료학회에서 수여하는 동국송원학술상을 받았다.
펼치기
박진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 연구부총장 겸 켄텍연구원장, 영남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 겸 산학연구처장, 산업통상자원R&D전략기획단 에너지산업 MD, 지식경제R&D 태양광 PD. 1992년 University of Florida에서 화학공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반도체 분야 기업 경력과 교육 및 연구 경험을 통해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에너지분야 관련 지식을 습득했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과 교육 관련 12권의 전문 서적을 집필했고 신문, 잡지 등에 많은 기명 칼럼을 기고했다. 국제에너지기구 태양광발전분과 한국대표, 세계공학한림원 에너지위원회 위원장, 국가에너지위원회 위원 등을 거치면서 글로벌 에너지 대전환 정책 관련 활동도 활발히 전개하였다.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으로서, 2018년 과학기술훈장 도약장을 수훈하였다.
펼치기
ESIR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래지향적이고 혁신적인 연구 및 혁신 정책을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 위원회에 증거 기반 정책 자문을 제공하는 전문가 그룹이다. ESIR은 지속가능성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다루며 각자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16명의 국제적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 소속된 전문가들은 학계, 기업, 싱크탱크, 공공 및 민간 부문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에너지, 평등, AI 및 디지털화, 혁신 생태계, 경제, 청소년, 건강 및 지속가능성 등 광범위한 전문 분야에서 활동한다. 이 그룹은 특히 연구 결과물 생성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에서 공동창조를 강조한다.
펼치기
송욱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The Pastel Korea 대표이사 (주)지에프리테일 회장 블루어스플러스(주) 대표이사
펼치기
양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 대표, 세상과 사람을 이롭게 하기 위해 KAIST와 KAIST 김탁곤 교수와 함께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를 공동 설립했다. 김탁곤 교수의 40여 년간 연구성과와 박사 43명, 석사 75명을 배출하면서 체계화된 이론과 프로젝트 수행 경험 및 KAIST로부터 이전받은 지식재산권을 바탕으로 디지털트윈플랫폼인‘WAISER’제품화하여 복잡하고 어려운 사회문제와 산업문제들을 지혜롭게 해결해 나가고 있다. 20년간 아인스에스엔씨(SI기업)를 경영했으며, 디지털트윈협동조합 이사장과 한국데이터산업협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송경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4년에 전라북도 김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동(同) 대학원에서 기술혁신과 진화의 경제학 전공으로 경제학 박사학위(1998)를 취득했다. 소년 시절부터 조부(강암 송성용, 1913~1999)와 부친(남강 송하철, 1937~2020)으로부터 한문과 서예를 수학했다. 청년기에는 현대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여러 성과를 흡수하는 한편, (舊)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現 한국고전번역원) 과정을 수료하고, 한자문화권의 유(儒)·불(佛)·선(仙) 여러 고서(古書) 원문과 서구의 주요 인문서들을 두루 천착했다. 오랜 기간 증권 신용평가와 가치평가, 그리고 증권시장 자문과 중개업에 몸담아 오면서 기업 현장에 대한 다양한 체험을 쌓았다. 지금은 경제학 & 경영전략 연구개발과 컨설팅업을 영위하는 미라위즈의 대표로 일하고 있으며,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의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또한 비영리법인 (재)강암서예학술재단의 상임이사로서 강암(剛菴) 송성용 선생의 서예와 인문 정신을 구현하기 위한 제반 사업을 경영하고 있다. 《사업타당성 평가실무》, 《기업자금관리실무(공저)》(이상 조세통람), 《기술금융의 이해와 실무(공저)》, 《기술경영학개론(공저)》,《기술경영회계(공저)》(이상 탐진) 등 여러 실무 전문서를 냈고, 관련 학술논문들도 꾸준히 발표해 왔다. 《CEO가 빠지기 쉬운 5가지 유혹》(페트릭 렌시오니 지음, 위즈덤하우스, 2000) 등 다수의 경제경영서를 번역했고, 특히 2002년 《피터 드러커: 현대 경영의 정신》(존 플래허티 지음, 예지) 번역을 계기로 피터 드러커 연구에 줄곧 매진하면서, 사업·물질의 세계와 지식·정신의 세계 사이의 불화와 단절을 극복하는 새로운 지식의 길을 줄곧 모색해 왔다. <조선일보>, <한국경제신문>, <테크엠> 등 다양한 매체에 정기 칼럼을 기고하고 각급 기업체와 단체 강연을 통해 피터 드러커의 사상과 현대 사회경제 지식의 최신 트렌드를 알리는 데 주력해 왔다. 경영교양서로 《피터 드러커로 본 경영의 착각과 함정들》(을유문화사, 2016), 《세계사를 뒤흔든 생각의 탄생》(트로이목마, 2022)을 펴냈다. 지금은 사업과 글쓰기, 그리고 청년 시절부터 틈틈이 익혀 온 클래식 기타와 플라멩코 기타 연주로 영혼을 달래며 살고 있다.
펼치기
정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조교수다.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터프츠대학교(Tufts Univer- sity) 영문과에서 18~19세기의 정치경제사적 맥락 속에서 영국 소설이 포착하는 친밀함의 구조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구서 『Edges of Transatlantic Commerce in the Long Eighteenth-Century 』(Routledge, 2021)를 기획하고 편집했으며, ≪Victorian Literature and Culture≫, ≪Bronte Studies≫ 등에 논문을 게재했다. 문학에 드러난 인구 관념, 사회 재생산과 여성의 노동, 과학기술과 서사예술의 관계, 번역 문학의 정치성 등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은 인더스트리 5.0의 대중적 이해를 돕기 위해 기획된 개론서이다. 인더스트리 5.0은 유럽연합이 인더스트리 4.0의 연장선상에서 그 한계를 보완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경제 패러다임이다. 인더스트리 4.0은 2016년 1월 독일의 경제학자인 클라우스 슈바프가 세계경제포럼(다보스 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개념으로 제안하여 국제적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4차 산업혁명은 한국사회에 적용할 만한 개념인지 제대로 공론화 한 번 하지 않은 채 벼락처럼 국가적 명운이 걸린 지상목표가 되었다. 그러니까 한국은 첨단기술의 요람인 미국에서 통용되지 않는 개념을 전세계적으로 유일하게 국정목표로 채택한 나라가 된 것이다.

2017년 5월의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4차 산업혁명은 모든 후보자들이 공약으로 내걸 정도로 한국사회의 복음이 되었다. 게다가 거의 날마다 4차 산업혁명 도서가 출간되어 모두 잘 팔릴 정도로 4차 산업혁명 광풍이 한국사회를 휩쓸었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 혹은 신기루가 한국사회를 뒤덮고 있는 현상을 신랄하게 분석한 책들은 별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한편 유럽연합은 인더스트리 4.0이 유럽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역부족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2022년 1월에 펴낸 보고서에서 유럽연합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인더스트리 4.0의 한계를 지적한다. 인더스트리 5.0의 핵심 요소는 △인간중심(human-centric) △지속가능성(sustainable) △회복탄력성(resilient) 세 가지이다.”

-이인식(지식융합연구소) 소장의 서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