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학자, 경제학자, 정치가로 알려진 백남운은 전라북도 고창 출생으로, 수원고등농림학교와 일본 동경상과대학을 졸업한 뒤, 1925~38년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원시?고대사회경제사 연구서인 《조선사회경제사》(1933) 및 《조선봉건사회경제사상》(1937)을 발간하였는데, 일제 강점하에서도 큰 연구업적을 남김으로써 한국 경제사학 발전의 선구자 또는 개척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1922년 한용운, 조만식 등과 민립대학 설립운동을 전개했으며, 1929년에는 홍명희 등과 함께 조선사정연구회를 조직했다.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던 1938년에는 ‘연구회 사건’으로 검거되어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8.15 직후에 조선학술원을 설립, 원장에 취임하고 민족문화연구소도 설립했다. 1945년 12월에는 경성대학 법문학부 재정학 교수로 미군정의 임명사령을 받았으며, 조선신민당(남조선신민당의 전신)의 경성특별위원회 위원장,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장을 지내고 1947년에 여운형과 함께 근로인민당을 창설, 부위원장으로 있던 중 월북했다.
월북 후에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1948), 과학원 원장(1952), 민주과학협회 위원장(1956), 최고인민회의 부위원장(1961), 최고인민회의 의장(1969)을 거쳐 1974년에는 조국전선 의장 등을 역임했다.
펼치기
심우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34년생, 민속학자, 1인극 배우
1953년 서울중앙방송국 아나운서
1960년 민속극회 남사당 설립 대표
1963년 대한뉴스 아나운서
1966년 한국민속극연구소 소장(현재)
1970년 서라벌 예대, 서울예전, 덕성여대, 중앙대, 한양대 등에서
민속학, 연극사, 인형극 강의
1979년 서울특별시 문화상 수상
1980년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전문위원
1985년 아시아1인극협회 창립대표(현재)
1994년 민학회 회장
1996년 공주민속극박물관장
1998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
2002년 문화재청 무형문화재분과 위원장
2003년 대통령 ‘보관문화훈장’ 수상
저서
『무형문화재총람』 - 민학사, 『남사당패연구』 - 동화출판공사
『한국의 민속극』 - 창작과비평사, 『마당극연희본』 - 깊은샘
『민속문화와 민중의식』 - 대화출판사
『우리나라 탈』, 『우리나라 인형』 - 개마서원
『민속문화론서설』, 『우리나라 민속놀이』, 『옷본』,
『전통문화를 찾아서』, 『전통문화 길잡이』 - 동문선
『한국 민속학의 기억과 기록』 - 민속원
『전통문화의 오늘과 내일』 - 도서출판 답게 등
1인극 작품
<쌍두아>, <문>, <남도 들노래>, <새야 새야>, <판문점 별신굿>, <결혼굿>, <거창 별신굿>, <일본군 위안부 아리랑>, <아리랑아리랑아라리오, 4?3의 고개 를 넘어간다>, <녹두장군 오셨네>, <넋전 아리랑> 등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