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주제평론
· ISBN : 9788981337568
· 쪽수 : 567쪽
· 출판일 : 2005-05-01
책 소개
목차
[ 김윤식 선집 제6권 ]
<김윤식 선집>을 간행하면서
제1부 이 땅에 내리는 정복(淨福)
제2부 어떤 여로의 끝에서
제3부 동양적 정신과의 만남
제4부 서구적 지성의 매혹
제5부 한 비평가의 내면풍경
해제
부록/ 김윤식 작품연보
찾아보기
[ 김윤식 선집 제7권 ]
I. 에세이
1. 자하연 주변 회고 세 토막
2. 갈 수 있고, 가야 할 길, 가버린 길
- 어느 저능아의 심경 고백
II. 학술.예술 기행
1. 시카고, 프롤레타리아문학, 델피신전에의 행렬도
- 시카고대학 주회, '동아시아에서의 프롤레타리아문학 심포지엄' 참관기
2. 알프스를 넘은 한국학
- 제21차 유럽 한국학 대회 인상기
3. 네바 강의 환각
- 라스콜리니코프와 더불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가다
III. 문학 현장
1. 과보호적 협조 원리에 의한 독법
- 제4회 황순원문학상 수상 작품집에 부쳐
2. 문명사적 메타형 글쓰기와 풍속사적 메타형 글쓰기
- 김경욱과 김영하의 경우
3. 자기 증식형 연작소설의 휘황함
- 서정인 창작집 <모구실>에 부쳐
4. 모란꽃 무늬와 물빛 무늬
- 전(傳) 형식으로서의 소설 미달 또는 소설 초월의 이문구 문학
IV. 이중어 글쓰기
1. 국만국가의 문학관에서 본 이중어 글쓰기 문제
- 해방 전 조선 작가의 일본어에 의한 창작에 대하여
3. 한설야의 일어 창작론
- 이중어 글쓰기의 제4형식
4. 이중어 글쓰기 공간에서의 글쓰기 유형론
5. 일제 말기 한국 작가의 이중어 글쓰기의 유형 들여다보기
- 이중어 글쓰기 공간의 활성화를 요망하는 이유
V. 비평사
1. 1930년대 비평 유형론
2. 해방공간의 비평 유형론
3. '날개'의 생성 과정론
- 이상과 박태원의 문학사적 게임론
4. 체험으로서의, 발견으로서의, 입문으로서의 한국 근대문학사론
- 남송우 교수의 질문에 답함
부록
책속에서
제일 먼저 주목할 것은 지식인이란, '인간'이라는 사실이다. 최재서로 하여금 이 점을 통렬하게 깨닫도록 해준 것은 경험주의적 사상의 터전에서 조성된 영문학 비평이었다. 대포로 세계를 제패한 영국의 경험주의가 그 제국주의의 발톱을 감춘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인간적 사실이라는 인식 아래 그는 이러한 상황을 거침없이 인간 본질로 환원시킬 수가 있었다. 이 장면에서 노출될 수 있었던 것은 오직 한 가지, 인간 대 세계였던 것이니, 따라서 문학이 지식인의 소선이라는 규정은 초근대적 장면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이란 무엇인가'에서 지식인 문학이 출발한다는 이 사실을 통렬하게 일깨워준 것은 경험주의 철학이었다. - 7권 387쪽, '1930년대 비평 유형론'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