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88981605339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5-09-10
책 소개
목차
01장 공중보건학 개요
1. 공중보건학의 개념 15
1) 공중보건학의 정의 15 2) 공중보건학의 범위 15 3) 건강과 질병 예방 16
2. 공중보건학의 발전사 18
1) 고대 18 2) 중세 19 3) 근세 19 4) 근대 20 5) 현대 20
3. 국제보건기구 20
1) 세계보건기구 20 2) 국제식품규격위원회 22 3) 유엔식량농업기구 22
4) 세계무역기구 22
4. 건강증진 24
1) 건강증진의 정의 24 2) 건강증진의 이론적 토대 24 3) 세계건강증진대회 26
4) 건강증진 사업 30
02장 환경위생
1. 환경위생의 개요 37
1) 환경위생의 정의 37 2) 환경위생의 범위 37 3) 환경위생 사업 38
2. 기후 39
1) 기후 정의 39 2) 기후 순화 40 3) 기후와 건강 41 4) 온열환경 42
5) 온열지수 44
3. 공기 47
1) 공기 개요 47 2) 공기와 건강 47 3) 공기의 자정작용 49
4) 공기 질과 건강 관리 49
4. 대기 51
1) 태양광선 51 2) 대기환경 53 3) 대기오염 관리 58
5. 물 59
1) 물의 개요 59 2) 수원의 종류 60
6. 수질 63
1) 수질 개요 63 2) 수질오염의 정의 63 3) 수질오염의 원인 및 피해 64
4) 수질 측정 기준 64 5) 수질오염 현상 66 6) 수질오염의 대책 68
7. 하수 70
1) 하수 개요 70 2) 하수처리 시설 70 3) 하수처리 방법 72
8. 토양 76
1) 토양 개요 76 2) 토양오염의 원인 77 3) 토양오염 방지대책 78
9. 분뇨 및 폐기물 처리 79
1) 화장실의 유형 79 2) 분뇨처리 79 3) 쓰레기처리 80 4) 의료폐기물 81
03장 보건행정
1. 보건행정의 이해 85
1) 보건행정의 정의 85 2) 보건행정의 범위 85 3) 보건행정의 특성 86
4) 일반행정과 보건행정의 차이 86
2.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사 87
1) 삼국시대 이전 87 2)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 87 3) 고려시대 87
4) 조선시대 88 5) 일제하 및 해방 이후 88
3. 우리나라 보건행정과 조직 89
1) 중앙보건행정조직 89 2) 지방보건행정 94
4. 보건행정의 원리 98
1) 보건행정 및 관리의 원리 98 2) 보건문제의 해결과정 99
5. 사회보장제도 102
1) 사회보험 103 2) 그 밖의 보장제도 107 3) 공공부조 108
4) 사회서비스 108
04장 식품위생
1. 식품위생의 개념과 범위 115
1) 식품위생의 개념 115 2) 식품위생 조직과 관계법 115
3) 우리나라 식품위생제도 116 4) 식품안전성 평가 119
2. 식중독의 정의 및 분류 121
3. 세균 유래 식중독 124
1) 감염형 식중독 124 2) 독소형 식중독 128 3) 알레르기성 식중독 129
4. 화학물질 유래 식중독 131
1) 의도적 목적으로 혼입하는 유해물질 131 2) 식품과 유사하여 섭취하는 유해물질
3) 제조 · 가공 · 저장 중에 생성되는 유해물질 133
4) 본의 아니게 잔류 혼입되는 유해물질 134
5. 자연독과 곰팡이 유래 식중독 139
1) 식물성 식품 유래 유독물질 139 2) 동물성 식품 유래 유독물질 141
3) 곰팡이 독소에 의한 식중독 143
05장 역학
1. 역학의 개념 151
1) 역학의 정의 151 2) 역학의 역할 151
2. 질병 발생 모형 152
1) 역학적 삼각형 모형 152 2) 수레바퀴 모형 153 3) 거미줄 모형 153
3. 역학연구의 자료 154
1) 1차 자료 154 2) 2차 자료 155
4. 질병 발생 연관성과 타당도 및 신뢰도 156
1) 질병 발생 연관성 156 2) 타당도 및 신뢰도 157
5. 역학연구 방법 160
1) 기술역학 160 2) 분석역학 163 3) 이론역학 168 4) 실험역학 168
5) 작전역학 168
06장 감염병 관리
1. 감염병의 이해 173
1) 감염병 정의 173 2) 감염병 유행의 3대 요인 및 조건 173
2. 감염병 전파 6단계 174
1) 병원체 174 2) 병원소 175 3) 병원소로부터 병원체의 탈출 176
4) 전파 177 5) 새로운 숙주에 침입 180 6) 숙주의 감수성 180
3. 면역 180
1) 면역의 구분 180 2) 면역력 182
4. 법정감염병 183
1) 제1급감염병 185 2) 제2급감염병 187 3) 제3급감염병 195
4) 제4급감염병 및 기타 199
07장 기생충과 위생해충
1. 기생충의 이해 205
2. 채소류 유래 기생충 207
1) 회충 208 2) 편충 210 3) 요충 211 4) 동양모양선충 213 5) 구충 214
3. 수육류 유래 기생충 216
1) 무구조충 216 2) 유구조충 218 3) 선모충 219 4) 톡소플라스마 221
4. 어패류 유래 기생충 222
1) 간흡충 223 2) 폐흡충 224 3) 장흡충 226 4) 고래회충 228
5) 광절열두조충 230 6) 유극악구충 231
5. 위생해충 233
1) 쥐 235 2) 바퀴벌레 236 3) 모기 238 4) 파리 240 5) 진드기 242
6) 위생해충으로 매개하는 질병 243
08장 보건영양
1. 보건영양의 개념 247
2. 영양관리 247
1) 에너지 및 영양소 247 2)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255
3)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 257
3. 만성질환 관리 257
1) 만성질환의 정의 및 개요 257 2) 국내 만성질환 현황 258
3) 만성질환 예방 대책 258 4) 주요 만성질환 259
09장 인구보건, 모자보건, 보건통계
1. 인구보건 271
1) 인구보건 271 2) 인구학 271 3) 인구조사 271 4) 인구론의 발전 273
5) 인구구조 275 6) 인구피라미드 277 7) 우리나라의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 279
8) 인구변화 281 9) 인구정책 284
2. 모자보건 284
1) 모자보건의 개념 284 2) 모자보건의 중요성 285 3) 모자보건의 목표 285
4) 모자보건의 대상 286 5) 정부의 사업 286
3. 보건통계 287
1) 보건통계의 정의 287 2) 보건통계학의 분류 287 3) 보건통계의 목적 288
4) 모집단과 표본 289 5) 보건지표 이해 290 6) 대표적인 건강지표 291
10장 보건교육과 학교보건
1. 보건교육 301
1) 보건교육의 이해 301 2) 보건교육 이론 304 3) 보건교육 방법의 이해 310
2. 학교보건 313
1) 학교보건의 이해 313 2) 학교보건 관련 법령 및 인력 315
3) 학교보건 내용 317
11장 정신보건
1. 정신보건의 개념 325
1) 정신보건의 정의 325 2) 정신보건의 목적 325 3) 정신보건의 중요성 326
2. 국외 · 국내 정신질환의 역사적 배경과 발전 327
1) 국외 327 2) 국내 327
3. 정신질환의 원인 329
1) 유전적 요인 329 2) 신체적 요인 329 3) 환경적 요인 329
4. 주요 정신질환 유형 330
1) 성인 ADHD 330 2) 우울증 331 3) 불안장애 331 4) 불면증 333
5) 조현병 334 6) 조울병 335 7) 외상 후 스트레스 335 8) 강박장애 336
9) 자살과 자해 336 10) 알코올 사용장애 337 11)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337
5.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문제 338
1) 유아기와 아동기의 정신건강 문제 339 2) 청소년기의 정신건강 문제 339
3) 성인 초기와 중기의 정신건강 문제 340 4) 노년기의 정신건강 문제 340
6. 정신보건 문제 340
1) 자살문제 340 2) 음주문제 342 3) 흡연문제 344
4) 약물 남용 및 중독 문제 346
7. 정신건강정책 349
8. 정신건강관련 기관 350
1)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련 기관 351
12장 산업보건
1. 산업보건의 개념 355
1) 산업보건의 정의 355 2) 산업보건의 의의 355 3) 산업보건의 범위 355
2. 산업보건관리 특성 357
1) 산업장의 환경관리 357 2) 작업관리 357 3) 근로자의 관리 358
3. 산업재해 361
1) 산업재해의 정의 361 2) 산업재해 발생 현황 363 3) 산업재해의 원인 364
4) 측정지표 364
4. 직업병 366
1) 직업병 정의 및 원인 366 2) 직업병의 분류 367
5. 산업재해 예방대책 377
1) 위험성평가 377 2) 위험성평가 절차 378 3) 산업재해 예방대책 380
13 노인보건
1. 노인보건의 개념 및 목표 387
1) 노인보건의 정의 387 2) 노인보건의 목표 387
2. 노인인구의 특성 388
1) 사회의 고령화 388 2) 노인기의 변화 389 3) 노인성 질환 390
3. 노인인구의 보건학적 문제 393
1) 사망 및 질병 현황 393 2) 건강상태, 기능상태 및 정신건강 396
3) 의료 이용 401
4. 노인보건관리 402
1) 식생활 402 2) 신체활동 408 3) 낙상 예방 410 4) 구강 건강 412 5) 수면 413
5. 노인보건사업 413
1) 건강보장 413 2) 소득보장 415 3) 주거보장 415 4) 사회서비스 제공 416
참고문헌 419
찾아보기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