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82226793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0-11-30
책 소개
목차
축사
발간사
01 이숭인李崇仁의 시詩
02 이집李集의 시詩
03 정이오鄭以吾의 시詩
04 조준趙浚의 시詩
05 신개申槩의 시詩
06 배극렴裵克廉의 시詩
07 최치운崔致雲의 시詩
08 서거정徐居正의 시詩
09 허종許琮의 시詩
10 김굉필金宏弼의 시詩
11 성수침成守琛의 필적
12 신종호申從護가 보내는 간찰簡札
13 이언적李彦迪이 보내는 간찰簡札
14 정사룡鄭士龍의 시詩
15 이연경李延慶이 보내는 간찰簡札
16 정구鄭逑가 보내는 간찰簡札
17 유성룡柳成龍이 보내는 간찰簡札
18 운재芸齋의 시詩
19 이달李達의 시詩와 윤두수尹斗壽의 감사편지
20 이원익李元翼이 보내는 간찰簡札
21 유근柳根의 시詩
22 이호민李好閔이 보내는 간찰簡札
23 이수광李睟光이 보내는 간찰簡札
24 한준겸韓浚謙의 시詩
25 이덕형李德馨의 시詩
26 윤방尹昉이 보내는 간찰簡札
27 정경세鄭經世의 필적
28 오윤겸吳允謙이 보내는 간찰簡札
29 송상현宋象賢이 보내는 간찰簡札
30 이정귀李廷龜가 보내는 간찰簡札
31 김광욱金光煜이 보내는 간찰簡札
32 이덕형李德泂이 보내는 간찰簡札
33 심열沈悅이 보내는 간찰簡札
34 김상용金尙容의 필적과 시詩
35 김상헌金尙憲이 보내는 간찰簡札
36 김류金瑬가 보내는 간찰簡札
37 이안눌李安訥의 축시祝詩
38 홍서봉洪瑞鳳이 보내는 간찰簡札
39 구용具容의 시詩
40 구성具宬의 시詩
41 서경우徐景雨가 보내는 간찰簡札
42 이경직李景稷이 보내는 간찰簡札
43 조익趙翼이 보내는 간찰簡札
44 윤신지尹新之가 보내는 간찰簡札
45 최명길崔鳴吉이 보내는 간찰簡札
46 조위한趙緯韓이 보내는 간찰簡札
47 한민정韓敏政의 시詩
48 이식李植의 시詩
49 이경여李敬輿가 보내는 간찰簡札
50 오준吳竣이 보내는 간찰簡札
51 장유張維의 시詩
52 유백증兪伯曾이 보내는 간찰簡札
53 이명한李明漢이 보내는 간찰簡札
54 조경趙絅의 시詩
55 나만갑羅萬甲이 보내는 간찰簡札
56 이경석李景奭이 보내는 간찰簡札
57 정태화鄭太和가 보내는 간찰簡札
58 홍명하洪命夏가 보내는 간찰簡札
59 조복양趙復陽이 보내는 간찰簡札
60 박장원朴長遠이 보내는 간찰簡札
61 김백옥金伯玉 의 시詩
62 김좌명金佐明이 보내는 간찰簡札
63 이정영李正英이 보내는 간찰簡札
64 이민적李敏迪이 보내는 간찰簡札
65 송준길宋浚吉이 보내는 간찰簡札
66 송시열宋時烈이 보내는 간찰簡札
67 권시權諰가 보내는 간찰簡札
68 김집金集이 보내는 간찰簡札
69 조위명趙威明이 보내는 간찰簡札
70 최석정崔錫鼎이 보내는 간찰簡札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대학 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선인들의 친필 유물의 가치를 일반 대중에게 알리고, 고려와 조선시대 사람들의 삶 속에 스며있는 그들의 일상사를 소개함으로써 소장 자료의 학술적 가치를 더 높이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려선합벽(麗鮮合璧)』은 우리 선인들의 삶과 애환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더 많은 일반 대중들과 함께 공감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도록으로 출판하지 않고 일반 도서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서 고려와 조선시대 사람들의 일상사와 삶이 일반 대중에게도 그대로 전해지기를 고대합니다. 또한 『려선합벽(麗鮮合璧)』 속에 드러나 있는 우리 선인들의 의식과 문학적 상상력, 붓끝에 흐르는 힘찬 기운도 동시에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