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82365881
· 쪽수 : 439쪽
· 출판일 : 2013-06-04
목차
개요 = 1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1. 개국초 왕권의 강화와 국정운영체제 = 13
1) 조선 개국의 배경 = 13
2) 개국과 그 기초작업 = 22
3) 태조·태종대의 왕권강화 = 31
4) 태조·태종대의 국정운영체제 = 48
2. 유교정치의 진전 = 59
1) 유교정치의 표방 = 59
2) 집현전의 설치와 유학자군의 성립 = 63
3) 유교적 의례·제도의 정비 = 71
4) 편찬사업의 성행 = 74
5) 유교적 국정운영체제의 성립 = 80
6) 유교적 민본정치의 전개 = 88
3. 왕권의 재확립과 제도의 완성 = 111
1) 수양대군의 왕위찬탈과 그에 대한 반발 = 111
2) 세조의 왕권강화와 정치 = 116
3) 예종·성종대 대전체제의 수정과 정치 = 132
4. 4군 6진의 개척 = 143
1) 개척 이전의 개황 = 143
2) 압록강 중상류방면 영토개척 = 144
3) 두만강 하류방면 영토개척 = 160
4) 함길·평안도에의 사민입거 = 168
5) 행성·읍성·진성의 축조 = 180
5. 《경국대전》의 편찬과 계승 = 196
1) 《경국대전》 이전의 법전편찬 = 196
2) 《경국대전》의 편찬 = 207
3) 《대명률》의 수용과 형전 = 215
4) 《경국대전》 편찬의 사적 의의 = 218
5) 초기의 법사상과 법생활 = 220
6) 법전편찬의 계승과 법사상의 변화 = 233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1. 15세기 동아시아 정세 = 245
1) 명의 정치동향 = 245
2) 북방민족의 동향 = 253
3) 일본의 동향 = 263
4) 동아시아 3국의 관계 = 269
5) 조선의 대외관 = 280
2. 명과의 관계 = 285
1) 대명정책 = 285
2) 사신의 왕래 = 293
3) 무역 = 302
4) 중요한 현안문제 = 308
5) 명과의 나머지 문제 = 324
3. 여진과의 관계 = 329
1) 대여진정책 = 329
2) 사신의 왕래 = 345
3) 무역 = 355
4) 향화야인과 피로인 송환문제 = 365
4. 일본과의 관계 = 367
1) 대일외교의 성립 = 367
2) 대왜구정책과 대마도 정벌 = 372
3) 통교체제의 확립 = 380
4) 대일관계의 변천 = 390
5) 경제적 교류 = 394
6) 사절의 왕래와 문물교류 = 399
7) 상호인식 = 406
5. 유구와의 관계 = 410
1) 통교관계의 성립 = 410
2) 대유구관계의 전개 = 413
3) 통교무역 = 418
4) 피로인과 표류민의 송환 = 419
5) 문물의 교류와 상호인식 = 421
6) 임진왜란 이후의 대유구관계 = 424
6. 동남아시아국가와의 관계 = 425
1) 통교관계의 성립과 전개 = 425
2) 접대형식과 외교체제 = 429
3) 경제적 교역 = 431
4) 문화교류와 상호인식 = 432
5) 임진왜란 이후의 관계 = 4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