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인간관계 > 교양심리학
· ISBN : 9788982586576
· 쪽수 : 231쪽
· 출판일 : 2016-01-05
책 소개
목차
1.중독의 이해
1장 - 중독의 개념
2장 - 중독에 관한 이론들
3장 - 중독의 특징
4장 - 물질중독의 이해
5장 - 행위중독의 이해
2.중독평가
1장 - 심리평가의 이해
2장 - 중독의 특성과 과정
3장 - DSM5를 활용한 중독평가
4장 - 심리검사를 활용한 중독평가
5장 - 중독평가의 실제
6장 - 중독예방을 위한 평가의 활용
3. 중독상담
1장 - 상담의 기초
2장 - 중독상담 이론
3장 - 물질중독 상담
4장 - 행위중독 상담
5장 - 약물치료
6장 - 중독 집단상담
7장 - 중독 가족상담
8장 - 재발방지
9장 - 중독 예방교육
10장 - 직업재활
책속에서
1. 중독 가족상담의 개념과 필요성 中
- 중독은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라 가족의 문제이다. 가족원 한 명이 중독에 빠지면 가족 전체가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 중독자 가족은 가족원의 중독문제와 관련된 책임감과 죄책감, 그리고 그로 인해 낮아진 자존감을 경험한다. 그리고 중독자 가족을 두고 있다는 수치심이 사회에서 위축감을 갖게 한다. 그런 위축감을 느끼지 않기 위해 중독 문제를 부인하고 중독에 의해 생긴 결과에 대한 인식을 억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심리적 문제가 부적응적 결과를 낼 수 있다.
가족이 한 개인의 중독으로부터 부정적인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가족이 가족 구성원의 중독이 지속되거나 더 악화되게 만들 수 있고, 치료되거나 회복되는데 영향을 줄 수도 있다. 개인의 중독과 가족간의 관계는 양방향적 관계이며 상호 순환적 관계이다. 따라서 가족구성원의 중독에 의해 생긴 가족의 문제를 중재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가족의 기능을 이용해 가족원 개인의 중독을 치료할 수 있다.
중독에 개입하는 여러 기관들이 중독자 가족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독자는 물론 그 가족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일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도 중독을 중대할 수 있는 지역사회 자원이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중독자를 치료하는데 가장 좋은 자원은 가정에 있다. 우리나라처럼 가족주의 전통이 강한 사회에서 가족은 중독문제의 일차적 피해대상이자 문제에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머리말
- ‘중독’이라는 표현은 요즘 쉽게 접할 수 있다. 알코올 중독, 마약 중독 같은 화학물질에 대한 중독은 물론, 인터넷 중독, 도박 중독, 성형 중독 같은 행위에 대한 중독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다. 국어사전에는 중독이 ‘술이나 마약따위를 계속적으로 지나치게 복용하여 그것이 없이는 생활이나 활동을 하지 못하는 상태’(Daum 사전). 영어사전에는 addiction(중독)이 ‘being abnormally tolerant to and dependent on something that is psychologically or physically habit-forming (especially alcohol or narcotic drugs)’ 즉 ‘심리적 혹은 신체적으로 습관을 형성시키는 무엇인가에 비정상적으로 내성이 생기고 의존하게 되는 상태’라고 정의되어 있다.(Daum 사전), addiction은 ‘~에 사로 잡히다’, ‘~의 노예가 되다’라는 뜻의 라틴어 ‘addicere’에서 유래됐다고 한다(박상규 등, 2011). 즉 중독이라는 말에는 중독 물질이나 중독 행위에 사로 잡혀 자신의 의지로는 벗어나기 힘들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