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경 과학의 철학

신경 과학의 철학

(신경 과학의 철학적 문제와 분석)

맥스웰 R. 베넷, 피터 마이클 스티븐 해커 (지은이), 이을상, 하일호, 신현정, 오용득, 박만준, 안호영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2,000원 -10% 1600원 27,200원 >

책 이미지

신경 과학의 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경 과학의 철학 (신경 과학의 철학적 문제와 분석)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상
· ISBN : 9788983716149
· 쪽수 : 944쪽
· 출판일 : 2013-11-08

책 소개

신경 과학과 철학이라는 두 학문의 권위자인 두 사람의 협력을 통해 철학적 함의를 간과한 신경 과학의 탐구를 비판하는 책이다. 저자들은 인간의 심적 속성이 뇌의 부분이 아닌 인간 전체의 속성이라고 주장한다.

목차

옮긴이 서문 7
추천사 13
감사의 글 21
서문 23

1부 신경 과학의 철학적 문제: 역사와 개념의 근간 43
1. 신경 과학적 지식의 초기 발전: 신경계의 통합적 작용 45
1. 1 아리스토텔레스, 갈레노스, 네메시우스: 뇌실 이론의 기원 47
1. 2 페르넬과 데카르트: 뇌실 이론의 몰락 67
1. 3 윌리스의 피질 이론과 그 이후 79
1. 4 반사의 개념: 벨, 마장디, 마셜 홀 85
1. 5 피질에서 기능의 위치를 정하기: 브로카, 프리치, 히치히 92
1. 6 신경계의 통합적 작용: 셰링턴 97
2. 셰링턴 이후 연구에서 피질과 마음 99
2. 1 셰링턴: 계속되는 데카르트의 영향 99
2. 2 에이드리언: 주저하는 데카르트주의 107
2. 3 에클스와 ‘연결 뇌’ 112
2. 4 펜필드와 ‘최고 뇌 메커니즘’ 127
3. 신경 과학의전체―부분 오류 147
3. 1 인지 신경 과학에서 전체―부분의 혼란┃크릭, 에덜먼, 블레이크모어, 영, 다마지오, 프리스비, 그레고리, 마, 존슨레어드 147
3. 2 방법론적 난점들┃울먼, 블레이크모어, 제키, 영, 밀너, 스콰이어와 칸델, 마, 프리스비, 스페리 157
3. 3 심리학적 술어가 어떤 존재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근거에 대해 171
3. 4 심리학적 술어들이 내적 실체에 속한다고 잘못 생각한 근거에 대해┃다마지오, 에덜먼과 토노니, 코슬린과 옥스너, 설, 제임스, 리벳, 험프리, 블레이크모어, 크릭 180
3. 5 내적인 것┃다마지오 185
3. 6 내관법┃험프리, 존슨레어드, 바이스크란츠 189
3. 7 특권적 접근: 직접적인 접근과 간접적인 접근┃블레이크모어 193
3. 8 사적인 것과 주관적인 것┃설 197
3. 9 심리학적 술어들의 의미와 그 의미를 습득하는 법 203
3. 10 마음과 마음의 본성에 대해┃가자니가, 도티 218

2부 인간의 능력과 현대 신경 과학: 분석 227

예비적 고찰 229
1. 뇌―신체의 이원론 229
2. 향후 계획 234
3. 심리학적인 것의 범주 241
4. 감각과 지각 247
4. 1 감각┃설, 리벳, 겔다트와 쉐릭 247
4. 2 지각┃크릭 255
4. 2. 1 감각의 원인으로서 지각: 제1성질과 제2성질┃칸델, 슈바르츠와 제셀, 록 261
4. 2. 2 가설 형성으로서 지각: 헬름홀츠┃헬름홀츠, 그레고리, 글린, 영 276
4. 2. 3 시각 이미지와 결합 문제┃셰링턴, 다마지오, 에덜먼, 크릭, 칸델과 뷔르츠, 그레이와 싱어, 발로 281
4. 2. 4 정보 획득 과정으로서 지각: 마의 시각 이론┃마, 프리스비, 크릭, 울만 291
5. 인지 능력 299
5. 1 지식, 그리고 지식과 능력의 유사성 300
5. 1. 1 할 수 있다는 것과 어떻게 하는지 아는 것 302
5. 1. 2 지식을 소유하는 것과 수반하는 것┃르두, 영, 제키, 블레이크모어, 크릭, 가자니가 306
5. 2 기억┃밀너, 스콰이어와 칸델 310
5. 2. 1 선언적 기억과 비선언적 기억┃밀너, 스콰이어와 칸델 313
5. 2. 2 저장, 파지, 그리고 기억 흔적┃르두, 스콰이어와 칸델, 가자니가, 망군과 아이브리, 제임스, 쾰러, 글린, 베넷, 깁슨, 로빈슨, 다마지오 317
6. 사고 능력 341
6. 1 믿음┃크릭 342
6. 2 사고 347
6. 3 상상과 심상┃블레이크모어, 포스너와 라이클, 셰퍼드 358
6. 3. 1 심상의 논리적 특징┃골턴, 리처드슨, 코슬린과 옥스너, 핑크, 루리아, 셰퍼드, 모이델, 베츠, 마크스, 셰퍼드와 메츨러, 쿠퍼와 셰퍼드, 포스너와 라이클 370
7. 정서 391
7. 1 정감┃롤즈, 다마지오 391
7. 2 정서: 예비적인 분석적 개관 399
7. 2. 1 신경 과학자들의 혼동┃르두, 다마지오, 제임스 407
7. 2. 2 정서의 분석 424
8. 의지 작용과 자발적 운동 437
8. 1 의지 작용 437
8. 2 자발적 운동에 대한 리벳의 이론┃리벳, 프리스 등 448
8. 3 평가하기 454

3부 의식과 현대 신경 과학: 분석 463

9. 자동 의식과 타동 의식 465
9. 1 의식과 뇌┃올브라이트, 제셀, 칸델과 포스너, 에덜먼과 토노니, 글린, 그린필드, 이나스, 가자니가, 설, 존슨레어드, 차머스, 데닛, 그레고리, 크릭과 코흐, 프리스비 465
9. 2 자동 의식┃설, 데닛 475
9. 3 타동 의식과 그 형태들 482
9. 4 타동 의식: 부분 분석 492
10. 의식 경험, 심적 상태, 감각질 507
10. 1 의식 개념의 확장┃리벳, 바스, 크릭, 에덜먼, 설, 차머스 507
10. 2 의식적 경험과 의식적인 심적 상태들 512
10. 2. 1 뇌의 무의식적 믿음과 무의식적 활동에 관한 혼동 521
10. 3 감각질┃설, 차머스, 글린, 다마지오, 에덜먼과 토노니, 나겔, 데닛 528
10. 3. 1 어떤 경험을 갖는다고 ‘느끼는 방식’┃설, 에덜먼과 토노니, 차머스 533
10. 3. 2 ~와 같은 것이 있다는 것에 대해┃나겔 540
10. 3. 3 경험의 질적 특징 550
10. 3. 4 ‘이것’들과 ‘이러한 식으로’들┃차머스, 크릭 552
10. 3. 5 감각질의 전달 가능성과 기술 가능성에 대해┃나겔, 에덜먼, 글린, 스페리 558
11. 의식에 관한 난제들 577
11. 1 난제들 577
11. 2 의식 또는 주관성을 객관적 실재에 대한 우리의 생각과 조화시키는 것에 관해┃설, 차머스, 데닛, 펜로즈 579
11. 3 물리적 과정이 어떻게 의식적 경험의 근원일 수 있는가 하는 물음에 관해┃헉슬리, 틴들, 험프리, 글린, 에덜먼, 다마지오 596
11. 4 의식의 진화적 가치에 대해┃차머스, 발로, 펜로즈, 험프리, 설 606
11. 5 자각의 문제┃존슨레어드, 블레이크모어 618
11. 6 다른 사람의 마음과 다른 동물들┃크릭, 에덜먼, 바이스크란츠, 바스 622
12. 자기 의식 635
12. 1 자기 의식과 자기 635
12. 2 역사적 무대장치: 데카르트, 로크, 흄, 제임스 638
12. 3 자기 의식의 본성에 관한 현대 과학과 신경 과학의 반성┃다마지오, 에덜먼, 험프리, 블레이크모어, 존슨레어드 645
12. 4 ‘자기’에 대한 환상┃다마지오, 험프리, 블레이크모어 651
12. 5 사고, 의지, 감정의 지평 657
12. 5. 1 사고와 언어┃다마지오, 에덜먼과 토노니, 골턴, 펜로즈 663
12. 6 자기 의식┃에덜먼, 펜로즈 683

4부 방법에 관해 697

13. 환원주의 699
13. 1 존재론적 환원주의와 설명적 환원주의┃크릭, 블레이크모어 699
13. 2 제거에 의한 환원┃처칠랜드 부부 719
13. 2. 1 우리의 일상적인 심리학적 개념은 이론적인가?┃폴 처칠랜드 722
13. 2. 2 인간 심리학에 관한 일상적 일반화는 이론의 법칙인가?┃폴 처칠랜드 728
13. 2. 3 인간적인 모든 것을 제거하는 것┃처칠랜드 부부, 도킨스 732
13. 2. 4 자신이 앉아 있는 나뭇가지 자르기 739
14. 방법론적 반성 743
14. 1 언어적 타성과 개념적 혁신┃퍼트리샤 처칠랜드 746
14. 2 ‘영어의 빈곤’ 논증┃블레이크모어 760
14. 3 무의미에서 의미로: 교련 절제술의 결과를 적절하게 서술하는 것┃크릭, 스페리, 가자니가, 월포드, 밀러와 가자니가, 도티 764
14. 3. 1 맹시의 예: 잘못 서술하는 것과 혼동하기 쉽도록 설명하는 것┃바이스크란츠 772
14. 4 철학과 신경 과학┃글린, 에덜먼, 에덜먼과 토노니, 크릭, 제키 777
14. 4. 1 철학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782
14. 2. 2 신경 과학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크릭, 에덜먼, 제키 794
14. 5 왜 그것이 중요한가? 799

부록 1 대니얼 데닛 803

1. 데닛의 방법론과 전제들 806
2. 지향적 입장 816
3. 이형 현상학적 방법 830
4. 의식 839

부록 2 존 설 849

1. 철학과 과학 850
2. 설의 심리 철학 861
3. 전통적인 심신의 문제 871

후주 878
찾아보기 931

저자소개

맥스웰 R. 베넷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멜버른 대학교에서 전자 공학을 전공하고 동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시드니 대학교 생리학 교수이자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뇌과학 연구자이다. 300여 편의 논문과 『의식의 개념(The Idea of Concousness)』(1997년), 『시냅스의 역사(A History of the Synapse)』(2001년) 등의 저서를 썼다. 국제 자율 신경 과학 학회장, 오스트레일리아 신경 과학 학회 전임 회장으로 신경 과학 메달, 라마초티 메달, 맥팔런 버넷 메달 등을 받았으며 2000년에 오스트레일리아 훈장(Officer in the Order of Australia, AO)을 받았다.
펼치기
피터 마이클 스티븐 해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옥스퍼드 대학교 퀸스 칼리지에서 철학, 정치학, 경제학을 전공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 선임 연구원으로 있다.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권위자로서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연구에 대한 분석(Analytical Commentary on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시리즈와 베넷과 함께 쓴 『신경 과학과 철학: 뇌, 마음, 언어(Neuroscience and Philosophy: Brain, Mind, and Language)』(2007년), 『인지 신경 과학의 역사(History of Cognitive Neuroscience)』(2008년)를 비롯해 마음과 언어의 철학을 다룬 수많은 저서와 논문의 저자이다.
펼치기
오용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강의전담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자기쇄신의 학으로서의 철학적 해석학』(2005), 『섹슈얼리티의 철학 - 유전자의 생존기계에서 성적 주체로』(2008), 『세상은 왜? - 세상을 보는 10가지 철학적 주제』(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을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생. 부산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정훈장교로 3년 근무했다(육군 중위 예편). 1993년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동아대, 부경대, 동의대, 동서대 등에서 강의했고, 현재는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전임 연구원으로 있다. 특히 막스 셸러의 저서 번역 작업에 노력해 왔고, 생명윤리학 분야와 진화 윤리학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가치와 인격》(박사 학위 논문, 서광사, 1996), 《인간과 현대적 삶》(공저, 철학과현실사, 2003), 《죽음과 윤리》(백산서당, 2006), 《인격》(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현대의 철학적 인간학》(O. F. 볼노 외, 문원, 1994), 《윤리학에 있어서 형식주의와 실질적 가치윤리학》(M. 셸러, 서광사, 1998), 《공리주의》(J. S. 밀,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지식의 형태와 사회》(M. 셸러, 한길사, 2007) 등이 있다. 그 밖에도 다수의 논문과 기고문들이 있다.
펼치기
안호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물리학 박사 부산대학교 철학 박사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교수 저서 :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공저, 산지니, 2008), 『마음학-과학적 설명+철학적 성찰』(공저, 백산서당, 2010), 『글쓰기 2』(공저, 동국대출판부, 2012) 역서 : 『칸트 해석-이원론의 문제』(공역, 부산대 출판문화원, 2010), 『인도인의 논리』(공역, 산지니, 2009)
펼치기
박만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의대학교 철학상담심리학과 명예교수다. 부산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욕망과 자유의 변증법”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해 여러 환경단체의 상임대표를 지냈고 지금도 활동하고 있으며, 국회 환경포럼 전문위원, 부산시 환경정책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생물학적 인간, 생태학적 인간에 대한 관심을 평생의 과제로 삼고 있다. 저서는 <철학>(공저), <욕망과 자유>, <상생의 철학>(공저), <인성론>(공저), <성의 진화와 인간의 성문화>,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공저), <21세기 다윈혁명>(공저), <마음학: 과학적 설명과 철학적 성찰>(공저), <고전의 반역>(공저), <레이먼드 윌리엄스>, <철학의 향기와 역사 이야기>(공저), <청춘의 책탑>(공저), <인문학의 길 찾기>(공저), 『신경미학, 뇌와 아름다움의 진화』 등이 있다. 역서는 <마르틴 하이데거>(존 맥쿼리), <엄밀한 학으로서의 철학>(E. 후설), <그리스인의 이상과 현실>(G. L. 디킨슨, 공역), <헤겔 철학개념과 정신현상학>(N. 하르트만), <의식과 신체>(P. S. 모리스), <마르크스주의와 생태학>(라이너 그룬트만), <하버마스의 사회사상>(미첼 퓨지, 공역), <헤겔의 변증법>(N. 하르트만), <논리학 입문 14판>(어빙 코피), <대중문화와 문화이론(8판)>(존 스토리),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존 스토리), <대중문화의 이해>(존 피스크), <마르크스주의와 문학>(레이먼드 윌리엄즈), <영화의 이해(13판)>(루이스 자네티),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A. 겔렌), <신경과학의 철학>(M. 베넷 외), <대중과 대중문화>(존 피스크) 등이 있다.
펼치기
하일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 대학교 농과 대학 식품 공학과에서 학사 학위와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러트거스 대학교에서 생화학 및 분자 생물학으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 의과 대학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있었으며 한화석유화학 중앙연구소 바이오기초기술센터 센터장을 거쳐 인제 대학교 뇌과학기술연구소 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작은 조각 RNA(microRNA)가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조절 기능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밝혔고,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기전과 치료 방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