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83963635
· 쪽수 : 203쪽
· 출판일 : 2019-08-31
목차
저자 서문 3
1. 선(善)-선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행해야 하는가
(1) ‘선(善)’이란 무엇인가 / 19
(2) 『명심보감』에서의 선 / 21
(3) 학문하는 자의 선 / 24
(4) 일상에서 선이 중요한 이유 / 27
2. 악(惡)-악은 우리의 삶을 고통스럽게 만든다
(1) ‘악(惡)’이란 무엇인가 / 33
(2) 악의 어원 및 동서양의 악 / 36
(3) 순자의 성악설이란 / 40
(4) 간신(奸臣)과 악 / 43
3. 신(神)-신의 존재를 의식하며 믿어야 하는가
(1) ‘신(神)’은 존재 하는가 / 49
(2) 초월적 존재에 대한 외경(畏敬) / 52
(3) 한국 전래의 인격신 / 54
(4) 일본 전래의 인격신 / 57
(5) 무신과 유신의 경계에서 / 60
4. 운(運)-운은 어떻게 믿고 따르는 것인가
(1) ‘운(運)’이란 무엇인가 / 65
(2) 동양에서의 운의 의미 / 66
(3) 인과응보의 상징으로서 운 / 69
(4) 우리나라 정치에 활용된 운 / 74
5. 천(天)-천이란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내포 하는가
(1) ‘천(天)’이란 무엇인가 / 79
(2) 인격적 존재로서의 천 / 82
(3) 천은 착한 사람에게 복을 내린다 / 84
(4) 강력한 인과응보로서의 천 / 87
6. 사(死)-오복(五福)의 하나인 죽음은 어떤 것인가
(1) 죽음(死)이란 무엇인가 / 93
(2) 불교와 기독교에서 죽음 / 95
(3) 유교에서의 죽음 / 98
(4) 고종명(考終命)의 의미 / 100
(5) 『명심보감』이 전하는 죽음 / 103
7. 학(學)-우리는 왜 배워야 하는가
(1) ‘학(學)’이란 무엇인가 / 107
(2) 학을 하는 이유와 지향점 / 111
(3) 학의 지향방법과 자세 / 115
(4) 글로벌시대의 학이란 / 119
8. 예(禮)-예는 지나침이나 모자람이 없는 것
(1) ‘예(禮)’란 무엇인가 / 123
(2) 예는 왜 생겼을까 / 127
(3) 예의 어원과 변천 / 130
(4) 생각하고 실천해야 할 예 / 133
9. 효(孝)-일상에서 효가 중요한 이유
(1) ‘효(孝)’란 어떤 것인가 / 139
(2) 유가(儒家) 효의 사회적 확산 / 142
(3) 『명심보감』이 전하는 효 / 145
(4) 오늘날 바람직한 효의 방향 / 148
10. 도(道)-인간의 인간다운 도리의 기본
(1) ‘도(道)’란 어떤 것인가 / 155
(2) 유교의 도로서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 159
(3) 불교의 도로서 본래면목(本來面目) / 161
(4) 도교의 도로서 무위자연(無爲自然) / 163
(5) 『명심보감』이 전하는 도로서 본립도생(本立道生) / 165
11. 인(仁)-우리시대의 숨어버린 인을 찾아서
(1) ‘인(仁)’이란 무엇인가 / 171
(2) 인의 다양한 모습 / 173
(3) 『명심보감』이 요구하는 실천적 인 / 176
(4) 인이 숨어버린 시대 / 179
12. 의(義)-우리에게 의란 무엇인가
(1) ‘의(義)’란 무엇인가 / 185
(2) 유교에서 의(義)와 이(利)의 관계 / 189
(3) 맹자의 반문, 왜 하필 이(利)인가 / 193
(4) 현대사회에서의 ‘의’ 개념 /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