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연애결혼은 무엇을 가져왔는가

연애결혼은 무엇을 가져왔는가

(성도덕과 우생사상의 100년간)

가토 슈이치 (지은이), 서호철 (옮긴이)
소화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430원
16,3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연애결혼은 무엇을 가져왔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연애결혼은 무엇을 가져왔는가 (성도덕과 우생사상의 100년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88984104556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3-12-20

책 소개

한림일본학신총서 5권. 자유연애가 폭풍처럼 휘몰아치고 세상에 길들여져 연애결혼이 되고, 거기에 국가와 민족이 끼여들어 결혼과 출산까지 간섭하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전반 일본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장‘연애결혼’의 시대
결혼의 행복
연애결혼의 시대
연애와 결혼은 별개?
행복의 백 년 역사

1장‘낭만적 사랑’이라는 제도-‘연애결혼’으로의 도약
‘사랑’과 ‘연애’
연애라는 말
연애의 승리
연애의 기원
연애의 발견?
연애와 결혼의 모순
연애결혼의 시작
가정(home)의 사상
1900년대 연애와 결혼의 이념
일부일처제라는 초점

2장 일부일처제의 기원-메이지 시대의 연애·결혼·국가
결혼=가족론의 공백
메이지 초기의 축첩제
전근대의 일부일처제론
후쿠자와 유키치의 선구적 일부일처제론
첩과 만세일계
일부일처제를 향한 힘든 싸움
기독교와 일부일처제
기독교의 결혼관
두 가지 일부일처제
일부일처제에서 폐창으로

3장 ‘일부일처제’라는 과학-남성의 체액이 여성의 체액에 섞인다?
도착자라는 종족
‘완전한 자손’을 위해
모리 아리노리가 생각한 ‘혈통’과 ‘신체’
가정과 진화론
문명개화에서 인종 개량으로
운노 고토쿠의 ‘사회적 연애’
사와다 준지로의 ‘모범 부부’
혼수품으로서의 우생학
‘처녀’의 탄생 또는 연애의 ‘과학’
처녀성과 우생학

4장 인류를 위해 연애를!-가정·페미니즘·우생학
나가이 가후의 ‘미국’
처녀들의 번민
여성 자립의 어려움
동성교제적인 다이쇼 시대
모성보호 논쟁
히라쓰카 라이초의 ‘국가적 모성’
1920년의 「진주 부인」
『근대의 연애관』과 연애의 대중화
엘렌 케이 사상에서 연애와 모성
인류를 위해 연애를
일본에서 엘렌 케이 사상의 수용
연애결혼의 극한

5장 연애에서 전쟁으로-전전기(戰前期) 우생결혼의 모색
갓파의 우생학
『우생운동』과 여학생
인구의 질이라는 상식
우생정책의 길로
우생결혼과 산아제한
백화점에서 우생결혼을
결혼위생전람회
연애결혼과 우생학, 다시 손잡다
생애 과정의 한 단계로서 우생학
우생학에 대한 비판
비밀스런 저항
결혼은 전쟁을 위해
결혼·생명·행복

종장 ‘연애결혼’을 향해
‘행복’을 의심하기
「국민우생법」에서 「우생보호법」으로
새 시대의 우생결혼
결혼의 전후 체제와 ‘불행한 자녀’
‘좋은 피’라는 신화
폭주하는 DNA
생식 테크놀로지의 시대

이 책을 맺으며
옮긴이 후기

저자소개

가토 슈이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히토쓰바시대학교 사회학부를 나와 도쿄대학교 대학원 사회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메이지가쿠인대학교 사회학부 교수로 있다. 페미니즘과 젠더, 우생학 등이 주요 관심사이다. 저서로는 본서 외에 『성현상론:차이와 섹슈얼리티의 사회학(性現象論:差異とセクシュアリティの社會學)』(1998), 『모르면 부끄러운 젠더 입문(知らないと恥ずかしいジェンダ─入門)』(2006), 『'개체'에서 시작하는 생명론(<個>からはじまる生命論)』(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서호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학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는 『대지를 보라』 (아모르문디, 2016), 『시마 상, 한국 길을 걷다: 일본 인류학자의 30년 한국여행 스케치』 (일조각, 2013)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고종시대 조보의 간행과 그 의미」 (『역사비평』 141, 2022), 「조보에서 관보로: 갑오개혁기 인쇄 관보의 등장」 (『한국사회』 23, 2022), 「융희연간의 통계체계 구축과 농업통계」 (『사회와역사』 134, 2022), 「식민지기 인권의 제도화와 담론」 (『사회와역사』 124, 2019), 「‘七情’에서 ‘感情’으로: 감정 관련 번역어의 수용과 사용」 (『사회와역사』 118,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