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문화예술사
· ISBN : 9788984119444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0-05-28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제1장 여는 말
1. 들어가기
2.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
제2장 영조어제 현황
1. 『어제집경당편집』
2. 『어제속집경당편집』
3. 『영종대왕어제속편』
4. 『영종대왕어제』
5. 『어제시문』
6. 『영종대왕어제습유』
7. 『열성어제』
8. 영조어제간본
9. 영조어제첩본
10. 영조어제의 편찬 및 간행, 보존
1) 어제편차인
2) 간행
3) 보존
11. 소결
제3장 영조어제의 내용
1. 영조의 생애
1) 영조가 회고하는 일생
2) 행장을 통해 본 일생
2. 즉위 이전의 집필
3. 국정과 집필
1) 조종성덕과 삼종혈맥
2) 국태민안
3) 인재 선발
4) 도성 방위
5) 대외인식
6) 군신 간의 교유
⑴ 국사에 대한 정서 공유
⑵ 신하에 대한 치하 및 격려
4. 궁궐과 주변 경물
1) 탄생당
2) 억석와
3) 구저
4) 추모당
5) 정와당 · 종용당
6) 기타 건물
7) 주변 경물
5. 가족애
1) 생모 숙빈 최씨
2) 모후 인원왕후
3) 장남 효장세자
4) 차남 사도세자
5) 정빈 이씨, 화억옹주, 의소세손
⑴ 정빈 이씨
⑵ 화억옹주
⑶ 의소세손
6. 노왕
1) 강개 회포
2) 편작과 건공탕
7. 3대 국정 사업
1) 탕평
2) 균역
3) 준천
8. 소결
제4장 영조어제의 형식
1. 영조체
2. 훈유문
3. 문답체
4. 소결
제5장 영조어제 교감
1. 『어제시문』 상책과 『열성어제』 비교
1) 시 전체를 삭제한 경우
2) 글자나 어휘를 고친 경우
3) 글자의 순서만 바꾼 경우
4) 상통하는 글자로 바꾼 경우
5) 두 가지 이상이 복합된 경우
6) 본문 이외의 내용을 고친 경우
2. 영조어제첩본과 문집 비교
3. 「감회 10수」
4. 소결
제6장 건륭어제와의 비교
1. 건륭제
2. 청나라의 어제 편찬 양상과 건륭어제
3. 건륭어제의 내용
1) 국왕
2) 왕족
⑴ 왕실과 주변 경물
⑵ 가족애
3) 건륭어제의 특징
⑴ 명승 가영과 상투구의 반복
⑵ 의례적 창작과 ‘건륭체’
4. 소결
제7장 맺는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선 제21대 국왕 영조의 작품에는 시대와 국가, 궁궐과 제도, 왕실과 친족 등에 대한 국왕의 진솔한 소회가 풍부하게 담겨 있으므로 본 연구는 당쟁의 폐해와 사회모순이 격화된 시기로 평가되던 당시, 국가 전 분야의 개혁을 시도한 영조와 그의 시대에 대한 이해에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앞으로 숙종, 정조, 고종 등 국왕 저작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영조어제의 편찬과 간행은 주로 생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영조는 어제 편찬을 전담하는 어제편차인을 두고 수시로 작품의 첨삭과 편찬을 진행하였으며, 먼저 영조어제 13책본을 만든 뒤 이를 산삭하여 20권 10책의 『열성어제』로 편찬한다. 이후의 글은 ‘속편’으로 편찬하되 『열성어제』에 첨부하지 않을 것을 천명하는데 이는 아버지인 숙종보다 많은 분량을 쓰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다.
영조는 또한 자신의 글이 한자를 모르는 백성에게도 전달되기를 바랐다. 영조어제에는 다른 국왕의 어제에 비해 언해가 많은데 이 언해의 편찬에도 어제편차인이 깊이 관여하였던 듯하다. 영조는 언해가 쉽기는 하지만 대개 소홀히 하기 때문에 잘 아는 사람은 드물다는 생각을 했던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