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84311688
· 쪽수 : 261쪽
· 출판일 : 2005-10-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사람'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사회
1장 수축입국에서 사람입국으로
1. 한국 경제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구조적 전환기
2. 한국 경제의 당면 과제
3.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2장 한국 경제의 비전
1. 비전: 사람입국
2. 지식사회
3. 평생학습사회
4. 유연한 사회
5. 고성과사회
6. 일과 삶이 조화로운 사회
3장 사람입국 발전전략
1. 과로체제를 학습체제로
2. 투자 개념의 전환: 물적자본 중심의 투자를 인적자본 투자로
3. 구조조정 개념의 전환: 양적 구조조정을 질적 구조조정으로
4. 일자리 창출을 최고의 국정 아젠다로
5. 여가문화 서비스 혁신
4장 사람경쟁력 발전 모델의 이론적 토대
1. 경쟁력 원천으로서의 사람
2.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로의 대전환: 사회학적 접근
3. 경제성장의 원칙에 대한 이론과 실증 분석: 경제학적 접근
4. 기업경영의 대혁신과 새로운 철학: 경영학적 접근
5. 신뢰.협동을 중시하는 '사회적 자본' 이론
6. 지식경제와 사람경쟁력
5장 사람경쟁력 강화 선진기업 사례
1. 유한킴벌리: 직장 내 평생학습 시스템 구축
2. 굿모닝병원: 서비스 분야의 뉴패러다임 모델
3. 사우스웨스트 항공사: 직원중시경영
4. 누미: 고용안정과 사람중시경영
5. 도요타-협력사: 동반 성장의 파트너십
6. 공급망 환경관리 시스템 구축 사례
6장 사람경쟁력 강화 선진정책 사례
1. 벤치마킹의 필요성
2. 국가별 사람경쟁력 개발전략 유형
3. 사람경쟁력 강화 선진정책 사례
4. 선진정책 사례의 종합적 시사점
7장 사람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1. 중소기업을 위한 국가 학습 인프라 구축
2. 직장 내 평생학습 시스템 구축
3. 교대조 확대전환
4. 공무원 평생학습 시스템 구축
5. 국가 및 기업 인적자본계정과 학습기업인증제 도입
6. 지식 서비스시장 육성
7. 유연한 노동시장 구축
8. 사람경쟁력 제고를 위한 재정 및 세제 개혁
9. 사회적 일자리 창출
10. 사회협약 정립
참고 문헌
책속에서
무한경쟁시대와 지식정보화시대에는 산업사회와는 달리 사회의 학습 능력, 조직의 학습 능력이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 되고 있다. 혁신 없이는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고, 혁신은 학습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식사회와 학습사회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재의 과로체제, 혹은 과로조직을 학습체제 학습조직으로 전환하여 학습 패러다임을 구축해야 한다. 학습에 관한 국민의 의식 전환과 이를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 본문 6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