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84347199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6-07-04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_ 8
· 서론 _ 11
1. 모세를 부르실 때 _ 18
2. 짐승을 죄인 대신 잡게 된 유래 _ 22
3. 짐승을 죽여야 하는 이유 _ 28
4. 제물을 네 가지 동물로 정한 유래 _ 33
5. 비둘기는 털까지 _ 39
6. 제물에 소금을 치는 이유 _ 46
7. 제물에 따르는 기적 _ 50
8. 제물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다 _ 54
9. 재 이야기 _ 58
10. 번제단 불 _63
11. 소제 이야기 _ 68
12. 하나님은 죄인을 난처하게 하지 않는다 _ 72
13. 화목제를 드려야 할 경우 _ 78
14. 피는 먹지 말라 _ 83
15. 성막 봉헌식에 일어난 사건 _ 86
16. 번제단의 불 _ 91
17. 불이 내린 이야기 _ 95
18. 나답과 아비후의 죽음 _ 104
19. 금지된 음식 _ 119
20. 할례 _ 126
21. 긍정적인 입술은 영생을 주는 약이다 _ 134
22. 대제사장이 지성소에 금방울 달린 옷을 벗고 들어가는 이유 _ 138
23. 대제사장 시몬 시대의 다섯 가지 기적 _ 144
24. 아사셀 염소 _ 149
25. 야곱의 결혼 _ 162
26.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_ 166
27. 네 부모를 공경하라 _ 171
28. 가난한 사람을 위하여 추수를 남기는 법 _ 175
29. 일곱 등대 사용금지 _ 183
30. 노인 공경 _ 187
31. 레위 지파 제사장 _ 190
32. 하나님의 이름을 저주하면 _ 196
33. 하나님을 모욕한 랍비 이야기 _ 202
34. 유대인들은 왜 가난한가? _ 207
35. 토라의 축복과 저주 _ 213
저자소개
책속에서
왜 제단을 만들고 짐승을 잡아 제물로 드려야 했을까요?
미드라쉬는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어느 날 한 유대인이 왕 중의 왕이신 하나님께 죄를 지었습니다. 보통 죄가 아니라 죽을죄였습니다.
하늘에 있는 천사가 하나님께 말했습니다.
“그의 영혼을 거두십시오.”
그러나 하나님은 그 천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 사람 대신에 짐승을 죽여라.”
이렇게 되어 죄를 범한 유대인이 자기 대신 죽을 짐승의 머리에 손을 얹고 말했습니다.
“미안하다. 내가 하나님께 죽을죄를 지었다. 그런데 하나님은 나 대신에 너를 받으시겠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짐승을 잡으면서 말했습니다.
“내가 죽어야 할 것을 네가 대신 죽는구나.”
또 그는 짐승을 불태우면서 말했습니다.
“네가 살아야 할 것을 네가 대신 탄다.”
하나님은 짐승을 죽이면서 미안하여 어쩔 줄 몰라 하는 죄 지은 사람을 보시고 그의 죄를 용서해 주셨습니다.
-p. 28~30, ‘3. 짐승을 죽여야 하는 이유’에서
만일 어떤 사람이 가난하여 소나 양이나 염소를 드릴 수가 없는 형편일 때에는 비둘기를 제물로 드려도 됩니다. 비둘기를 드릴 경우에는 다른 동물을 드릴 때처럼 안수하지 않습니다. 목을 비틀어 죽인 후에 피를 번제단 주변에 바릅니다. 그리고 내장과 위는 빼내어야 합니다. 왜 그럴까요? 비둘기는 곡식을 훔쳐 먹었기 때문에 그런 곡식이 들어있는 위와 창자는 빼내야 합니다. 농부가 피땀 흘려 지은 알곡을 먹은 비둘기를 그대로 하나님께 드릴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털은 그대로 두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향기를 받으시는 분이십니다. 그러나 비둘기의 털이 타는 냄새는 향연이 아니라 고약한 냄새입니다. 번제단에 태우는 제물 중에 이 냄새가 가장 악취입니다. 그런데도 털까지 태우라고 하는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부자들은 살찐 소나 양을 당당하게 바칩니다. 그런데 가난한 이들은 조그만 비둘기를 바치는데 그것도 털을 뽑으면 너무나 볼품없어 보이고 중요하게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작은 제물을 바치면서 미안해하는 가난한 사람들의 체면을 배려하시고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세밀한 의도가 들어 있습니다. 하나님은 부자가 바치는 살찐 큰 소나 가난한 이들이 바치는 작은 비둘기나 같게 보신다는 의미가 들어있습니다. 비둘기 타는 냄새가 악취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향기라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은 비싸다고 좋게 여기시지 않고, 정성스러워야 좋다고 하시는 공평하신 분이십니다. 많이 드리고도 남은 것이 많은 부자보다는 정성껏 남김없이 드려 남은 것이 없는 가난한 이들을 더욱 사랑해 주십니다.
-p. 39~41, ‘5. 비둘기는 털까지’에서
대제사장은 대속죄일에 몇 번 목욕을 하나요? 대제사장은 대속죄일에 모두 다섯 번 옷을 갈아입게 됩니다. 그래서 갈아입을 때마다 목욕을 하게 됩니다. 언제나 손과 발에 두 번 물을 붓습니다. 한 번은 옷을 벗기 전에 손과 발을 닦습니다. 또 한 번은 새 옷을 갈아입고 손과 발을 닦습니다.
몇 가지 피를 가지고 대제사장은 지성소에 들어갑니까? 두 가지 피를 가지고 들어갑니다. 한 번은 황소 피를 가지고 들어갑니다. 이는 자기와 자기 가족의 죄를 사함받기 위한 피입니다. 다른 피는 염소 피입니다. 이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를 사하는 피입니다.
-p. 139, ‘22. 대제사장이 지성소에 금방울 달린 옷을 벗고 들어가는 이유’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