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84774476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09-10-26
목차
서설 9
제1부 한국 우언의 역사적 전개
고려시대 우언의 한 양상
Ⅰ. 머리말 15
Ⅱ. 寓言에 대한 이해와 활용의 실제 17
Ⅲ. 현실에 대한 풍자와 새로운 이념의 모색 23
1. 부정적 현실과 세태에 대한 풍자 : 諷刺寓言의 세계 25
2. 새로운 이념의 모색과 도가사상의 정립 : 哲理寓言의 세계 29
Ⅳ. 맺음말 38
??浮休子談論??을 통해 본 成俔의 君臣論
Ⅰ. 序論 41
Ⅱ. 本論 44
1. 君主論 45
2. 臣僚論 55
Ⅲ. 結論 64
訥隱 李光庭의 우언 창작 방식
Ⅰ. 서론 67
Ⅱ. 漫錄 ??亡羊錄??의 성격과 구성 69
Ⅲ. 눌은 이광정의 우언 창작 방식 74
1. 병렬과 유추 - 논리적 설득의 방식 75
2. 역설과 반전 - 문학적 형상화의 방식 85
Ⅳ. 결론 91
韓國의 花卉類 寓言에 대한 一考察
Ⅰ. 머리말 93
Ⅱ. 화훼류 우언의 창작과 <愛蓮說> 94
Ⅲ. 한국 화훼류 우언의 두 유형 98
1. 勸戒寓言 98
2. 諧?寓言 104
Ⅳ. 맺음말 117
動物寓言의 傳統과 訟事型 寓話小說
Ⅰ. 문제의 제기 119
Ⅱ. 動物寓言의 傳統과 訟事型 寓話小說의 관련성 123
1. 寓言과 訟事 모티프 123
2. 訟事 처리과정에서의 비리와 그에 따른 부당한 판결 125
3. 언변 대결에 따른 작품의 확장 130
4. 動物寓言과 寓話小說의 독자적 특성 133
Ⅲ. 寓話小說의 형성과정 재론 136
Ⅳ. 맺음말 139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과 우언
Ⅰ. 문제의 제기 141
Ⅱ. 서사와 논설의 결합 143
Ⅲ. 서사의 방식 : 問答과 討論, 寓話, 夢遊 151
1. 問答과 討論 151
2. 寓話 160
3. 夢遊 167
Ⅳ. 근대계몽기 우언의 문학사적 위상 173
‘풍경소리’를 통해 본 불교우언의 현대적 소통
Ⅰ. 머리말 177
Ⅱ. ‘풍경소리’의 출범과 게시판의 성격 178
1. 포교단체로서의 ‘풍경소리’ 178
2. ‘풍경소리’ 게시판의 성격 180
Ⅲ. 불교우언으로서의 ‘풍경소리’ 188
1. 자아의 성찰과 일상의 재발견 190
2. 종교적 메시지의 전달 195
Ⅳ. 맺음말 - ‘풍경소리’를 통해 본 현대 불교우언의 가능성 203
제2부 중국 우언과의 비교
중국 우언의 수용과 재창조
Ⅰ. 머리말 207
Ⅱ. 중세의 전범 학습과 유종원 문학 208
1. 文集의 보급과 감상 208
2. 選集의 간행과 전범 학습 213
Ⅲ. 우언의 수용과 재창조 217
1. <種樹郭?駝傳>과 金擎鉉의 <老柏說> 218
2. <梓人傳>과 崔忠成의 <雜說> 221
3. <三戒>와 林象德의 <雜說二首>, 尹?의 <雜說三> 225
Ⅳ. 맺음말 - 유종원 우언 수용과 재창조의 의의 231
敦煌 俗賦 와 朝鮮後期 訟事型 寓話小說
Ⅰ. 문제의 제기 235
Ⅱ. <연자부>의 내용과 訟事構造 236
Ⅲ. <연자부>와 조선후기 송사형 우화소설 249
1. 식량과 거처를 둘러싼 다툼 250
2. 뇌물과 공훈으로 인한 부당한 판결 253
3. 주제의 일관성과 작품의 내적 통일성 258
Ⅳ. 우언 창작의 관습과 송사형 우화소설의 형성과정 261
Ⅴ. 맺음말 264
韓中 寓言의 比較 硏究
Ⅰ. 問題의 提起 265
Ⅱ. 韓中 動物寓言의 比較 267
1. 柳宗元의 <臨江之?>와 奇遵의 <畜獐說> 267
2. 宋祁의 <雁奴>와 崔演의 <雁奴說> 270
3. ??啓顔錄??의 <刺?與橡斗>와 韓國의 口傳說話 <밤나무에 절하는 호랑이> 274
4. ??笑府??의 ?>과 ??旬五志??의 ?之役>, ??奇聞??의 ?不參> 277
Ⅲ. 맺음말 - 比較 硏究의 限界를 넘어 280
한중 우언의 동물상징
Ⅰ. 머리말 283
Ⅱ. 자료의 제시 284
Ⅲ. 동물상징의 실제 288
1. 개 : 충직한 신하와 간악한 권신, 속물적 인간의 상징 288
2. 쥐 : 방자하고 부패한 관료, 지혜와 경륜의 양면성 294
3. 고양이 : 부패의 척결, 교활한 술수의 이중성 298
4. 호랑이 : 절대자에 대한 외경과 희화 304
5. 말 : 불우한 인재의 상징,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 309
Ⅳ. 맺음말 312
부록 314
참고문헌 327
찾아보기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