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하반야바라밀다경

마하반야바라밀다경 (摩訶般若波羅蜜多經) 8

석보운 (옮긴이), 현장
혜안
4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900원 -5% 0원
1,260원
38,6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하반야바라밀다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하반야바라밀다경 (摩訶般若波羅蜜多經) 8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84947283
· 쪽수 : 616쪽
· 출판일 : 2024-10-30

책 소개

대승불교의 결정판인 마하반야바라밀다경 600권 완전 국역 대장정의 여덟번 째 권. 우리나라 불자들에게 가장 익숙한 경전은 『반야심경』과 『금강경』이라 할 수 있다. 이 두 경전 모두 반야부의 경전으로, 반야(般若)는 불교에서 말하는 제법의 이치를 확실하게 꿰뚫어보는, 일반적으로 세상에서 통용되는 지식과는 구별해 종교적이고 초월적인 지혜를 말한다.

목차

역자의 말

해제(解題)

초분初分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11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30)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12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31)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13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32)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14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33)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15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34)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16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35)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17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36)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18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37)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19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38)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20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39)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21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40)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22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41)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23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42)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24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43)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25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44)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26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45)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27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46)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28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47)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29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48)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30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49)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31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50)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32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51)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33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52)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34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53)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35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54)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36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55)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37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56)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38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57)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39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58)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40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59)

저자소개

석보운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본사 용주사에서 출가하였고, 문학박사이다.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계율)이고, 죽림불교문화연구원에서 연구와 번역을 병행하고 있다. 논저|논문으로 「통합종단 이후 불교의례의 변천과 향후 과제」 등 다수. 저술로 <신편 승가의범>, <승가의궤>가 있으며, 번역서로 <마하반야바라밀다경 1~13>, <팔리율>(Ⅰ~Ⅴ), <마하승기율>(상‧중‧하), <십송율>(상‧중‧하), <보살계본소>,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상‧하),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상‧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근본설일체유부백일갈마 외>, <안락집> 등이 있다.
펼치기
현장 ()    정보 더보기
중국 당나라 사문으로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 구씨현(緱氏縣)에서 출생하였고, 속성은 진씨(陳氏), 이름은 위(褘)이다. 10세에 낙양 정토사(淨土寺)에 귀의하였고, 경(經)‧율(律)‧논(論) 삼장(三藏)에 밝아서 삼장법사라고 불린다. 627년 인도로 구법을 떠나서 나란다사(那爛陀寺)에 들어가 계현(戒賢)에게 수학하였다. 641년 520질 657부(部)에 달하는 불경들을 가지고 귀국길에 올라 645년 정월 장안으로 돌아왔으며, 인도 여행기인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12권을 저술하였다. 번역한 삼장으로는 경장인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600권, 율장인 <보살계본(菩薩戒本)> 2권, 논장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100권,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200권 등이 있다. 번역한 경전은 76부 1,347권에 이르는 매우 중요한 대승불교 경전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으며, 문장과 단어에 충실하여 문장의 우아함은 부족하더라도 어휘의 정확도는 매우 진전되었다. 구마라집 등의 구역(舊譯)과 차별을 보여주고 있어 신역(新譯)이라 불리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