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88984984745
· 쪽수 : 283쪽
· 출판일 : 2005-09-0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에너지, 얼마나 중요한가?
에너지란 무엇인가?
인류의 에너지 경영
차세대의 에너지는?
국방에 앞서는 에너지 안보
우리나라의 에너지 사정
2. 방사선을 알자
방사선은 무엇인가?
방사선의 종류와 특성
방사선의 피해
방사선의 활용
방사선의 강도와 측정
3. 원자력 발전, 얼마나 안전한가?
원자탄과 원자로
원자로의 종류
원자력 발전의 찬반 논리
원자로의 안정성
원자로 수명 후 문제
원전사고
원자력 발전의 장래
4. 방사성폐기물(원전수거물),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
에너지와 폐기물
방사성폐기물의 관리
강방사성수거물의 관리
약방사성수거물의 관리
해외 약방사성수거물관리센터 사례
우리나라 약방사성수거물관리센터 설치방향
5. 반핵운동
반핵운동은 무엇이며 왜 하는가?
해외 반핵운동
우리나라 반핵운동
반핵운동가의 주요 주장과 정당성 분석
반핵운동가에게 드리는 말씀
6. 우리나라 원전정책 방향
외국의 원전정책 개요
스웨덴을 배우자
우리나라 원자력에너지 정책이 나아갈 길
맺음말 책을 마치며
참고문헌 및 자료
찾아보기
용어소개
리뷰
책속에서
물건은 쓰되 대가는 치르지 못하겠다고 하면, 특히 모두들 부담을 안고 대가를 치르고 있는데 나만은 못 치르겠다고 하면 사회가 그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가? 혹은 나는 쓰겠지만 위험하니 다른 사람들은 쓰지 못하게 막는다는 사회는 그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독일 국민은 반핵을 지지하는 대신 철저한 에너지 절약으로 대응하고 스웨덴의 반핵운동가들은 원전에서 나오는 전기는 쓰지 않고 대신에 더 비싼 값을 치르며 재생에너지에서 나오는 전기를 사서 쓴다고 한다.
그러나 2장과 3장에서의 설명을 통해 지금까지 밝혀진 원전피해는 일반적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적었고, 전 세계 수십 개의 원전수거물관리센터로부터의 방사선 누출로 입은 피해는 1건도 입증된 것이 없음을 알았다.
그렇다면 원자력이 위험해서 반대한다는 논리는 원자력 발전에 대응하기 어려우며 그래도 반대하려면 자신이 원자력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아야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본문 197~19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