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기술사
· ISBN : 9788984988279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08-02-19
책 소개
목차
저자서문
1부 역사 속의 과학
과학과 역사상의 수학
현대생물학의 형성과 그 배경
역사 속의 의학과 과학
역사 속의 과학과 기술
중국의 전통과학과 자연관
한국 현대과학의 특성과 그 역사적 배경
2부 과학사와 과학사학자
과학사학의 동향과 문제점
과학사와 과학철학
토마스 쿤의 생애와 사상
조셉 니덤과 중국 과학사
전상운의 『한국과학기술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학혁명의 구조』는 출판과 동시에 굉장한 주목을 받았고 차츰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가장 영향이 컸던 분야는 역시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끈질기고 격렬한 논쟁을 일으켰던 과학철학 분야였다. 물론 대다수 과학철학자들의 반응이 비판적이었지만 그들의 구체적 태도야 어떠했건 간에 쿤의 견해로부터 그들은 깊은 깨달음을 얻었다. 쿤의 패러다임이론은 이미 그들이 느끼기 시작한 정적(靜的)ㆍ분석적 과학철학의 문제점들을 명확히 노정시켰을 뿐만 아니라, 처음으로 아주 새로운 각도에서 과학에 관해, 특히 과학지식의 발전에 관해 포괄적인 견해를 제시해주었던 것이다. 이제 그들은 더 이상 정적ㆍ분석적 방법만을 고집하거나 동적ㆍ역사적 접근을 무시할 수는 없게 되었다. 특히 쿤의 견해는 전통적인 정적 과학철학과 새로운 동적 과학철학 간의 토론의 구심점을 제공해주었다. 과학철학의 논의에 있어서 쿤의 이론은 빼놓을 수가 없게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쿤을 이해하고 비판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과학철학의 입장을 다져갔다.
다른 분야에 있어서는 『과학혁명의 구조』가 준 감명이 조용하기는 했지만 훨씬 더 깊고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우선 많은 과학자들로부터 이 책은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더구나 『과학혁명의 구조』가 단순히 철학적인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서가 아니라 실제 과학이 행해지는 것을 살펴봄으로써 얻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공감의 정도는 컸다. 많은 과학자들이 이 책이 그들이 실제 과학 활동에 종사하면서 은연중 느껴오던 점들을 설득력 있고 흥미 있게 써주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 p.193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