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84995246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09-02-28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감사의 글
1장 언어, 문화, 담론
이 책에 대해
문화와 언어
기호, 텍스트와 부호: 문화연구에서의 구조주의
기호 읽기
사람들에게 이야기하기
탈구조주의와 재현의 위기
데리다와 문화연구
언어 규제
비트겐슈타인과 언어의 활용
로티와 화용론의 부활
민속지학과 질적 실증주의 작업
현재까지의 이야기...
비판적 담론분석(CDA)
결론
2장 언어, 정체성, 문화정치
언어와 문화화된 자아
은유적 내부
반사적 투사로서의 자아-정체성
정체성의 분열
언어, 정체성과 사회적 실천
행위주에 대한 고려
문화적 담론과 생화학적 몸
진화와 언어의 한계
언어와 정체성의 문화정치
요약과 결론
3장 담론분석을 위한 도구
텍스트 지향의 담론분석
비판적 담론분석
담론분석의 언어적 도구
관념적 기능
대인적 기능
분석의 타당성과 결론
4장 아버지라는 이름: 남성 정체성의 수행
정체성의 수행
남성으로서의 고통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두려움과 통제의 매력
황홀감을 찾아서
실패에 대한 두려움
변화를 위한 시간
차이 없는 공간
면밀한 조사
결론: 우리의 아버지들…
5장 민족성의 언어: 폴란드인이라는 참을 수 없는 가벼움?
민족성의 개념
국가 정체성
폴란드인의 정체성: 일상 언어의 성취
언어와 종교
언어와 종교의 재도입
민족성과 작동 중인 실천
선택되는 민족성
민족성의 참을 수 없는 딜레마
행위주와 수동자: 시각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
행위주 분석
행위주와 대상자(수동자)
결론
6장 중첩성
정체성들의 접변
젠더화된 민족적 정체성
맥락에서의 젠더화된 민족적 정체성
결론: 이 책에 대한 반추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비판적 담론분석(CDA)이 사회 세계(the social world)를 형성하고 구성하며 규정하는 데에, 언어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는 이해와 서술과 도구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비판적 담론분석은 문화연구를 도와주며 풍성하게 해줄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적 접근이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때때로 유사한 연구 영역에서 흥미를 지닌 두 가지 탐사 영역(문화연구와 담론분석) 사이에 유용한 학제 간의 대화를 시도해 보려고 한다. - ‘1장 언어, 문화, 담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