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84995352
· 쪽수 : 229쪽
· 출판일 : 2006-01-13
책 소개
목차
1장 미디어란 무엇인가
1. 미디어는 횡단한다
2. 미디어는 매개한다
3. 미디어는 전달하지 않는다
4. 미디어를 연구한다는 것
1부 방법론으로서의 미디어
2장 미디어 시대 미디어 이론
1. 미디어의 세기 도래
테크놀로지의 19세기 / 시공간의 새로운 모드
2. 미디어에 매개되는 공중
타르드와 ‘공중(公衆)’론 / 쿨리의 커뮤니케이션론
3. 복제기술에 의한 상상력의 변화
벌라주의 영화론 / 벤야민의 ‘복제기술론’
4. 스테레오 타입과 사실의 구성
리프만의 ‘스테레오 타입’ / 구성된 현실
3장 미디어 연구로서의 신문학
1. 실용적인 지식에서 학문으로
신문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의문
2. 오노와 민간학적인 뿌리에서 이탈
신문사 연구와 문화적 특수성 / 민간학적인 접근 / 아카데믹한 지식으로서의 신문학 / 총력전체제 속에서의 신문학
3. 여론의 사회학과 프로파간다 이론
사회학적 접근 / 여론을 조직화하는 기술
4. 문화유물론과 항쟁의 장으로서의 신문
마르크스주의적 접근 / 대립하는 의식의 미디어 / 미디어 시대로서의 1920년대
4장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전개와 한계
1. 프로파간다 연구에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로
2차 세계대전 중의 프로파간다 연구 / ‘화성으로부터의 침입’을 믿은 사람들 / 탄환모델에서 한정효과모델로
2. 한정효과 이론의 전개
<피플스 초이스>와 커뮤니케이션의 2단계 흐름 / 한정효과모델과 이용과 만족연구
3. 한정효과모델 비판
텔레비전 시대와 의제설정기능 모델의 등장 / 동조적인 수용자상의 재등장 / 미디어 효과연구의 다양화 /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한계
5장 미디어 혁명과 지각의 근대
1. 전자미디어에 의한 공간의 변화
‘심리적인 이웃’ / 장소 의식의 상실
2. 전자적인 미디어 공간 속에서의 신체
시각에서 촉각으로 / ‘쓰는’ 기술 / 세계를 사고하는 제도 / 정보양식으로서의 미디어
3. 인쇄혁명이 가져다준 근대
인쇄술과 종교혁명·과학혁명 / 국민국가와 국어의 형성
4.사회의 장기적인 변화속에서
필사본의 생산시스템 변화
6장 문화연구의 개입
1. 윌리엄스와 미디어 테크놀로지
문학연구에서 커뮤니케이션 연구로 / <텔레비전>과 기술의 정치학
2. 홀과 인코딩·디코딩
홀과 인코딩·디코딩 / 대립하는 읽기와 미디어
3. 미디어가 현실을 생산한다
문화연구와 기호론 / 상호텍스트적인 과정
4. 수용자연구와 일상적 실천 속에서의 미디어
수용자연구의 성황 / 일상적 실천 속의 미디어
2부 역사로서의 미디어
7장 신문과 근대 저널리즘
1. 팸플릿에서 신문으로
인쇄술의 발명과 플루크블라트 / 정보유통의 확대와 뉴스책 / 혁명과 저널리즘의 발전
2. 커피하우스와 담론하는 공중
커피하우스와 신문 / 정보센터로서의 커피하우스 / 도시 속의 공공 공간
3. 신문산업과 대중저널리즘
신문발행의 확대 / 인쇄기의 발달과 종이의 염가화 / 검열로부터 자유 / 배달시스템과 통신사의 등장
4. 근대 저널리즘의 두 가지 계보
대중 저널리즘 / 브로이드사이드·발라드 / 저널리즘의 두 가지 수맥 / 가와라판(瓦版)에서 소신문에 이르기까지
8장 전화가 탄생한 것은 언제인가
1. 전화가 탄생했을 때
벨과 그레이의 ‘발명’ / 최초의 ‘텔레폰’
2. 전신으로서의 전화
전신의 시대 / 비즈니스로서의 전화
3. 방송으로서의 전화
전화에 의한 극장중계 / 텔레폰·힐몬드의 방송
4. 여성교환수의 등장
남성교환수에서 여성교환수로 / 여성교환수와 부르주아적 통념 / 네트워커로서의 여성교환수
5. 닫혀진 대화 미디어
지역 시스템에서 전국 시스템으로 / 교환수들의 ‘목소리’의 규격화 / 대화의 시장화
9장 누가 영화를 탄생시켰는가
1. 시각의 실험에서 ‘움직이는 사진’으로
새로운 시각장치 / 사진의 노출시간 단축
2. 마술적 구경거리에서 영화로
매직·랜턴의 인기 / 파노라마관의 유행
3. 달리는 말의 촬영에서 영화로
달리는 말을 촬영하다 / 롤필름의 등장
4. 에디슨과 뤼미에르 형제의 ‘발명’
동시다발적인 영화의 발명 / 홈비디오로서의 영화
5. 흥행물로서의 영화와 노동자계급
대중흥행물로서의 영화 / 노동자계급의 오락 속에서
10장 라디오 마니아들의 네트워크
1. 전파에 의한 교신
마르코니의 실험 / 사업의 성공과 마르코니주의
2. 무선통신과 라디오방송 사이
음성의 무선송신 / ‘무선전화’로서의 라디오
3. 모든 가정에 음악을
드포리스트의 라디오 방송구상 / 에펠탑에서 음악을 송신하다
4. 아마추어 무선가들의 네트워크
무선마니아의 증식 / 법적 규제와 그 한계
5. 매스 미디어로서의 라디오 방송으로
라디오 붐 도래 / 방송미디어로서의 라디오
11장 텔레비전이 집에 온 날
1. ‘텔레비전’의 탄생
1880년대부터의 구상 / 1920년대의 실용화
2. 가두텔레비전과 황태자 결혼퍼레이드
가두텔레비전의 인기 / 황태자 결혼과 텔레비전 시대
3. 가정 속에서의 TV수상기
‘삼종신기’로서의 텔레비전 / 분산되는 내셔널 심벌 / 능동적인 ‘주부’와 테크놀로지의 주체
4. 내셔널 미디어로서의 텔레비전
거실의 시간표적 장치 / ‘골든타임’의 탄생
3부 실천으로서의 미디어
12장 휴대전화가 바꾸는 도시의 풍경
1.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전화’ 로
휴대전화의 급속한 보급 / 선행적 변화-전화의 내부화 / ‘전자적인 개인 공간’의 편재
2. ‘개인 공간’과 ‘도시’가 결합하는 네트워크
워크맨의 유행 / 휴대미디어로서 ‘포켓벨’ / 회선 속의 리얼리티
3.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경계 상실
전철 안에서의 ‘공공’이란 누구의 것인가 / ‘금지’, ‘허용’ 어느 쪽인가 / 상황의 정의를 침범
4. 탈장소화, 비동기화(非同期化), 쌍방향적인 자기편집성
1980·90년대의 미디어변용의 공통적인 특징 / 완충지대의 소실 / 떠돌아다니는 신체
13장 퍼스널컴퓨터와 시민사회의 네트워크화
1. ‘전자계산기’로서의 컴퓨터
‘전자계산기’로서의 컴퓨터 / 최초의 컴퓨터 / 컴퓨터의 원형 / 대형 컴퓨터시대
2.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의 컴퓨터
컴퓨터가 이어가는 세계 / 인터넷의 시작 / 전자적인 대항문화의 탄생
3. 인터넷과 새로운 시민운동·시민활동
인터넷과 시민운동 / 일본의 전환점 / 인터넷이 열어가는 가능성
4. 미디어·정치의 변용
네트워크화하는 시민사회 / 매개적·월경적 네트워크
14장 글로벌 미디어란 무엇인가
1. 글로벌 미디어의 모순
9·11과 이라크전쟁에 대한 미디어 보도 / 독선적인 내셔널리즘 / 글로벌 미디어가 전하는 전쟁/새로운 글로벌 미디어의 대두 / 글로벌 정보네트워크의 가능성
2. 글로벌 미디어의 접근
글로벌 미디어와 문화제국주의 비판 / 콘텍스트적인 수용과 문화권력
3. 변모하는 미디어의 복합적 지평
글로벌 미디어의 복합성 /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변용
15장 미디어 변혁을 위한 지평
1. ‘미디어·리터러시’라는 회로
2. 연동하는 미디어 연구와 미디어 리터러시
3. 미디어 리터러시에서 미디어 실천으로
4. 미디어를 변혁하기 위한 실천적 기반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