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84999398
· 쪽수 : 282쪽
· 출판일 : 2008-02-25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들어가며
2장. 디지털 융합과 메타마켓의 출현
1. 미디어 시장의 복잡성과 불확실성
1) 멀티미디어 메타마켓의 출현
2) 채널 접근성과 미디어 가치 네트워크의 확산
3) 미디어 대체와 시간 할당 가설
2. 미디어 시장 현황과 변화
1) 디지털TV(케이블, 위성, 디지털 지상파) 보급
2) 유료 지상파 디지털TV 실패
3) 유료 텔레비전 시장의 성장 둔화
3. 미디어 신시장의 등장
1) IPTV
2) VOD
3) PVR과 차세대 셋톱박스
4) 미디어 센터와 홈 네트워크
5) 휴대용 TV
6) HDTV(고선명 텔레비전)
4. 미디어 신시장의 구조
1) TV 신시장의 구조 변화
2) TV 신시장의 결합 동향
3장. 소비 행태의 변화
1. 미디어 소비의 특징
1) 새로운 미디어 기기의 확산
2) 통신 상품의 소비 증가
3) TV를 시청하는 방식의 변화
4) 인터넷 이용의 증가
5) 모바일 미디어의 등장
6) 미디어 지출 형태의 변화
2. 인터넷의 확산
1) 고속 인터넷 가입자의 증가
2) 영화, TV프로그램 및 음악의 온라인 이용 증대
3) 인터넷TV의 증가
4) VOD 서비스의 부활
3. 20대의 TV 이용 방식
4장. TV산업의 사업 모델과 수입 구조의 변화
1. 소비자의 변화와 사업 모델
1) 시나리오: 전자 제품을 좋아하는 나의 꿈이 실현되다
2) 소비자의 변화와 이중성
3) 뒤처진 사업 모델
2. 미디어 산업의 수익 구조 변화
1) TV 네트워크별 수익 모델
2) TV 채널과 플랫폼 사업자가 직면한 상황
3) TV산업의 수익 구조 변화
3.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1) 서비스-단말기 연계형 비즈니스 모델
2) 온-오프라인 결합형 비즈니스 모델
3) 기능 확장형 비즈니스 모델
4) 광고 기반형 비즈니스 모델
5) OSMU형 비즈니스 모델
4. 광고 시장의 구조 변화
1) 미디어 시장의 트렌드와 광고 시장의 변화
2) 위협받고 있는 선형 TV광고
3) PVR(또는 DRV)의 확산
4) 온라인 광고
5) 모바일 광고
6) 광고주의 선택
5. TV의 미래 재원
1) 현재의 TV재원
2) 미래의 TV재원
6. 결합 서비스의 제공
5장. TV산업의 미래와 대응 전략
1. TV산업의 미래와 가치 변화
1) TV부문 위상 상실
2) TV부문의 가치 변동
2. TV부문 다각화 전략 및 경영 전략
1) 마케팅 및 서비스 전략
2) TV부문 사업자의 전략적 접근
3. 디지털 콘텐츠 기획 전략
1) 리치 미디어 콘텐츠
2) 디지털 내러티브 콘텐츠
3) 오픈 콘텐츠와 가치 창조
4) 퍼블릭 브로드캐스팅 콘텐츠
4. 한국 TV부문 사업자의 수익 전략
1) 지상파 방송 사업자
2) 채널 사용 사업자
3) 케이블TV SO
4) 유선 사업자의 대응 전략
5) 이동통신 사업자의 전략
6장. 마이크로미디어 프레임워크와 미디어 지형 예측
1. 마이크로미디어 프레임워크
2. 콘텐츠의 개방화와 미디어 지형의 변화
1) 주류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의 공생
2) 소비자/제작자 원형
3) 콘텐츠 매트릭스
4) 포맷의 이동과 뉴 포맷 개발
5) 수입과 수집
6) 배급: 채널, 기기, 이동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