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미디어 산업의 변화와 과제

한국 미디어 산업의 변화와 과제

김영주, 전범수, 김대호, 권호영, 심용운, 노기영, 강재원, 김성철, 임성희, 정윤경, 최선규 (지은이)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07-01
  |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1,000원 -0% 0원 630원 20,3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미디어 산업의 변화와 과제

책 정보

· 제목 : 한국 미디어 산업의 변화와 과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4060780
· 쪽수 : 254쪽

책 소개

미디어 융합 환경은 미디어 산업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격변기를 겪는 미디어 산업이 새롭게 짜이는 지형에서 시장을 선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양방향 TV 등에서 미디어 산업의 전략을 살펴보고, 미디어 유통, 창의성, 편향성의 문제를 논의해 미디어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본다.

목차

서문

01 미디어 융합시장 내 전략적 제휴와 인수합병
미디어 융합시장과 기업 결합
통신시장의 변화
방송시장의 변화
시장 변화와 미디어 기업의 대응 방향

02 주요 IT 기업의 앱스토어 비즈니스 모델
성장하는 앱스토어 시장
앱스토어의 개요
주요 IT기업의 앱스토어 비즈니스 모델 비교
우리나라 기업들의 과제는?

03 온라인 비디오 산업
왜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인가?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의 등장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방송영상콘텐츠사업자의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현황
콘텐츠사업자의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전략 동향
플랫폼사업자의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현황
플랫폼사업자의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전략 동향
온라인 비디오 사업의 향후 전망 및 시사점

04 양방향TV 광고가 돈을 벌어다 줄 수 있을까?: IPTV 수익모델로서 가능성 탐구
광고회피와 양방향TV 광고
양방향TV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의 등장
유료 방송서비스 시장에서 IPTV의 현황
IPTV와 유사한 서비스들의 수익모델
IPTV의 새로운 수익모델
양방향TV 광고의 유형으로 양방향 제품배치(IPPL)
양방향 제품배치(IPPL)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
IPTV의 새로운 수익모델로서 양방향 제품배치(IPPL)

05 PP의 경영환경과 주요 전략
PP의 변화와 성장
PP의 경영 환경
PP의 편성 전략
PP의 수입 전략
PP의 M&A

06 공영방송의 재원과 수신료
방송환경의 변화와 공영방송
공영방송의 재원과 수신료
공영방송 수신료의 제도적 성격
공영방송의 재정지원 모델
수신료 제도의 개선방향
공영방송과 경쟁정책

07 융합 시대의 미디어 콘텐츠 유통
융합 시대의 유통 환경 변화
미디어 콘텐츠 유통의 변화
국제 미디어 콘텐츠 유통시장의 특성
국내 미디어 콘텐츠 유통시장의 특성
국내 미디어 콘텐츠 유통의 전망과 과제

08 미디어 소비: 시간과 비용 할당
문제제기: 왜 시간과 비용인가?
미디어 이용에서 시간의 문제
미디어 이용에서의 비용 지출
미디어 산업적 차원에서 바라본 미디어 비용 지출

09 미디어 창의성
미디어 산업과 창의성
미디어와 창의 산업
창의성과 개방형 혁신

10 미디어 편향성
미디어 편향의 예와 정의
미디어 편향에 대한 연구
기자들의 특성에서 유발된 미디어 편향성
수용자들의 믿음에 부합하는 보도 그리고 뉴스 편향성
미디어 품질에 대한 불완전한 정보와 미디어 회사의 명망
미디어 편향에 대한 향후 연구방향

저자소개

김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이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 전문위원, KBS 시청자 평가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국 미디어 산업의 변화와 과제』(2010, 공저), 『미디어의 미래』(2008, 공저),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이용』(2006, 공저), 『2010 국민의 뉴스소비』(2010)가 있으며, 논문으로 “Factors affecting e-book reader awareness, interest, and intention to use”(e-book 단말기에 대한 인지, 관심,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New media Society, 2011), “미디어 소비지출의 상대적 불변: 1989~2008”(2010) 등이 있다.
펼치기
김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며 사회과학대학 학장으로 일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버밍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일본 와세다대학교 등 해외 여러 대학의 방문교수를 역임했고,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등 정부의 여러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한국방송광고공사 등 공공기관에서 비상임이사로 일했다. KT 이사, SBS 이사 등으로 일했다. 한국이 자유민주주의를 증진하고 디지털 전환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국가가 되도록 하는 거버넌스를 마련하는 데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저서로 『자유시장주의 미디어 거버넌스』(2022), 『AI시대에 가치 있는 것들』(2021), 『한국의 미디어 거버넌스』(2020), 『블록체인 거버넌스』(2019), 『Media governance in Korea 1980∼2017』(2018), 『인공지능 거버넌스』(2018), 『공유경제』(2017), 『4차 산업혁명』(2016), 『인터넷 거버넌스』(2015), 『Who owns the world’s media?: Media concentration and ownership around the world』(공저, 2015) 등이 있고, 국내외 학술지에 수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권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구위원이다. 미디어와 문화 콘텐츠 산업과 정책을 경제학을 이용해 분석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국제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1990년부터 5년 간 KT에서 통신 산업과 정책을 연구했다. 1995년 한국방송개발원(현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 이직해 방송 산업과 방송 정책을 연구했다. 저서로 <스마트 미디어의 이해>(공저, 2014), <공영방송의 이해>(공저, 2012), <방송의 미래와 전략, 2017>(공저, 2008), <한국의 지상파방송사 경영전략>(공저, 2006), <세계의 지상파방송사 경영전략>(공저, 2006) 등이 있다. “광고 수요의 매체 간 대체성에 관한 분석”(≪한국언론학보≫, 2006), “PP의 집단별 성과의 분석”(≪방송연구≫, 2005) 등과 <방송콘텐츠 해외유통 지원방안 연구: 국제견본시를 중심으로>(2014), <드라마 편성, 제작 그리고 내용분석>(2014), <문화융성시대에 지역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2014), <애니메이션 제작 센터 구축 방안 연구>(2013), <방송영상산업 진흥 5개년 계획 연구>(2012) 등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펼치기
심용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SK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이다. 영국 웨스트민스터대학교에서 정보통신정책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SK텔레콤 정책연구팀장, 컨버전스연구팀장, 방송위원회 연구원을 역임했다. 정보사회학회, 미디어경영학회, 언론학회, 방송학회에서 이사 및 감사, ≪정보사회와 미디어≫와 ≪방송통신연구≫ 등 학술지 편집위원,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전파진흥원 자문 및 심의조정위원 등 학계와 산업계에서 폭넓게 활동하고 있다. 『마르퀴스후스후(Marquis Who’s Who)』(2018년판)에 등재되었고 2018년도에 앨버트닐슨마르퀴스평생공로상(Albert Nei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2014), 『ICT 생태계』(2014), 『콘텐츠』(2013), 『소셜미디어』(2012), 『미디어 생태계』(2011), 『미디어의 미래』(2008), 『컨버전스 2.0시대의 비즈니스』(2007) 등 10여 권의 공저가 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Telecommunications Policy를 포함한 SSCI 국제 학술지에 1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노기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텍사스대학교 방송영상학 석사 미시간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 박사 현) 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특훈교수
펼치기
강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플로리다대학에서 대중매체 박사학위를 마치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을 거쳐 동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통신서비스 정책의 이해』(공저), 『디지털미디어와 광고』(한울, 공저), 『한국의 인터넷: 진화의 궤적』(공저), 『한국 미디어산업의 변화와 과제』(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에서 미디어경영과 뉴미디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이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SK에서 13년간 정보통신 분야 신규 사업을 담당하였고 개방형 직위인 서울특별시 정보시스템 담당관을 거쳐 카이스트(구 한국정보통신대학교) 경영학부 부학부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초빙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창업기획: 창업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2014,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임성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SK텔레콤 정보통신연구실 컨버전스연구팀 수석연구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인터넷 가상공간 활동과 휴대전화 이용에 관한 연구”로 언론정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동아닷컴 기획팀장, (주)인포허브 콘텐츠사업본부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 <현대 사회의 이해>(1996, 공저), <지식의 세계>(1998, 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90년대 새로운 소비주의 문화의 성격” 등이 있다.
펼치기
정윤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순천향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과 학사와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저널리즘 석사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를 받았다. 잡지기자, 방송 작가, 마케팅조사 연구원, 방송진흥원(현 한국콘텐츠진흥원) 책임연구자 등을 두루 역임했다. 현재 미디어 유통 산업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펼치기
최선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다.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ICU 경영학부 교수를 지냈다. 저서로 『BBC 미래 전략』(공저, 2010)이 있고, 논문으로 “Broadband Boom in Korea: What sets Korea apart?”(2007), “융합미디어의 규제정책: 네트워크 규제와 서비스 규제를 중심으로”(2009), “Media Convergence: Drivers, Impact and Regulatory Challenge” (2010), “뉴스시장의 경쟁과 미디어 편향성”(공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애플, 구글, 노키아 세 사업자들의 앱스토어 동향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공통점은 모두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체적인 모바일 생태계를 갖추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삼성전자 등 우리나라 기업들이 글로벌 앱스토어 시장에서 자리를 잡으려면 독창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앱스토어의 경쟁력을 갖추는 한편 자체적인 모바일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2장 주요 IT 기업의 앱스토어 비즈니스 모델> 중에서


콘텐츠사업자들이 자체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를 운영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안정적으로 콘텐츠를 확보할 수 있고, 브랜드 강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가 용이하다는 점, 자사 브랜드 자산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브랜드 자산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 광고 노출 방식 등 이용자 경험 제공 방식을 통제함으로써 서비스에 대한 좋은 이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 등이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 <3장 온라인 비디오 산업> 중에서


웹2.0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가장 큰 변화를 겪을 것으로 예측되는 분야는 바로 소비자의 능동성이 직접적으로 발현되는 콘텐츠 제작과 소비 분야이다. 콘텐츠 제작과 소비 분야의 변화는 곧바로 콘텐츠 유통의 변화를 동반할 수밖에 없는데, 유통이란 시장과 소비를 연결하는 통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략)
미디어 콘텐츠는 산업적 기반을 지닌 문화이며, 궤적을 통해 미래를 투영하는 표상이다. 융합 시대의 미디어 콘텐츠 유통에 대한 변화와 그 함의를 제대로 읽어내고 준비함으로써 우리의 사회, 문화가 보다 풍요로워질 것을 기대한다.
- <7장 융합 시대의 미디어 콘텐츠 유통>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