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인의 미디어와 소비 트렌드

한국인의 미디어와 소비 트렌드

박은아, 우석봉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450원
14,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한국인의 미디어와 소비 트렌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인의 미디어와 소비 트렌드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광고/홍보/PR
· ISBN : 9788984999848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08-11-28

목차

머리말 v


1장 세대별 특성과 가치

가치관
돈과 성공 3 / 생활과 낭비 4 / 결혼 적령기 5 / 나와 옷차림 6 / 자유 여행 7 / 현재의 나 9 / 바빠도 나를 위해 11 / 아깝지 않은 돈 12 / 갖고 싶은 것 13

먹고 입고 사는 것
구두, 넥타이, 장신구 18 / 외모 19 / 주위 사람의 옷 21 / 아깝지 않은 돈 22 / 패션 감각 24 / 쇼핑과 만족 27 / 먹는 데 쓰는 돈 29 / 비만 31 / 분위기 33 / 내 집 마련 34 / 크기보다 어떻게 36 / 집과 자동차 38

소비생활
쇼핑의 즐거움 41 / 문화생활 43 / 실용과 유행 44 / 물건을 살 때 46 / 충동구매 48 / 신제품 50 / 얼리어답터 52 / 목표와 승부욕 54

여가생활
수입보다 여가 58 / TV, 컴퓨터, 등산, 독서, 낮잠, 영화 59 / TV vs. 컴퓨터 60 / TV 시청시간 62 / 드라마 65 / TV 시청과 생활만족도 67 / 습관적 TV 시청 68 / 채널 변경 70 / 혼자서 혹은 함께 71 / TV와 행복 73 / 채널 선택권 75

미디어 사용
친근한 미디어 78 / 중요한 미디어 80 / 신뢰하는 미디어 82 / 대신할 수 없는 미디어 84 / 이용하고 싶은 미디어 86 / 미디어 애착도 88


2장 청소년

가치관
변화와 미래 94 / 현재의 나 96 / 돈과 성공 98 / 외모 100 / 물질 변화지향형·탈물질 현실안주형·물질 현실안주형 102

소비생활
브랜드 107 / 동조 109 / 물건을 살 때 111 / 충동구매 115 / 쾌락소비 117 / 소신, 계획 구매층·쾌락, 합리 추구층·쾌락, 과시 소비층 119

미디어 사용
관심도 123 / TV 시청시간 125 / TV, 라디오, 신문 127 / 좋아하는 신문 129 / 열독률과 주목률 131 / 좋아하는 프로그램 133 / 이미지 135 / 인터넷과 검색 137

광고효과와 반응
TV 광고 140 / 좋아하는 광고 142 / 유머 광고 143 / 관심도 145 / 좋아하는 모델 147 / 연예인 148 / 광고효과 152 / 충동과 행동 154 / 유용성과 오락성 155


3장 여성

가치관
도전과 목표의식 160 / 가족보다 나 162 / 결혼 적령기 163 / 자유 여행 164 / 이혼 166 / 성관계 167 / 시부모와 친정부모 168 / 맞벌이와 집안일 169 / 비만 171 / 성형수술 173 / 나와 옷차림 175 / 현재의 나 176 / 남편, 경제력, 외모 177

먹고 입고 사는 것
식생활 182 / 카페인, 비타민, 보약 184 / 패션과 유행 185 / 외모 188 / 피부와 메이크업 190 / 집과 여가생활 192 / 물질주의 194 /쇼핑 196 / 감성적·충동적 197 / 실용적·합리적 198

미디어 사용과 광고반응
TV 200 / 인터넷 202 / 미디어 관심도 205 / 광고 관심도 207 / 가장 호감 가는 광고매체 209 / 가장 믿을 만한 광고매체 210 / 가장 도움 되는 광고매체 211 / 광고와 재미 212 / 믿을 수 없는 광고 213 / 광고와 구매 214

소비생활 :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4개 유형의 라이프스타일 218 / 가치관 220 / 식생활과 의생활 222 / 소비성향 224 / 충동구매 225 / 브랜드와 정보 탐색 226 / 삶의 만족도 228 / TV와 인터넷 230 /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 231 / 광고반응 233


4장 남성

가치관
현재의 나 238 / 인생 목표 240 / 자기계발 241 / 외모 243 / 돈과 성공 246 / 삶의 질과 재산 248 / 생활과 낭비 249 / 소비의 즐거움 250 / 재테크 251

먹고 입고 사는 것
내 집 마련 255 / 크기보다 어떻게 257 / 도시보다 농촌 259 / 유기농 260 / 건강·자연 식품 262 / 먹는 데 쓰는 돈 263 / 영양가 265 / 미식가 266 / 분위기 267 / 패션 감각 268 / 빚을 내서라도 271 / 저축보다 소비 272 / 돈을 버는 목적 273 / 자녀의 독립 274 / 노후준비 275

미디어 사용과 광고반응
TV 시청시간 278 / 신문보다 TV 280 / 관심도 282 / 광고효과 286 / 광고반응 288

소비생활
가격, 품질, 브랜드 292 / 충동구매 294 / 소비와 생활 296 / 신제품 298 / 유행과 권유 300 / 대형할인점과 세일 301 / 신용카드 303


5장 실버

영실버와 실버
현재의 나 308 / 현재보다 미래, 가족보다 나 311 / 재테크 313 / 건강, 월수입, 생활만족도 315 / 어려움 317 / 노후생활 318 / 동거와 만족 320 / 소득과 교류 322 / 소득과 동거 323 / 노후준비 324

가치관, 먹고 입고 사는 것
결혼과 남녀관계 326 / 노후 희생 328 / 가족과 나 329 / 외모 332 / 패션의 중요성 333 / 주위 사람의 옷 334 / 패션 감각 335 / 식도락 337 / 비만 339 / 내 집 마련 340 / 도시보다 농촌 341 / 실버타운 343

미디어 사용과 광고반응
TV 시청시간 347 / 신문 열독시간 349 / TV와 여가 351 / 인터넷 사용 목적 352 / 여가활동 355 / 즐겨 보는 프로그램 357 / 광고 관심도 359 / 광고 주목도 361 / 광고와 구매 363 / 좋아하는 광고 365

소비생활
비쌀수록 368 / 브랜드와 품질 370 / 유명 브랜드 371 / 충동구매 373 / 쇼핑의 즐거움 376 / 생활과 낭비 378 / 패션, 유행, 신제품 379 / 브랜드 충성도 381 / 세일 기간 383 / 대형할인점 384 / 물건을 살 때 385 / 광고와 구매 386 / 비싸도 브랜드 388


6장 세대별 마케팅·광고 전략

청소년
이질성에 주목하면서 차별 전략을 집행하라 393 / 브랜드 상징성을 중시하라 396 / 소비의 양면성을 활용하라 397 / TV 광고-유머와 동일시 전략을 고려하라 398 / '실제 자아'를 강화하는 마케팅, 광고에 초점을 맞춰라 398 / 외모 중요성의 실체를 정확히 인식하라 399 / 동조욕구를 활용하라 400 / 지나친 물질주의 포장을 지양하라 401

여성
'주체성'에 초점을 맞춰라 403 / '뷰티' 마케팅에 주목하라 405 / 주부 대상의 '여가' 마케팅에 주목하라 406 / 고정된 '성 관념'에서 탈피하라 407 / 라이프스타일에 소구하라 409

남성
긍정적 자아를 강화하는 전략에 초점을 맞춰라 411 / 중년 남성-외모의 중요성을 부각하라 412 / '헬스' 마케팅에 주목하라 413 / 노후 준비 중심의 재테크 시장에 주목하라 415 / '가치' 마케팅에 주력하라 415 / '디테일'을 중시하라 416 / 합리적 의사결정 행동을 파고들어라 417

실버
나이가 아닌 라이프 타입으로 접근하라 419 / 보상심리에 주목하라 420 / 자아성취 욕구를 자극하라 421 / 소매금융의 틈새 실버 시장 423 / 보릿고개 시절 소비자로 보지 말라 426 / 광고효과, 여성 실버에 주력하라 428


찾아보기 432

저자소개

박은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고려대학교에서 소비자 및 광고심리학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온오프라인 통합시대 소비자행동의 심리, 아름다움의 권력, 광고심리학, 한국인의 미디어와 소비트렌드 등이 있고 주요 활동으로는 한국소비자 ‧ 광고심리학회 부회장, 한국장애인재활상담사협회 이사로 활동중이며, 주요 관심 영역은 소비자 및 광고심리학이다. 최근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연구를 위해 대구사이버대학에서 재활상담학을 공부하고 장애인생산품 광고마케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펼치기
우석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년간 현장에서 광고, 브랜드 전략 업무를 수행하였다. 대홍기획 마케팅 연구소, Lee & DDB(현 DDB Korea) Consumer Insight Center 소장을 거쳐 금강기획에서는 마케팅 컨설팅 팀을 신설하여 팀장을 역임했으며, 코마코 Brand Center 소장을 끝으로 현장에서 떠나 현재는 대전대학교 경영대학 산업·광고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소비자·광고심리학 전공으로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광고와 브랜드 실무를 위한 심리학적 모형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실전 광고기획 에센스』 『광고 심리학』 『한국인의 미디어와 소비트렌드』 등의 저서가 있으며, 「상표자산의 심리학적 접근」 「모브랜드-확장제품의 유사성, 확장제품가격 및 지각된 위험이 확장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시간적 거리와 브랜드확장 적합성이 확장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 브랜드 광고 기대불일치성의 조절적 역할」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20대 여성보다 50대 여성이 비만을 염려하여 먹는 것을 자제하는 비율이 더 높다는 사실은 의외의 결과다. 다시 말하면 중년 여성들 역시 날씬한 몸을 갖고 싶어 하는 마음이 젊은 여성이나 매한가지라는 것이다. 2000년대 중반부터 불기 시작한 ‘몸짱’ 신드롬은 10대부터 50∼60대 나이 든 여성까지 날씬함을 위한 노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향후 각종 다이어트 시장의 규모가 점점 더 커질 것임을 예상케 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 ‘세대별 특성과 가치-먹고 입고 사는 것’ 중에서


자신에 대한 만족감이 외모 만족, 경제적 만족, 남편(미혼의 경우는 가족)에 대한 만족 중 어느 것과 더 관련성이 높은지 분석해 보니 재미있는 결과가 나왔다. 1924여성보다 3544여성의 경우 외모 만족감이 전반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 또한 각 연령대별로 볼 때, 결혼생활의 초반기 혹은 사회생활의 초기인 2534여성들은 경제적 만족이 전반적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고, 외모 만족이 두 번째이며 가족에 대한 만족감은 영향력이 낮다.
- ‘여성-가치관’ 중에서


소비자 심리학에서는 최근 ‘인지연령(cognitive age)’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소비자의 실제 연령보다 인지연령에 따른 시장 세분화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나이가 들수록 인지연령과 실제연령 간의 차이는 커진다. 다시 말해서 45세 여성은 자신을 30대 후반으로 55세 여성은 자신을 40대 중반으로, 65세 여성은 자신을 50대 초반으로 여긴다는 것이다. 그리고 보다 중요한 사실은 이렇게 자신을 실제보다 젊게 인식하는 소비자들이 구매와 소비행동에서 보다 적극적이라는 점이다.
- ‘실버-미디어 사용과 광고반응’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85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