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사
· ISBN : 9788984999978
· 쪽수 : 418쪽
· 출판일 : 2008-08-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한국영화 기술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1 들어가며
2 촬영
동시녹음 카메라의 도입
카메라 이동수단의 다양화
디지털 기술의 도입
DP 시스템에 따른 촬영기사의 역할 변화
3 조명
HMI 조명기의 도입
대용량 조명기의 사용
DP 시스템에 따른 조명기사의 역할 변화
4 현상
영화진흥공사 현상실의 역할
민간 현상소의 변화
DI 도입에 따른 현상소의 변화
5 사운드
녹음 진행 과정
동시녹음의 전면적 실시
영화진흥공사 녹음실의 변화
민간 녹음실의 변화
영화 사운드 믹싱과 디지털 기술의 도입
6 편집
동시녹음과 사운드 편집
필름에서 디지털로 전환
디지털 논리니어 편집의 특징
현장 편집과 디지털 편집 시기의 도래
7 미술
1960∼1970년대 영화미술의 시작
1980년대 영화미술의 상황
서울종합촬영소 오픈과 프로덕션 디자이너의 등장
8 소품
1980년대 이전 영화 소품
1980년대 이후 영화 소품의 변화
9 의상
10 분장과 특수분장
11 특수효과
12 컴퓨터그래픽
13 영사
1980년대 이후 영사 기술의 변화
카본 광원에서 제논 램프로의 전환
이스타 베이스 필름의 배급
소극장 확대와 국내 영사 시스템의 발전
멀티플렉스 극장에서 영사의 변화
14 나가며
영화인 24명을 인터뷰하다
1 촬영 박현철
2 조명 임재영
3 기자재 김태우
4 현상 ① 윤종두
5 현상 ② 한광동
6 현상 ③ 최두영
7 편집 ① 함성원
8 편집 ② 김현섭
9 녹음 박기영
10 미술 ① 노인택
11 미술 ② 양홍삼
12 제작 박영실
13 소품 김호길
14 의상 권유진
15 분장 장진
16 특수효과 박광남
17 컴퓨터그래픽 이광일
18 영사 ① 구본일
19 영사 ② 김대섭
20 영사 ③ 김도희
21 영사 ④ 김보년
22 영사 ⑤ 김부환
23 영사 ⑥ 유인규
24 영사 ⑦ 이흥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에피소드지만 테렌스 영 감독(<오! 인천> 감독)은 한강 다리를 폭파하겠다 그랬어요. 테렌스 영 감독이랑 나랑 한동안 언쟁이 심했어요. 아무리 돈이 많더라도 한강 다리는 우리나라 상징인데 그걸 폭파하고 다시 놔주겠다, 이건 말도 안 된다. 그래서 우리가 헌팅을 해서 덕소에 가면 한강 다리와 비슷한 게 있는데, 그 다리에서 촬영을 했어요. 거기서 사람도 한두 사람 죽었죠. 왜냐하면 촬영 끝난 다음에 관리가 소홀해 가지고 자전거 타고 가다 떨어져 죽은 사람도 있고….
- 박영실 인터뷰 중
스테디캠이 국내 영화계에 도입된 것은 1990년대 초반이다. 박현철 촬영감독이 미국 유학을 마치고 국내에 돌아오면서 구입해 사용하기 시작한 이후 국내에 스테디캠 사용이 활성화된다.
- 제2장 중에서
이해윤은 평균 의상 인건비는 작품당 100만 원이었고, 그나마 1960년대처럼 대작이나 사극물이 없어 일이 없을 때가 많다고 했다.
한국영화 의상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 이해윤은 국내에 영화 의상 디자이너라는 분야가 생기기 전인 1956년 <자유전선>을 시작으로 영화 의상 전문 디자이너의 일을 시작했다. 당시의 영화 의상은 담당 스태프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배우들이 자신들의 배역과 취향에 맞는 의상을 골라와서 입는 것으로 영화 의상을 대신했다. 영화 의상에 대한 가치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여건 또한 열악했다. 그러나 이해윤은 초기 한국영화에서부터 1996년 은퇴작 <애니깽>까지 영화 의상을 디자이너의 창작물로 전환시킨 한국영화 의상의 개척자이자 산증인이다.
- 제9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