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85635592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4-01-0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론·1990년대
전지구화 흐름과 일본의 아시아 회귀
일본-아시아-서구
전지구화 흐름 속에서 근대 아시아로 돌아가다
이 책의 구성
1. '일본화'를 다시 생각한다
전지구화와 지역화의 충돌
일본 문화의 색채를 띠지 않는 상품
일본화?
전지구화 속의 탈중심화 역학
미국의 전지구적 문화 패권의 변용
구조화되는 문화 차이
전지구적 눈으로 본 일본의 문화적 영향력
아시아에서 재배치되는 문화 불균형
2. 혼종주의
세계에서 일본이 갖는 문화/문명적 의의에 관한 언설
혼종과 혼종주의
이민족 동화에서 상징적 문화 혼종으로
서구를 길들이는 일본
전지구화 이론과 일본의 이문화 수용 능력
문화에서 문명으로
일본 문명의 세계사적 사명
아시아 문명과 일본의 대중문화
3. 연성 국가주의
기술 국가주의 대 기술 오리엔탈리즘
그로테스크 재팬
연성 국가주의과 그 불안
전지구적 문화 왕래의 복잡성
아시아 문화 외교, 일본 문화 수출이란 사명
'일본화'된 아시아?
4. 글로컬라이제이션
일본 미디어 산업의 아시아 시장 전략
아시아 지역의 미디어 전쟁, 일본의 뒤늦은 시작
아시아 시장에서 펼치는 지역화 전략
이문화를 토착화하여 상품으로 만드는 일본
아시아의 '현지' 스타 발굴
글로컬라이제이션의 한계
동아시아 시장에서 동시적으로 유통되는 미디어
아시아의 근대성?
5. 문화적 근접성.동시성의 유기적 결합
대만의 '일본 트렌디 드라마' 수용 상황
옅어지는 '일본'에 대한 관심?
문화적 근접성
동아시아 미디어 시장 상황
일상 속의 '일본 트렌디 드라마'
'도쿄 러브 스토리'를 본다
정서적 리얼리즘과 문화적 근접성
문화적으로 가까워진다는 것, 근접성·동시성의 유기적 결합
6. 일본에서 소비되는 아시아 대중문화
문화 공통성과 시간 차이
'아시아는 하나다'?, 딕 리의 혼종적 대중음악
범아시아적 문화 융합 충동의 재발
자본주의적 발전 축으로 흡수되다
아시아에 대한 자본주의적 향수
잃어버린 근대화의 에너지
'멋진 홍콩'을 판다
아시아 근대성에 대한 향수
동아시아의 자본주의적 동시간성
결론·아시아라는 꿈의 세계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일본은 서구 못지않은 고도의 산업화를 이룬 유일한 비서구 국가로 '로컬'과 '글로벌'(서구) 문화를 교묘하게 섞어 온 경험자의 독특한 지위를 누려왔다. 그러나 이것이 더는 일본이 독점할 경험이 아니며 도시를 중심으로 한 여러 아시아 지역에서 흔한 경험이 되고 있다. (p.33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