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로 3호 : OMA

미로 3호 : OMA

(2025.여름)

강현석, 김건호, 남성택, 배윤경, 오도영, 이장희, 이희준, 임성훈, 전재우, 정대인, 정만영, 조민석, 최나욱, 최성민, 최원준, 현명석, 뱅상 푀 뒤발롱 (지은이), 미로 편집실, 정림건축문화재단 (엮은이)
마티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로 3호 : OMA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로 3호 : OMA (2025.여름)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90853699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5-08-30

책 소개

연 3회 발간되는 건축잡지 『미로』는 한국 현대 건축의 담론을 발굴하고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매호 선정한 주제에 집중하는 글로만 구성되는 텍스트 중심의 잡지로 3호의 주제는 “OMA”이다.
『미로 3: OMA』를 엮으며
1974년, 막 서른이 된 렘 콜하스는 『오포지션스』(Oppositions) 3호에 1931년 미국 보자르 아카데미가 개최한 건축가들을 위한 가장무도회에 대한 짧은 글을 실었다. 크라이슬러 빌딩 등 당시 뉴욕의 하늘에서 경쟁하던 건물을 지은 건축가들이 자신의 건물처럼 생긴 옷을 입고 연회에 오르는 이벤트였다. 렘 콜하스는 본질적으로는 같지만 경쟁 때문에 아무런 의미도 없는 개성을 뽐내고 있다고 진단한다. 이 글은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다섯 건축가들(피터 아이젠만, 마이클 그레이브스, 찰스 과스미, 존 헤이덕, 리처드 마이어로 『오포지션스』를 주도하는 구성원이기도 했다)이 2년 전 1972년 개최한 전시 《다섯 건축가들》(Five Architects)를 겨냥하고 있었다. 1931년과 1972년 40년의 시차를 두고 벌어진 두 이벤트는 평행을 이룬다. 1931년, 유럽의 모더니즘이 절정 또는 파국에 달했던 그 때, 뉴욕에서는 (모더니즘이 극복하고자 했던 바로 그) ‘보자르’ 아카데미에서 가장무도회를 열었다. 1972년 뉴욕의 젊은 건축가들은 (불과 몇 년 전 냉혹한 비평의 대상이 되었던) 유럽의 전성기 모더니즘 건축을 뒤따르고 있었다. 뉴욕은 ‘지나간’ 유럽을 흠모하고 있었고, 렘 콜하스는 눈길을 받지 못한 뉴욕의 특징을 편집증적으로 뒤지고 있었다. 만프레도 타푸리는 렘 콜하스의 이 시절을 ‘농담’이라고 평했다. 50년이 지난 지금 렘 콜하스의 언어는 가장 진지한 말, 현실적 힘을 행사하는 농담이 되었다. 그 농담이 시의적절함과 위트, 날카로움을 여전히 지니고 있는지는 별개의 문제이지만 말이다. 다시 20여 년이 흐른 1996년 뉴욕의 건축가들은 자신들의 건축물을 본뜬 옷을 입고 『베니티 페어』(Vanity Fair)를 위해 카메라 앞에 섰고, 렘 콜하스는 전설 속의 ‘방황하는 네덜란드인’처럼 전 지구를 헤매고 있었다. 아시아는 뉴욕에서 벼린 이론을 실험해볼 좋은 기회로 부상했다.
바로 이 시점부터 한국도 저 속으로 얽혀 들어간다.
인적 교류, 한국 프로젝트, 담론 등 모든 면에서 한국은 OMA 시대의 당사자다. 김중업이 예외와 우연을 힘겹게 이어붙인 뒤에야 르 코르뷔지에의 파리 아틀리에 초인종을 누른 사건이나, 예외적인 행운을 누릴 수 있었던 김종성이 미스의 제자가 될 수 있었던 것과는 다른 국면이다. 이전에 모더니즘 거장과 한국 건축의 관계는 일방적이었고 시차의 낙차 속에 작동했다면, 1990년대 후반부터 세계 건축계와 한국의 관계는 쌍방향적이며 동시대적이었다. 그 관계의 강도와 밀도가 동등하지는 않았고, 동시대성 안에서 일어난 오해와 억측이 난무했다 하더라도 말이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경제 성장이 없었다면 스타키텍트(starchitect)라는 조어는 분명 지금과 사뭇 다른 뉘앙스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 맥락에서 한국에서 렘 콜하스와 OMA를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 이번 호의 목표다. OMA를 한국과 서울이라는 렌즈를 통해 바라보려 했다.

목차

『미로』를 엮으며 _ 박정현
비자각적 콜하시스트들의 사회 _ 정대인
오,마이 숭고!_강현석
1990년대 중반의 렘과 조민석과의 대화 _ 조민석, 박정현, 최원준, 배윤경
20세기 말 한국 건축학도의 눈에 비친 콜하스에 대한 년 후의 회고 _ 최원준
OMA 아시아, 그 시작 _ 뱅상 푀 뒤발롱
세상에 있는 『S,M,L,ML』 수만 부를 모두 합치면 무게가 얼마나 나갈까? (글 내용과 무관함) _ 최성민
정크스페이스 키즈™ _ 전재우
단체 이름의 역사 _ 이희준
OMU+OMA _ 김건호
자유와 창조:파울 프랑클의 경우와 렘 콜하스의 경우 _ 임성훈
정신착란증의 서울 _ 최나욱
계획과 무계획 사이: OMA송도 실험의 이상과 한계 _ 오도영
다이어그램: 복잡한 것, 날것, 그리고 불투명한 것 _ 현명석
거대 건축에서 절대 건축으로: OMA 뉴 홍익 캠퍼스와 서울의 도시 정치 _ 이장희
렘 콜하스와 이질적 아큐뮬라시옹 _ 남성택
렘 콜하스 건축의 실험 _ 정만영

저자소개

최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최슬기와 함께 ‘슬기와 민’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그래픽 디자이너다. 지은 책으로 『원형체 – 탈네모틀 한글의 기원』(2025), 『누가 화이트 큐브를 두려워하랴』(최슬기 공저, 2022), 『재료: 언어 – 김뉘연과 전용완의 문학과 비문학』(2020), 『그래픽 디자인, 2005~2015, 서울 – 299개 어휘』(김형진 공저, 2022), 옮긴 책으로 『알파벳의 발명』(최슬기 공역, 2024), 『리처드 홀리스, 화이트채플을 디자인하다』(2021), 『멀티플 시그니처』(최슬기 공역, 2019), 『왼끝 맞춘 글』(2018), 『레트로 마니아』(2017), 『파울 레너』(2011), 『현대 타이포그래피』(2020), 『디자이너란 무엇인가』(2020) 등이 있다.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과 타이포그래피를 가르친다.
펼치기
배윤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와 네덜란드의 베를라헤 인스티튜트를 졸업했다. 대학에서 건축 설계와 이론을 강의하며 다양한 매체에 칼럼을 쓰고 있다. 건축적 재현과 원근법에 관한 담론을 중심으로 공간의 생성과 수용 방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저서로는 『암스테르담 건축 기행』(2011), 『어린이를 위한 유쾌한 세계 건축 여행』(2012)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아모레퍼시픽 본사의 건설 과정을 기록한 『New Beauty Space』(2021), 현대카드가 지난 20년간 펼쳤던 공간 프로젝트의 과정과 의도를 담은 『The Way We Build』(2021)가 있다.
펼치기
정대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튜디오 푼크툼 소장. 프랑스 파리 말라케 국립건축학교에서 학사,석사,프랑스 건축사 과정을 마친 후, 파리의 Bureau des Mesarchitectures와 서울의 매스스터디스에서 실무를 경험했으며, 현재는 중국 원저우-케인 대학교 건축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논란의 건축 낭만의 건축』(2015)이 있다. 스튜디오 푼크툼은 ‘보다’라는 관습적인 행위에 미묘한 교란을 가하는 건축적 방법론을 탐구한다. 시선이 작동하는 구조를 재구성함으로써 공간이 새로운 지각의 계기가 되는 방식을 탐색한다. 픽션을 매개로 건축적 상상력의 가능성을 실험한다.
펼치기
조민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3년 서울에서 매스스터디스를 설립했다. 사회 문화 및 도시 연구를 통해 새로운 건축적 담론을 제시한 대표작으로는 픽셀 하우스, 실종된 매트릭스, 다발 매트릭스, 상하이 엑스포 2010 한국관, 다음 스페이스 닷 원, 티스톤 & 이니스프리, 사우스케이프 스파 & 스위트, 돔-이노, 대전대학교 기숙사, 스페이스K 미술관, 페이스 갤러리 서울, 원불교 원남교당, 주한 프랑스대사관 신축 및 리노베이션(SATHY 공동설계) 등이 있다. 현재는 설계공모 당선작인 서울영화센터, 당인리 문화창작발전소, 양동구역 보행로 조성 사업과 연희 공공주택 복합시설을 진행 중이다.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전시를 공동 기획했고, 2014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시 《한반도 오감도》의 커미셔너 겸 큐레이터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 삼성미술관 플라토에서 《매스스터디스 건축하기 전/후》를 열었다. 2024년에는 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의 건축가로 초대되었다.
펼치기
남성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교수로 근현대 건축 역사 및 이론과 설계를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학사, 프랑스 파리 마른느 라 발레 건축대학에서 석사 및 프랑스 공인 건축사,스위스 로잔 연방공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길 종합건축사무소, Du Besset et Lyon architectes, PSRL architectes 등에서 건축 실무를 경험했다. 2019년 뉴욕대학교의 The Institute of Fine Arts의 방문학자였으며, 『아키라우터』(archirouter)의 편집장이다. 건축을 중심으로 오브제 디자인에서 도시계획에 이르기까지, 스케일의 구분 없이 삶에 관련된 인위적 환경에 관련된 구성, 구축, 변형 등 여러 총체적 이론과 디자인 연구에 관심을 둔다.
펼치기
최나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영국왕립예술대학 대학원에서 건축학을 전공했다. 현대문화가 일시적 유행을 넘어 어떻게 고전이 될 수 있는지, 고전이 역사를 지나 어떻게 현대성을 전달하는지 관심을 가지고 건축 실무와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조선 후기의 문인으로부터 현대성을 살피는 『자하 신위』, 서울의 클럽을 통해 동시대 문화를 논의하는 『클럽 아레나』를 썼으며, 서울시립미술관 신진미술인으로 《방으로 간 도시들》을 비롯한 여러 전시를 기획하고 디자인했다 . 현재 UC 샌디에고 대학의 Visiting Scholar 이자 전주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현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부와 대학원에서 건축을 공부했고, 20세기 중반 미국 건축 사진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축에 관한 글을 쓰고, 대학에서 건축 역사, 이론, 설계를 가르친다. 역서 및 저서로는 『지붕 없는 방』(공저,2023), 『건축의 이론과 실천 1993-2009』(공역, 2021), 『삶을 짓는 사람들: SH 건축의 오늘 그리고 내일』(공저, 2020), 『건축표기체계』(공편역, 2020), 『건축 사진의 비밀』(공저, 2019) 등이 있다. The Journal of Architecture, The Journal of Space Syntax, 『C3』, 『건축평단』, 『와이드AR』, 『SPACE』, 『건축문화』 등에 논문과 글을 실었다. 건축 매체와 한국 현대 건축에 관한 연구와 저술에 몰두하고 있다.
펼치기
정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에서 「건축형태의 자의적 생성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축설계와 이론이 매개되는 지점에서 현대 건축 이론에 관심을 집중해오고 있다. 철학아카데미의 건축강좌 ‘건축이론 아카데미’, ‘아키포커스_건축이론’ 등 건축이론을 대중화하는 여러 강좌를 진행했으며, 한국건축가협회 평론분과위원장, 한국건축역사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에서 근무했고, 현재는 저술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펼치기
강현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내러티브와 텍토닉에 주목하는 설계회사의 공동대표다. 대한민국 건축사이자 스위스건축가협회(회원으로,주요 작업에 서울시 통합 수장고, 진실과 화해의 숲, 서울 대청, 카페 루티니아 등이 있다. 저서로는 『투발루 프로젝트』(공동 저서로 『제로의 책』, 『포스터 시리즈 시스템 2년 이후 뮤지엄 아이덴티티로서 포스터 시리즈에 대하여』가 있다. 영화와 건축 사이의 개념적 접점을 탐색하는 칼럼을 정기적으로 연재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강사로 설계 수업을 맡고 있다.
펼치기
오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지역 및 도시계획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과와 자유전공학부에서 도시인문학 전공 조교수로 일하며 비판적 도시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다. LSE와 홍콩 링난대학교, 부산대학교에서 교육과 연구를 진행했으며, 건축과 부동산 개발과 관련한 실무를 경험했다. 주요 저술로는 COVID-19 and Southeast Asia(2022)가 있으며, Cities, Geoforum, Journal of Urban History 등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했다. 주요 관심사는 동아시아 도시의 정치경제학,포스트 콜로니얼 도시화다.
펼치기
이희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캐논비전(canon vision)의 공동대표다. 『건축평단』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C3』, 『와이드AR』, 『건축평단』 등의 지면과 두 권의 단행본에 건축과 영화에 관한 글을 썼다. 한양대학교 ERICA 겸임교수, AA Visiting School Seoul 튜터를 거쳐 국민대학교에서 건축설계를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건축학전공을 졸업하고 영국 왕립예술학교에서 최우수 논문으로 건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전재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이퍼스팬드럴을 운영하며 건축, 전시, 미술, 제품, 기획 등에서 다양한 공간개념적 작품으로 하나의 세계관을 조성 중이다. 캐나다 워털루대학교와 하버드 GSD에서 공부했다. 현재 한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혈액형 AB형, 별자리는 전갈자리, MBTI는 INTJ다.
펼치기
김건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SGHS 설계회사의 공동대표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겸임교수다. 코넬대학교와 하버드 GSD에서 건축을 공부했고, 한국과 미국에서 일을 했다. 코넬대학교 재학 시절에 『도시 속의 도시-베를린: 녹색 군도』(The City in the City-Berlin: A Green Archipelago, 2013)의 공동 저자였던 아서 오바스카(Arthur Ovaska, 1951-2018)에게 사사했으며, 이를 계기로 오스발트 마티아스 웅거스의 이론과 작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이어오고 있다.
펼치기
이장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영국건축사로,A스쿨과 연세대학교에서 공부했다. 건축 형식과 도시 역사,정치 이론에 관심이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 아파트의 역사와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보는 워크숍 〈공유 블록:한국 아파트의 주택 문제〉를 계원예술대학교에서 진행했다.
펼치기
임성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명대학교 교수,『건축평단』 편집위원. 공정건축연대 대표다. 설계공모를 중심으로 부산에서 공공건축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건축적 논의로 이어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왔으나, 기존의 사회적 체계 내부에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넓은 범위에서 사회적 문제를 탐색하고 있다. 사회의 여러 그룹 사이의 연계에 관심이 있으며, 특히 일본이나 서구의 모델이 아니라, 우리의 문화적 연결고리 속에서 이질적인 지점을 찾아 이어보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최원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교수로 건축 역사, 이론, 디자인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및 대학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이로재에서 실무를 익혔으며,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를 진행했다. 최근 공저로 『우리가 그려온 미래』(2022), 『집합의 건축』(2024), 『김중업, 그 유산과 미래』(2025) 등이 있고, 공동 큐레이터로 《Sections of Autonomy: Six Korean Architects》(2017)와 《Cosmopolitan Look: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1989-2019》(2019)를 기획했다. 목천건축아카이브 운영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원정수, 지순, 김종성, 유걸, 조성룡 등 건축가의 구술사업을 진행했다.
펼치기
뱅상 푀 뒤발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저우-케인 대학교 마이클 그레이브스 공공건축 칼리지의 설립자이자 부교수다. 그는 파리의 에꼴 스페시알에서 건축 전문 학위를 받았고,홍콩대학교와 베르사유 건축학교에서 수학했다. 파리의 크리스티앙 드 포르장파르크와 프레데릭 보렐의 사무실에서 실무 수련을 한 뒤, 아시아에서 자신의 전문 실무를 시작했다. 서울의 스페이스 그룹(Space Group)에서 3년간 근무한 후 중국으로 건너가 여러 건의 건축 재생 프로젝트를 완수했다. 2017년부터는 그래픽 디자이너 후앙 야오야오(Huang Yaoyao)와 함께 공동 설립한 원스튜디오(Oncetudio)를 통해 인테리어 디자인부터 도시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케일에서 활동하고 있다. 학문적 연구는 아시아의 동시대적 지역성 환경과 신흥 도시 경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저장성 남부의 원저우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급변하는 도시 맥락 속에서 건축 실무, 디자인 교육, 도시 변형이 교차하는 지점을 탐구하고 있다.
펼치기
정림건축문화재단 (엮은이)    정보 더보기
정림건축문화재단은 건축문화의 성숙과 확장을 위해 일합니다. 건축문화의 매개자이자 플랫폼으로서 미디어, 출판, 연구, 교육 등 폭넓은 영역에서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사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재단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삶의 중요한 바탕인 건축을 문화적 형태로 전달하고, 건축계의 담론 형성을 돕고, 건축의 사회문화적 면모가 우리 일상에 자리 잡도록 힘쓰고 있습니다. junglim.org
펼치기
정림건축문화재단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