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88986434880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8-06-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
버미글리는 누구인가? 2
오늘 우리가 버미글리를 알아야 할 필요는 무엇인가? 6
종교개혁의 핵심적 특징을 보여준 버미글리 8
제1부
1. 피터 마터 버미글리의 생애 11
1. 이탈리아 시절 (1499-1542) 12
1.1. 출생과 교육 (1499-1525) 13
1.2. 버미글리의 이탈리아 사역 20
1.3. 종교재판소의 등장과 망명 (1542) 31
2. 제1차 스트라스부르 시절 (1542-1547) 40
2.1. 취리히와 바젤 경유 40
2.2. 스트라스부르의 형편 42
2.3. 스트라스부르 정착과 사역의 시작 44
2.4. 변화된 상황과 영국에서의 초청 56
3. 옥스퍼드 시절 (1547-1553) 59
3.1. 에드워드 6세 치하의 영국 종교개혁의 배경 62
3.2. 옥스퍼드에서의 버미글리의 사역 65
3.3. 영국교회의 개혁 작업 참여 76
3.4. 메리 치하에서 다시 스트라스부르로 83
4. 제2차 스트라스부르 시절 (1553-1556) 86
4.1. 스트라스부르의 변화된 교회정치적 지형 87
4.2. 신학교 강의 89
4.3. 루터파와의 갈등과 사임 94
5. 취리히 시절 (1556-1562) 100
5.1. 강의와 주석 103
5.2. 구약성경 주석에 나타난 신학적 주제들 107
5.3. 예정론을 둘러싼 갈등 122
5.4. 프와시 논쟁 (1561) 124
5.5. 취리히의 신학자 버미글리 129
제2부
II. 피터 마터 버미글리의 신학 사상 135
1. 서론 138
1.1. 버미글리의 지적 배경 138
1.2. 버미글리의 ‘신학총론’ 155
2. 삼위 일체 하나님에 대한 고백 166
2.1. 버미글리 신론의 특징 166
2.2. 하나님의 속성 169
2.3. 삼위일체 171
2.4. 버미글리의 『사도신경 해설』에 나타난 신론의 윤리적 정향 176
2.5. 칼빈과의 비교: 버미글리의 삼위일체론 논의의 특징 179
3. 버미글리의 칭의론 184
3.1. 인간의 자유의지와 하나님의 은혜 185
3.2. 버미글리의 로마서 주석 190
3.3. 버미글리의 ‘칭의론에 관한 신학논제’ 193
3.4. 버미글리 칭의론의 주요한 특징들 210
3.5. 버미글리의 칭의론의 의의와 영향 218
4. 예정론 230
4.1. 예정론 신학논제의 구성 233
4.2. 예정의 본질과 정의 239
4.3. 예정의 원인 245
4.4. 예정의 결과들 251
4.5. 예정의 필연성 255
4.6. 버미글리 예정론 평가 262
5. 성찬론 265
5.1. 성례의 본질 및 성찬의 정의 265
5.2. ‘성찬논고’ 281
5.3. ‘대화’ 301
5.4. 버미글리의 개혁파 성찬론에 대한 평가와 의의 327
나가는 말 335
버미글리 연표 340
참고문헌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