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88986946185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07-06-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집에 대한 단상
1장 잃어버린'우리 집'을 찾아서
한옥이란
'집'-교환가치냐, 사용가치냐
도시를 닮아 가는 농촌, 그대로 좋은가
무엇을 할 것인가
'현대 한옥', '현대 흙집'의 정의
현대'우리집'의 정형 찾기
사괘맞춤
2장 한옥의 진화 과정 - 현대 한옥, 현대 흙집을 말한다
1. 산업의 변화 - 배치와 공간 구성이 달라지다
2. 난방, 생활 방식의 변화 - 기초공법, 설비 방식의 변화를 가져오다
3. 구조 방식의 현대화 - 뼈대, 처마, 지붕의 가구 방식이 변하다
4. 건축 소재의 다양화 - 흙벽과 창호의 현대화로 단열과 전망 문제를 해결하다
5. 현대 한옥, 현대 흙집의 탄생 - 전통과 현대의 변증법적 통일을 지향하다
6. 건축 방식의 변화 - 직영에서 도급으로
농촌에서 집 짓고 살아가기
3장 사진으로 보는 '현대 한옥', '현대 흙집' 짓기
현대 한옥, 현대 흙집 공정 개요
택지 조성 및 기초공사
목재 반입, 간이주추 시공, 입주, 상량
한옥 목구조 맞배집의 처마 지붕 공사
한옥 목구조 팔작집의 처마 지붕 공사
기와 공사
벽체(흙벽)만들기 - 조적 공사
내장 공사, 전기 설비 공사
외벽 줄눈, 황토벽 미장, 구들+난방 설비 및 황토방 만들기
창호 설치, 타일 공사, 바닥 돌 시공, 칠 공사
보일러 설치, 위생기 설치, 도배, 장판, 온돌마루, 쪽마루 시공
현관 대문, 주방 가구, 벽난로, 붙박이장, 전등 설치
부대 공사 1 : 누마루, 솟을대문, 돌담
부대 공사 2 : 굴뚝, 아궁이, 계단 울타리, 조경, 대문
기타 : 경량 목구조 현대 흙집 시공 과정
내 마음의 담
4장 한눈으로 보는 현대 흙집, 현대 한옥의 변화 과정
1999~2001 건축 양식으로서 현대 흙집 태동기
2002~2003 현대 흙집의 대중화를 위한 실험기
2004~2005 현대 한옥으로 이행기
'기다림'은 전원생활의 필수다
5장 도면으로 보는 흙집 사례
경량 목구조 현대 흙집 단층
경량 목구조 현대 흙집 복층
한옥 목구조 맞배지붕 현대 한옥 단층
한옥 목구조 맞배지붕 현대 한옥 복층
한옥 목구조 팔작지붕(홑처마) 현대 한옥 단층
한옥 목구조 팔작지붕(홑처마) 현대 한옥 복층
한옥 목구조 팔작지붕(겹처마) 현대 한옥 단층
한옥 목구조 팔작지붕(겹처마) 현대 한옥 복층
부록 - 비용 산출과 건출물 관리 요령
공사 항복과 그에 따른 총 공사비를 산출하라
건축 비용은 집의 유형, 자재와 공법, 마감 사양에 따라 결정된다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고, 공정별 예산 집행으로 분쟁을 최소화하라
집의 호적 등록과 건출물 관리 요령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대 한옥의 구들은 선택 사항이다. 보일러를 통한 배관 난방에 황토방이 일반적인 형태이고 작은 방 하나 정도를 구들방으로 두는 경우가 많다. 난방 방식의 변화와 함께 일상적으로 구들방에 장작을 때기 어려운 현대인의 생활을 반영한 것이다. 구들방 또한 평상시에는 배관 난방이 가능하도록 이중 난방 형태를 취하는데 구들을 놓은 후, 그 위에 배관 난방을 하는 형태다.
현대 한옥의 구들 놓는 방식은 전통 구들 놓기 방식과 차이가 난다. 우선 집의 배치에서 아궁이와 굴뚝의 위치 선정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집의 전면보다는 후면이나 측면에 구들방이 위치하는데 아궁이와 굴뚝을 직선으로 나란히 놓지 않고 기역자 형태나 디귿자 형태를 취한다. 아궁이로부터 굴뚝으로 연결하는 사방 측면에 개자리를 두고 가운데는 고래둑을 전체적으로 만드는 방식을 취한다. 개자리로 연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고래둑 위에는 콩자갈을 채워 열효율을 높인 후 그 위에 구들장을 얹는 고래 길목을 다시 구성하는 방식이다.
- 본문 122~123쪽, '현대 한옥의 천장, 구들, 마루'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