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7444673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3-12-30
책 소개
목차
1부 인간의 본성
편집자 해제
1964년 판 서문
1장. 인간은 인간 자신에게 하나의 문제이다
1. 고전적 인간관
2. 기독교적 인간관
3. 근대의 인간관
2장. 인간의 본성에 내재하는 생명력과 형식
1. 인간의 본성에 관한 합리주의적 견해
2. 합리주의에 대한 낭만주의적 반발
3. 낭만주의가 범한 오류들
4. 마르크스주의에 있는 낭만주의적 요소들
5. 상충되는 이론들의 사회적 기초
3장. 근대문화에서 개체성
1. 개체성에 관한 기독교적 견해
2. 르네상스의 개체성 관념
3. 부르주아 문명과 개체성
4. 자연주의에서 개체성의 파괴
5. 관념론에서 자아의 상실
6. 낭만주의에서 자아의 상실
4장. 현대인의 안일한 도덕관념
1. 구체적인 역사적 자료들로부터 악의 근원을 설명하고자
하는 노력
2. 덕의 근원인 자연
3. 관념론의 낙관적 태도
5장. 기독교적 인간관의 적합성
1. 특별계시와 일반계시
2. 계시로서의 창조
3. 역사적이고 특수한 계시
6장. 하나님의 형상과 피조물로서의 인간
1. 성서적 근거
2. 피조물로서의 인간
7장. 죄인으로서의 인간
1. 유혹과 죄
2. 교만의 죄
3. 부정직과 교만의 관계
8장. 죄인으로서의 인간(계속)
1. 죄의 균등성과 죄책의 차등성
2. 관능적 욕구로서의 죄
9장. 원죄와 인간의 책임
1. 펠라기우스주의 교리
2.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리
3. 유혹과 죄의 불가피성
4. 죄의 불가피성과 책임감
5. 축자적 해석의 오류
10장. 근원적인 의
1. 본성과 원초적 의로움
2. 근원적 의로움의 자리
3. 율법, 즉 원초적 의로움의 내용
4. 원초적 의로움의 초월성
리뷰
책속에서
세상 밖에 서서 세상을 초월할 수 있는 이런 능력은 우리를 과대망상에 빠지게 할 수 있으며 우리 자신이 신처럼 우주의 중심이라고 착각하게 만든다. 우리는 자연의 흐름과 유한성으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그런 착각에 빠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사실은 우리는 경험한 것을 단순히 논리적으로 추론해서는 알 수 없는 영원성을 우리의 한계로 가진다. ... 그러므로 (우리 자신과 우리의 세계를 포함한) 전체를 파악하기 위한 유일한 원리는 불가피하게 우리의 이해의 한계를 넘어선다. 이와 같이 이해의 한계를 넘어서지만 이해의 근거가 되는 바로 그 이해의 원리에 의존하지 않고는 인간이 가진 자유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
“자유사회의 이상은 문화적, 종교적, 도덕적 환경이 인간의 본성에 관해 지나치게 비관적이거나 지나치게 낙관적인 견해를 조장하지 않는 곳에서 최고로 실현된다.” Reinhold Niebuhr, The Children of Light and the Children of Darkness(New york: Charles Scribner, 1972), viii.
- 라인홀드 니버(1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