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87141457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9-06-1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서문
1. 신학 연구에서 철학의 기능
2. 신에 관한 논의가 신학과 철학의 관계에서가지는 중요한 의미
3. 하나님에 대한사상에 상응하는 세계 개념 그리고
철학과 개별학문들 간의 긴장
1장 칸트와 신학에 끼친 그의 영향
1. 칸트 철학의 발전에 끼친 신학적 영향
1-1. 초기 저작들에 나타난 칸트의 신 개념
1-2. 창조된 세계
1-3. 이성으로부터의 신 존재증명
2. 『순수이성비판』에서 신의 형이상학적 기능들에 관한 인간론적 해명
2-1. 초월론적 미학에서 공간과 시간의 인간론적 해석
2-2. 오성기능의주관성과 그의 객관적 타당성 문제
2-3. 특수형이상학과 이성의 이념들
3. 칸트의 윤리와 종교철학
4. 칸트의 신학적 영향들
4-1. 초자연주의에서의 칸트 수용
4-2. 각성신학의 발단
4-3. 예수에 의해 선포된 하나님 나라의 윤리적 해석 81
4-4. 초월론적 토미즘
2장 초기 관념론
1. 피히테(Johann Gottlieb Fichte)와 무신론 논쟁
1-1. 피히테의 지식학에 나타나는 그의 자아철학
1-2. 피히테 철학의 근본 특징과 무신론 논쟁
2. 초기 셸링과 헤겔
3. 슐라이어마허와 관념론
3-1. 『종교에 관하여』에 나타난 종교개념의 철학적 요소들
3-2. 슐라이어마허의 『종교에 관하여』에 대한 셸링과 헤겔의 반응
3-3. 셸링과 헤겔과의 관계에서 본슐라이어마허의 철학체계
3장 헤겔의 체계사상
1. 토대와 첫 번째 체계화 작업
2. 실증철학과 『논리의 학』
3. 헤겔의 철학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반응들
4. 헤겔 철학의 지속적인 의미와 한계
4장 인간론으로의 전환
1. 헤겔 이후의 철학적 특징
2. 헤겔과의 결별에서 등장한 새로운 철학적 경향들
2-1. 포이어바흐와 마르크스
2-2. 막스 슈티르너와 키에르케고르
2-3. 딜타이와 역사적 경험의 해석학
3. 신 죽음 이후의 새로운 인간론
3-1. 허무주의 철학자
3-2. 하이데거와 실존주의
3-3. 철학적 인간학
4. 자연철학적 인간론
5장 오늘의 신학과 철학
1. 인간과 종교
2. 철학적 신학과 역사적 종교
3. 세계 개념과 신 개념
책속에서
철학과 신학은 인간과 세계의 실재를 이해하고자 하는 공통의 주제를 가진다. 물론 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신학과 철학을 탐구할 수 있지만 인간과 세계의 실재를 이해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일하다. 철학은 그의 위대한 전통에 따라 이런 과제를 수행할 때에만 다른 학문분야들에 의해 대체될 수 없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신학은 인간과 세계의 창조자를 다루고 따라서 하나님에 관한 논의를 인간과 세계의 실재에 관한 총체적 이해와 관련하여 말할 때에만 비로소 하나님과 그의 계시에 관해 올바로 말할 수 있다. 이때 신학은 비판적으로 방향을 제시해 주는 철학적 반성을 필요로 한다. 한편 철학은 여러 종교들이 주제로 다루는 신적 존재로부터 인간과 세계 전체의 구성을 위한 종교의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고는 세계에서 인간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에 도달할 수 없다. 이때 철학은 순수한 철학적 신 이해를 통해 종교들을 대체하려 해서는 안 된다. 그렇지 않아도 신학과 철학 사이의 긴장관계는 충분하다. 신학은 하나님과 그의 계시로부터 인간과 세계 전체를 사유해야 하는데 반해, 철학적 사유는 인간과 세계의 경험으로부터 그 경험의 절대적 근원을 묻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