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예술 통사/역사 속의 예술
· ISBN : 9788987444765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08-04-20
책 소개
목차
총장님 인사말
관장님 인사말
1장 인간과 예술
문신론 ---쟈크 도판느
문신의 인간과 예술 이병주
쇠만큼이나 강인한 조각가의 귀향 장명수
문신 그리고 그의 예술------쟈크 도판느
불멸의 작가, 문신의 예술----- 정목일
2장 작품세계
문신 군의 작품 길진섭
문신의 작품세계 륙뻴
화해와 쾌감의 형태소 박용숙
문신 귀국전에 부쳐 오광수
균제의 원리에 의한 인공미의 환영 유홍준
시메트리의 변환 이구열
문신의 의태 그 「마니즘」 유준상
신비한 표정의 생태형상 이구열
공간과 기록의 생명률 이흥우(시인)
주와 생명의 운율을 시각화한 바리에이션 피에르 레스타니
문신, 토템 쟝 자크 레베크(프랑스 미술평론가)
파리의 문신----쟈크 도판느
예술, 원초적 예술 쟈크 도판느
작품적 가치살린 입체적 조형공간====== 신항섭
문신의 추상조각 박래부
문신의 조형세계 오광수(미술평론가)
비너스 상에 바치는 무한한 기원 쟝 마리 듀노와이에
내재하며 비상하는 생명력 이흥우
원형이 가지는 의미 김인환
무한대로 비상하는 조형적 질서와 만남 -문신의 작품세계 김남수
태양을 향해 비약하는 생명의 율동 이흥우
문신예술을 향한 불굴의 의지----유준상
창조의 프로메테우스 - 숙대문신미술관 개관에 부쳐 김현화
엄격함에 묻어난 사람 냄새, 문신의 드로잉과 나무조각 조은정
20세기 한국이 낳은 조각가-타계10주기 김명숙(미술평론가)
바덴바덴의 문신 페터 행크
좌우대칭의 조각가 박은주
문신(文信), 기하학과 관능성 사이에서 베르나르 훠실
길 위의 시메트리 김종길
붓을 든 문신 정준모
3장 논문
화가로서의 문신 연구 정준모(미술평론가)
대칭과 비대칭- 문신의 삶과 예술 정준모(미술평론가)
문신 그 예술의 조형적 특성 박은주(경남도립미술관 관장)
예술가 문신의 초상 - 약전 김영호(중앙대 예술대학교수)
4장 리뷰
문신의 화살 장명수
좌우대칭에 우주의 아름다움 오롯이 오미환
독일서 빛난 한국문화의 힘 박종진
헨리무어.알렉산드 칼드.문신 - 한국이 낳은 거장 문신 독일 바덴바덴 조각 김계숙
한국의 영혼----이영국
한국인 문신에서 세계인 문신으로 김인환
종합예술로 거듭나는 문신예술 누구를 위하여 보석은 빛나나 정혜자
문신미술 음악축제에 즈음하여===바덴바댄시장
바덴바덴 국립오케스트라와 문신미술영상음악축제 바덴바덴오케스트라독 10)한국과 우정의 다리------파벨 뱔레프
작곡가 안드레아스 케어스팅의 문신 악보 창작동기 안드레아스 케어스팅
‘문신미술영상음악국제축제’ 에 분주해지는 바덴바덴의 여름 이영국
문신, 바덴바덴에서 음악으로 환생하다 정혜자
문신은 누구인가 박종진
여행에서 배운다 김서령
위대한 조각가 문신 예술혼 기린다 남정호
조각가 문신 예술혼 활활 최병길
잉크로 조각해 낸 우주 임상업
모세혈관의 합창 정영주
‘화가 문신전’ 개최 최덕봉
5장 학술 심포지엄
1) 2005년 마산문신학술심포지엄-문신의 예술세계
(1) 문신의 삶과 예술세계의 특질 정목일(질의자: 이유상)
(2) 예(藝)와 예(禮)의 관점에서 김해성(질의자: 이유숙)
(3) 화가로서의 문신 정준모(질의자: 최열)
2) 2007년 문신국제학술 심포지엄-유럽추상미술과 문신조형예술(마산.숙명여대)
(1) 마산
기하학적 추상과 서정적 추상 베르나르 훠실(질의자: 김영욱)
문신, 그 예술의 조형적 특성 박은주(질의자: 이갑열)
(2) 서울
기하학적 추상과 서정적 추상 베르나르 훠실(질의자: 이봉순)
‘문신의 예술’ 김영호(질의자: 임근우)
3) 2007 국회 심포지엄 - 세계적 조각가 문신의 예술과 국가문화산업발전전략
발제 1. 문신의 삶과 예술이 우리에게 남긴 것 박래부
2. 문신예술 세계화를 통한 국가 문화산업발전전략 염재호
패널 도영심, 허정도, 이형호, 정혜자, 김상철
부록
연보
잡지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