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87647401
· 쪽수 : 791쪽
· 출판일 : 2007-11-26
목차
머리말 ㅣ 5
서 장 ㅣ 25
제 1절. 전략(戰略-Strategy) ㅣ 25
1. 정의 ㅣ 25
2. 전략 용어의 발전 ㅣ 26
3. 전략 용어의 분류 ㅣ 29
4. 전략사상사(戰略思想史 - History of Strategic Thought) ㅣ 30
5. 연구를 위한 접근방법 ㅣ 30
제 2절. 국가전략(National Strategy)과 국가안보전략(National Security Strategy) ㅣ 32
1. 정의 ㅣ 32
2. 국가안보전략의 내용 ㅣ 33
3. 한국국가안보전략문서(2004년 판)의 성격과 구성내용 ㅣ 38
제 1부. 상ㆍ고대(上ㆍ古代) 우리민족 통일국가시대와 열국시대
- BC8000년 ~ 단군원년(BC2333) ~ 2116년(217) ~ 2275년(58) -
제 1장. 우리민족·국가의 개천(開天)과 개국전략 ㅣ 43
- (BC8000) ~ 단군원년(BC2333) -
제 1절. 하느님과 으뜸신의 창세(創世), 개천(開天)시대 ㅣ 43
1. 하느님과 으뜸신의 우주 만물 창조 ㅣ 43
2. 광의의 우리민족(동아시아 諸民族) 형성과 발전 ㅣ 45
3. 평지평원원주민족 최초국가 환웅의 신시(神市) 개천(開天) ㅣ 48
4. 우리민족(국가)의 국가안보전략사상(사) 태동 ㅣ 50
5. 환웅천왕의 천명사상(天命思想)과 신정(神政) ㅣ 51
제 2절. 신시의 성인왕(聖人王-Sage Kings)정치시대 ㅣ 53
1. 성인(聖人 즉 賢人)왕 시대 태평성대와 우리민족 대외번성 ㅣ 53
2. 당시 세계문명권의 태동과 역사환경 ㅣ 60
제 3절. 환웅세습왕조(桓雄世襲王朝) 성립과 신정(神政)시대 ㅣ 61
1. 서방족 동래(東來) 접촉결과 원주민국가 안보전략환경변화 ㅣ 61
2. 환웅세습왕조(桓雄世襲王朝)의 성립 ㅣ 62
제 4절. 치우대왕의 세계패권전략사상과 무력통일 ㅣ 64
1. 우리민족국가의 국가군사전략사상 태동 ㅣ 64
2. 치우대왕(蚩尤大王-King CHI-WOO, The Great)의 무력통일 전역(戰役) ㅣ 67
3. 치우대왕의 세계패권장악 ㅣ 68
제 5절. 환웅천왕조(天王朝)의 마감, 신화시대의 마감 ㅣ 71
1. 서방민족 동래(東來)시대의 새 안보전략 ㅣ 71
2. 한민족(韓民族)과 한민족(漢民族)은 광의의 우리민족 ㅣ 71
3. 상고대(上古代) 환웅천왕조의 마감과 새로운 세습군왕체제로의 대 전환 ㅣ 73
제 2장. 단군조선(檀君朝鮮)의 우리민족 통일대제국 전략 ㅣ 74
- 단군원년(BC2333) ~ 1205년(1128) -
제 1절. 단군원년대(檀君元年代)의 세계안보전략환경 ㅣ 74
1. 4대 문명권의 정치·군사·경제·문화·사상 ㅣ 74
2. 고대의 범세계적인 군사전략사상 : 전사(戰史 : 전쟁의 역사)의 시작 ㅣ 77
제 2절. 단군조선왕조의 건국(建國)과 정도(定都) ㅣ 78
1. 단군신화(檀君神話) ㅣ 78
2. 단군조선세습왕조의 탄생과 국가개천(開天) 그리고 국시,
즉 국가안보전략사상 ㅣ 79
3. 단군조선 서울의 정도(定都) ㅣ 80
4. 영토편성·정치운용조직·국가체제 ㅣ 84
제 3절. 단군왕검의 국력판단과 국가안보전략사상 ㅣ 87
1. 단군왕검의 국가안보전략 상황판단 ㅣ 87
2. 단군왕검의 국가안보전략사상과 단군 8교조(敎條) ㅣ 91
3. 단군왕검의 국가안보전략·정책 집행 ㅣ 96
제 4절. 단군조선의 한 후국(侯國)인 상(商=殷)의
원리주의종교국가(原理主義宗敎國家)적 국가안보전략사상 ㅣ 99
1. 새롭게 구성되는 고대 동아시아 역사 ㅣ 99
2. 상의 초기 전략환경과 국가안보전략사상 ㅣ 102
3. 단군조선왕조의 대외(對商, 夏 등) 국가안보전략(사상) ㅣ 105
4. 상의 중기 전략환경과 국가안보전략사상 ㅣ 106
5. 상의 후기 전략환경과 국가안보전략(BC1300~1050년경) ㅣ 108
6. 단군조선왕조의 쇠망과 제후국간의 패권전쟁 ㅣ 109
7. 은제국의 최후, ‘목야의 결전’(牧野의 決戰) ㅣ 112
제 3장. 고대 우리민족국가의 열국화와 패권전쟁전략 ㅣ 115
- 단기1205년(BC1128) ~ 2116년(BC217)-2275년(BC58) -
제 1절. 세계안보전략환경 (BC1200 ~ BC50경) ㅣ 115
1. 열국화시대의 자연적 전략환경 ㅣ 115
2. 서양과 오리엔트(Orient)의 전략환경 ㅣ 117
3. 동아시아 남북(변방)의 전략환경 ㅣ 120
제 2절. 고대한국(단군조선)의 열국화(列國化)와 패권전략 ㅣ 122
1. 열국화의 길과 그 의미 ㅣ 122
2. 열국의 저항·갈등·패권전쟁 ㅣ 126
3. 주(周)에 대한 저항운동과 문화·민족적 흡수동화작용 ㅣ 129
4. 열국화된 광의의 우리민족간 패권전쟁 - 춘추·전국시대 ㅣ 136
제 3절. 우리민족국가 진(秦)의 대륙통일전략전쟁(사상)과
우리민족 고대열국들의 관계전략전쟁(사상) ㅣ 145
1. 동화통일(同化統一)을 향한 열강의 세계·국가안보전략사상 ㅣ 145
2. 동화 우리민족 진(秦)의 전체주의적 국가안보전략(사상) ㅣ 148
3. 고대한국의 열국들과 연(燕), 제(齊), 진(秦)과의 역학관계 ㅣ 150
4. 조(朝: 번조선)-연(燕)전쟁과 그 결과 ㅣ 152
5. 진(秦)의 통일과 광의의 우리민족으로의 동화전략 강화 ㅣ 153
6. 동화민족인 진(秦)의 대륙통일 의미와 안보전략환경의 변화 ㅣ 154
7. 진시황의 강압통치와 진왕조의 몰락 ㅣ 159
제 4절. 우리원주민족열국과 우리민족국가 한제국(漢帝國) ㅣ 161
1. 초한전쟁(楚漢戰爭)과 우리동화민족 한제국(漢帝國) 성립 ㅣ 161
2. 북방열국들(삼조선三朝鮮, 부여, 예맥조선濊貊朝鮮 - 선비, 오환, 동호 등)의
패권전쟁과 흥망성쇠 ㅣ 163
3. 전한제국(前漢=西漢帝國)의 국가안보전략(사상) ㅣ 168
4. 위만조선과 한제국간의 전쟁 : 공동조상의 사촌간전쟁 ㅣ 170
5. 전한(前漢)의 황금시대·멸망시기 안보전략사상 ㅣ 177
제 2부. 동아시아 종주(宗主)민족·국가 중흥시대 ㅣ 179
- 단기2116년(BC217)-2275년(58) ~ 단기3251년(AD918) -
제 4장. 우리종주민족열국·우리동화민족열국 성립과 건국전략 ㅣ 181
- 단기2116년(BC217)-2275년(BC58) ~ 단기2375년(AD42)-
제 1절. 세계안보전략환경(BC60~AD50) ㅣ 181
1. 서양과 오리엔트(Orient)의 안보전략환경 ㅣ 181
2. 동아시아의 안보전략환경(BC60년경~AD50년경) ㅣ 184
제 2절. 우리종주민족열국(宗主民族列國), 고구려·백제·신라·가야의
건국과 안보전략사상 ㅣ 186
1. 우리종주민족(宗主民族)과 종주국가(宗主國家)론 ㅣ 187
2. 고구려의 성립과 건국전략사상 ㅣ 189
3. 백제의 성립과 건국전략사상 ㅣ 192
4. 신라의 성립과 건국전략사상 ㅣ 196
5. 가야국(加羅 : 또는 加洛國, 狗倻國, 伽倻, 金官伽倻, 任那加羅)의
성립과 건국전략사상 ㅣ 200
제 3절. 우리한반도 한민족(韓民族)의 최씨낙랑국(崔氏樂浪國)· 남삼한(南三韓)의
성립과 안보전략사상 ㅣ 202
1. 한반도 한민족(韓民族)의 기원 ㅣ 202
2. 최씨낙랑국(崔氏樂浪國)의 성립 ㅣ 202
3. 남삼한(南三韓)의 성립 ㅣ 203
제 4절. 왜열도의 왜민족(倭民族)·왜국(倭國)의 성립과 안보전략사상 ㅣ 203
1. 왜민족(倭民族)의 기원 ㅣ 203
2. 왜국의 기원, 신화와 사실 ㅣ 205
제 5절. 우리동화민족국가 후한(後漢=東漢)의 성립과 전략사상 ㅣ 207
1. 서한말(西漢末)의 지역안보전략환경 ㅣ 207
2. 후한의 성립과 안보전략사상 ㅣ 208
제 5장. 우리민족 열강제국 웅비번영과 패권전쟁전략 ㅣ 210
- 단기2375년(AD42) ~ 2824년(491) -
제 1절. 세계안보전략환경 (AD50년대~500년대) ㅣ 210
1. 로마제국의 흥망성쇠와 서양의 발전 ㅣ 210
2. 오리엔트 및 기타지역 등의 발전 ㅣ 212
제 2절. 우리종주민족국가(宗主民族國家)들의 중흥토대구축 ㅣ 213
1. 우리종주민족국가 고구려의 약진 ㅣ 213
2. 사로신라·온조백제·비류백제의 성장 ㅣ 219
3. 고구려, 백제·선비와 동맹하여 요동 패권전쟁 승리 ㅣ 225
4. 비류백제의 해외 진출과 온조백제의 요서진출 준비 ㅣ 228
5. 선비·오환의 팽창과 동북아시아 안보환경변화 ㅣ 229
6. ‘황건의 난’과 후한의 멸망, 그리고 삼국지시대 전개 ㅣ 231
제 3절. 고구려의 흥성과 대륙중원으로 정벌진출 ㅣ 234
1. 대외진출을 위한 국내·외 안보전략환경정비 ㅣ 234
2. 고구려, 다시 다물전략사상으로 대륙깊이 진출하다 ㅣ 237
3. 고구려의 남진전략 성공과 위의 반격 - 7년전쟁 ㅣ 239
4. 우리종주민족 삼국(고구려·백제·신라), 대륙에 건재 ㅣ 241
제 4절. 중원의 5호16국시대 우리종주민족국가들의 대외팽창 ㅣ 242
1. 4세기, 5호16국(5胡16國)의 흥망과 동아시아안보환경 ㅣ 242
2. 비류백제 담로국 야마태(왜)의 역사무대 등장과 잠적 ㅣ 246
3. 온조백제와 비류백제의 연합 그리고 요서진출 ㅣ 249
4. 고구려의 서남팽창전략과 패권전쟁 ㅣ 251
제 5절. 근초고왕의 온조백제, 황해중심 대제국으로 웅비 ㅣ 258
1. 급변하는 주변(5호16국·우리의 삼국 등) 안보전략환경 ㅣ 258
2. 연합백제(비류백제+온조백제)의 웅비로 황해대국 건설 ㅣ 258
제 6절.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대륙정벌과 민족최강대국 패권확립 ㅣ 262
1. 광개토대왕의 국가안보전략환경 인식과 전략판단 ㅣ 262
2. 광개토대왕의 ‘다물·세계화’의 국가안보전략사상과 ㅣ 265
그가 수행한 대륙 정벌전쟁 그리고 민족의 자랑
3. 광개토대왕의 현 내몽고일대 서역정벌 대원정 ㅣ 270
4. 고구려의 수륙합동 대공격과 백제연합의 굴복 ㅣ 272
제 7절. 비류백제의 왜국왕조 창건, 온조백제는 적극지원 ㅣ 276
? 망명비류백제가 왜왕조로 변신, 백제와 국가혈맹관계수립 ㅣ 276
제 8절. 장수대왕의 고구려와 선비계 북위연합으로 중원지배 ㅣ 279
1. 광개토대왕의 위업정리 ㅣ 279
2. 고구려 장수왕의 국가안보전략사상과 고구려 최대번영기 ㅣ 281
3. 고구려의 세계화전략사상(천군天君·호태왕好太王) 추구 ㅣ 289
제 6장. 우리종주민족열강제국체제의 해체와 통합전략 ㅣ 292
- 단기2824년(AD491) ~ 3251년(918) -
제 1절. 세계·아시아 안보전략환경(AD490~920년경) ㅣ 292
1. 동서양의 만남, 서양민족 대이동과 로마제국의 멸망 ㅣ 292
2. 이슬람교발흥, 중동의 중심이 페르시아에서 아랍으로 이동 ㅣ 293
3. 중앙아시아의 인도와 불교의 전파 ㅣ 293
4. 바이킹의 발흥과 전 유럽 활동무대 ㅣ 294
5. 사라센군의 흥망성쇠와 아랍권의 대변화 ㅣ 294
6. 프랑크왕국 3분할(프랑스·독일·이탈리아), 장원제도발전 ㅣ 295
7. 군사안보전략환경 ㅣ 295
제 2절. 우리종주민족국가간 안보전략의 상호충돌 ㅣ 297
1. 고구려의 북위를 통한 중원세계화의 한계 ㅣ 297
2. 고구려 남진전략의 한계와 백제-신라-왜의 발전 ㅣ 298
3. 왜에서 귀국한 백제 동성왕과 무령왕의 백제 중흥전략 ㅣ 300
4. 신라약진, 우리종주민족3국(고구려-백제-신라) 정립(鼎立) ㅣ 303
5. 왜국, 대화(大和) 정권으로 확장되면서 문무발전(아스카문화 등) ㅣ 305
제 3절. 고구려, 대륙에서 수·당과 패권전쟁 ㅣ 306
1. 우리민족국가 북위분열과 수(隋)의 성립 및 대륙통일 ㅣ 306
2. 고구려-수(국가안보전략사상대결)전쟁에서 고구려 대승 ㅣ 308
3. 당(唐)의 성립과 당태종의 고구려 침략준비 ㅣ 315
4. 고구려, 연개소문의 군사혁명성공, 반전(反戰)유화전략에서
주전전략으로 선회하여 국란극복 ㅣ 317
5. 연개소문 장군의 전략작전 대승리로 당태종은 대패하고 죽다 ㅣ 320
6. 백제, 나-당 연합국의 침략을 받아 멸망 ㅣ 322
7. 고구려, 연개소문 사후 국론분열과 다시 유화정책으로 멸망 ㅣ 325
8. 고구려의 부흥운동, 끝내는 후고구려(발해) 건설 ㅣ 327
제 4절. 우리의 제1남북국 ‘신라-후고구려’ 성립과 적극적해외진출전략 ㅣ 329
1. 우리종주민족의 대륙역사가 한반도역사로 왜 바뀌는가 ㅣ 329
2. 대륙신라인의 민족적 번성, 제해권확보와 왕성한 해상무역 ㅣ 340
3. 고구려 출신 이정기 일가의 우리민족주류 독립정권수립, 번성 ㅣ 343
4. 재당신라인들(사회)의 인도양으로 대항해시대 개막 ㅣ 344
5. 광의의 우리민족, 당의 팍스-시니카(Pax-Sinica)시대 개막 ㅣ 346
6. 성당(盛唐, 大唐)시대 동서융합문화와 우리민족문화의 차별화 ㅣ 349
7. 당의 제국질서 해체와 팍스-시니카시대 소멸 ㅣ 351
8. 남북국 후고구려(발해)의 국가안보전략(사상)과 정책 ㅣ 354
9. 멸망한 백제, 열도(비류백제)로 가 왜왕조(일본)완성, 웅비 ㅣ 360
제 5절. 신라 말기 전국시대(戰國時代)와 고려의 성립 ㅣ 366
1. 후기신라의 정치·경제·사회적 혼미와 사회전략사상 ㅣ 366
2. 신라말기 전국시대 양웅(兩雄 : 고려와 후백제)의 패권전쟁 ㅣ 371
3. 고려성립과 고려-후백제간 패권전략, 신라수호전략사상 ㅣ 372
제 6절. 우리의 제1남북국 소멸과 제2남북국(고려-거란)의 성립 ㅣ 377
1. 후백제와 신라의 소멸 그리고 고려의 한반도 통일 ㅣ 377
2. 후고구려(발해)의 소멸과 거란의 요동패권 ㅣ 378
3. 거란이 우리 후고구려(발해)유민들을 여진족(女眞族)으로 명명하였다.
즉 여진족은 곧 만주족이요, 바로 우리 고구려민족이다. ㅣ 382
제 3부. 우리종주민족국가 고려의 한민족 -
한반도통일국가형성 그리고 흥망성쇠시대 ㅣ 385
- 단기3251년(AD918) ~ 3725년(1392) -
제 7장. 우리종주민족의 새 남북국(고려-거란) 형성과
동아시아 제 민족의 지역국가수립전략 ㅣ 387
- 단기3251년(AD918) ~ 3403년(1170) -
제 1절. 세계안보전략환경 ㅣ 387
1. 서양 및 서아시아 ㅣ 388
2. 동아시아(몽골·만주·거란, 지나의 5대10국 그리고 왜열도의 일본 ㅣ 392
제 2절. 우리평지평원종주민족국가 고려의 건국전략사상 ㅣ 396
1. 중원국가와 동맹, 북진영토확장전략과 세계화전략사상 ㅣ 397
2. 평지평원원주민족의 종주국 ‘한민족공동체사상(韓民族共同體)’확립 ㅣ 400
3. 관료제도의 확립과 왕권강화 ㅣ 407
4. 개혁과 반동이 타협된 권력구조와 안보전략·통치사상 ㅣ 410
제 3절. 우리민족 제2·3남북국(고려-거란, 고려-금)의 갈등과
고려-거란, 고려-금 전쟁 ㅣ 413
1. 대외안보전략환경의 변화, 송-거란전쟁으로 한반도전운(戰雲) ㅣ 413
2. 고려-거란전쟁(993, 1010, 1018년) ㅣ 414
3. 다시 즉 제3남북국인 ‘고려-금 남북국’형성과 갈등 그리고 전쟁 ㅣ 423
제 4절. 고려의 경제안보전략과 재송(在宋) 고려무역상의 활약 ㅣ 435
1. 고려 경제안보전략, 토지관리와 상공업진흥전략 ㅣ 435
2. 고려의 대외상업무역전략과 우리 오월(吳越)교민 및
재송 고려무역상의 국제무역활동 ㅣ 436
제 8장. 고려왕조 군사정권집정시대(武臣政權執政時代)와
고려-몽골전쟁시대 전략 ㅣ 440
- 단기3503년(AD1170) ~ 3603년(1273) -
제 1절. 세계 및 동아시아 안보전략환경 ㅣ 440
1. 서양세계 ㅣ 440
2. 서아시아(이집트에서 동아시아까지)의 이슬람세계 ㅣ 443
3. 고려 주변 동아시아의 안보환경 ㅣ 443
제 2절. 고려왕조 군사혁명과 군사집정(執政)시대 개막 ㅣ 446
1. 문약(文弱)문벌귀족 횡포·부패로 민란, 군사혁명자초 ㅣ 446
2. 최충헌 군벌집정의 혁명공약과 교정도감(敎定都監)체제 ㅣ 451
3. 군사집정체제의 민란진정·침입거란잔병토멸·몽골접촉 ㅣ 453
제 3절. 최씨 군벌집정기간 중의 항몽전쟁 ㅣ 457
1. 항몽전쟁을 위한 군사집정정권의 국가안보·군사전략사상 ㅣ 457
2. 전쟁지도(戰爭指導) ㅣ 460
제 4절. 왕정복고, 몽골 동녕부(東寧府)설치, 삼별초의 항몽전쟁 ㅣ 466
1. 왕권파벌에 의한 군벌집정체제전복과 고려조정의 항복 ㅣ 466
2. 고려왕정 복고와 몽골의 초기 점령정책 - 동녕부설치 등 ㅣ 468
3. 삼별초의 마지막 항몽 조국수호전쟁(1270~3년) ㅣ 470
4. 고려-몽골전쟁의 교훈 ㅣ 473
제 9장. 고려왕조 쇠퇴기의 국가안보전략사상 ㅣ 470
- 단기3606년(AD1273) ~ 3725년(1392) -
제 1절. 세계·동아시아의 안보전략환경 ㅣ 476
1. 유럽 ㅣ 477
2. 서아시아·발칸반도 ㅣ 478
3. 중·남·동남아시아 ㅣ 478
4. 동아시아 ㅣ 479
제 2절. 원 간섭기의 고려국가안보전략사상 ㅣ 481
1. 고려-몽골 연합군 2차례 일본 도해원정(渡海遠征)과 실패 ㅣ 481
2. 원 간섭기의 고려 생존전략 ㅣ 484
제 3절. 공민왕의 국가중흥시도 - 자주독립, 부국강병전략 ㅣ 487
1. 돌아온 공민왕의 국가개혁전략(反元·개혁정책) ㅣ 487
2. 공민왕의 신돈에 의한 국정개혁과 줄다리기 삼각 외교안보전략 ㅣ 491
제 4절. 고려왕조 쇠망과 그때의 국가안보전략(사상) ㅣ 495
1. 명-북원간 힘 겨루기 틈새에서 무기력한 ‘이중 외교전략’ ㅣ 495
2. 명의 요동침공과 한반도 철령 이북 할양 요구에 대한
고려의 요동정벌 대응전략 ㅣ 497
3. 이 시점을 전후해 출몰한 우리(?) 왜구(倭寇)의 진짜 역사 ㅣ 498
4. 고려의 마지막 기회, 요동 수복전략작전 ㅣ 503
5. 고려군의 요동공격 개시와 동시 이성계의 반란 ㅣ 505
6. 친명사대주의자들의 유혈 쿠데타와 ‘고려왕씨왕조’의 종말 ㅣ 506
7. 단군과 고구려 옛 강토회복의 기회 또 잃다 ㅣ 507
제 4부. 한반도에 안주(安住)하는 이씨조선왕조시대 ㅣ 509
- 단기3725년(AD1392) ~ 4133년(1800) -
제 10장. 이씨조선왕조의 건국과 번영전략 ㅣ 511
- 단기3725년(AD1392) ~ 3908년(1575) -
제 1절. 세계와 동아시아 안보전략환경 ㅣ 511
1. 인류 대항해시대의 개막(신천지 도달시대) ㅣ 511
2. 중동 : 남유럽·중동·중앙·남아시아(티무르, 페르시아 인도 등) ㅣ 513
3. 유럽영역 ㅣ 513
4. 동아시아의 이웃나라 ㅣ 515
제 2절. 이씨조선왕조의 건국전략사상 ㅣ 518
1. 조선이라는 이름의 이씨(李氏)왕조 등단 ㅣ 518
2. 성리학(性理學)을 기조(통치이념)로 한 국가안보전략사상 ㅣ 519
3. 초기 국가군사(안보)전략 ㅣ 522
4. 북방영토개척과 ‘고구려후손’(여진)과의 갈등 ㅣ 525
5. 국가정치·경제·사회안보전략사상 ㅣ 526
제 3절. 우리종주한민족의 중흥시대전략 ㅣ 531
1. 세종대왕의 부국강병전략 ㅣ 531
2. 국내 안보전략환경의 기반조성 및 발전 ㅣ 541
제 4절. 파당분열과 부국강병안보전략사상의 쇠락(1497~1575년) ㅣ 544
1. 안보전략환경 ㅣ 544
2. 국가안보전략환경의 혼란과 약화 : 사림세력과 훈구세력의 계속되는 갈등과
정치보복 : 4대 사화(史禍. 士禍) ㅣ 546
3. 사림독선정치와 안보전략부재, 국내외 안보전략환경 불안 ㅣ 548
4. 후기해란(가정해란嘉靖海亂 포함)과 조(朝)·명의 대응전략 ㅣ 550
제 11장. 민족적 대수난, 임진왜란과 호란의 대응전략 ㅣ 555
- 단기3908년(AD1575) ~ 3992년(1659) -
제 1절. 세계와 동아시아의 안보전략환경 ㅣ 555
? 유럽과 아메리카대륙의 변화 ㅣ 556
제 2절. 사림전횡정치(붕당)와 도박성 안보전략 ㅣ 562
1. 50년 정쟁으로 훈구세력제압 사림세력 신권(臣權)정치장악 ㅣ 563
2. 사림세력의 신권독재정치로 안보전략의 혼미와 민심 이반 ㅣ 563
3. 사림붕당(朋黨)화와 당파(黨派)정권의 안보전략 당리당략화 ㅣ 565
제 3절. 임진왜란으로 가는 길목, 조-명-왜의 국가안보전략상황 ㅣ 568
1. 명의 말기(神宗 : 萬曆帝시대), 혼란과 대외 수세전략 ㅣ 568
2. 전국(戰國)을 통일한 왜 풍신수길의 부국강병전략 ㅣ 569
3. 이조 안보불감증심화, 이이의 10만 양병등 전쟁준비건의 불용 ㅣ 570
제 4절. 왜의 침략전략사상과 이조의 무위무능무력 안보전략사상 ㅣ 573
1. 이조의 전쟁전야 적전국론(파당)분열과 무위의 안보전략 ㅣ 573
2. 왜의 침략전략사상과 이조의 대응 국가안보·군사전략사상 ㅣ 575
제 5절. 선조의 임진왜란 대응전쟁지도와 군·관·민의 합심의병전쟁 - 그 경과 ㅣ 579
1. 제 1단계 전쟁지도 : 왜군기습침략대응 지연전, 지구전략 ㅣ 579
2. 제 2단계 전쟁지도 : 국가총동원 반격개시·명군사 내원 ㅣ 587
3. 전쟁지도 제 3단계 : 본격적인 관-민·조-명연합군총반격 ㅣ 596
4. 왜군의 이상한 반격(정유재란)전략과 완전패퇴경위 ㅣ 604
5. 임진란 마지막 승리의 결전, 이순신의 살신성인 노량해전 ㅣ 608
6. 임진왜란에서 얻은 교훈 ㅣ 609
7. 전쟁교훈 ㅣ 611
제 6절. 제4남북국(이조선-청)의 성립과 북의 침략, 정묘-병자호란 ㅣ 614
1. 왜막부의 선 평화우호열망, 선조의 호응 선린우호 복구 ㅣ 614
2. 광해군의 자주 실리 안보전략사상 : 대일 우호친선외교와
친청소명전략(親淸 疎明戰略) ㅣ 615
3. 인조의 친명반청전략, 청과 두 차례 전쟁 자초 그리고 항복 ㅣ 619
4. 청의 지나대륙통일(즉 명의 멸망)과 효종의 북벌전략사상 ㅣ 630
제 12장. 평화안정시기 문치주의전략으로 문예부흥·국력증진 ㅣ 634
- 단기3992년(현종1659) ~ 4133년(순조1800) -
제 1절. 세계와 동아시아의 안보전략환경 ㅣ 634
1. 유럽의 변화 ㅣ 635
2. 세계경제권의 형성 ㅣ 636
3. 동아시아 변화-대청제국 ㅣ 638
4. 동아시아의 변화-일본막부 ㅣ 641
제 2절. 평화시대 벌열(閥閱)·탕평정치와 조선중화주의사상 고취 ㅣ 645
? 대(對)청 이중적 안보전략(사상)과 대(對)일 선린안보전략 ㅣ 646
제 3절. 문치주의로 민생안정과 국학발전·문예부흥 ㅣ 651
1. 영조(1724~76, 51년 간, 최장수왕)의 탕평정략과 유비무환의 안보전략으로
민생안정, 문예부흥 ㅣ 651
2. 정조(正祖, 1776~1801년, 24년 간)의 문치주의와 실학·국학의 발전 ㅣ 654
제 5부. 일제(日帝)침략으로 이조선의 멸망, 한국중세해체시대 ㅣ 659
- 단기4133년(AD1800) ~ 4243년(1910) -
제 13장. 이씨조선에 대한 신제국주의 열강의 침략과
문약정권들의 방황, 그러나 대원군의 부국강병전략 대응 ㅣ 661
- 단기4133년(AD1800) ~ 4106년(순종1873) -
제 1절. 세계와 동아시아의 안보전략환경변화 ㅣ 661
1. 유럽의 신제국주의 사상과 서세동점의 물결 ㅣ 661
2. 사회주의 혁명론 ㅣ 664
3. 신제국주의 열강진출과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의 생성 및 변화 ㅣ 665
4. 미국(대륙) 민주주의국가전략과 제국주의의 유혹 ㅣ 665
5. 청국의 문치문약화로 외세난입과 총체적 국가위기 ㅣ 669
6. 일본의 굴복과 서양문물복사도입, 제국주의침략국가화 ㅣ 672
제 2절. 신제국주의열강의 이양선 위협시기, 세도정치와 3정의 문란으로
민란과 국가사회혼란의 위기 ㅣ 678
1. 세도정치와 삼정문란, 천주교척사와 민심혼란(홍경래난 등) ㅣ 678
2. 신제국주의물결의 접근과 동학종교의 발흥 ㅣ 680
제 3절. 대원군(10년 간)의 개혁사상과 부국강병전략사상 ㅣ 685
? 부국강병전략과 위정척사(척화)전략사상 ㅣ 685
제 4절. 대원군의 실리안보외교와 위정척화전략정책, 양대 양요 ㅣ 689
제 14장. 자수자강 없는 고종의 잘못된 이이치이전략사상과
가중되는 신제국주의열강의 위협과 침략전략 ㅣ 699
- 단기4106년(AD1873) ~ 4227년(1894) -
제 1절. 세계안보전략환경 ㅣ 699
1. 신 제국주의를 지지하는 사상(가)들과 이론들 ㅣ 699
2. 신제국주의 식민지쟁탈전의 가열 ㅣ 701
3. 개항개화기 세계안보전략환경변화와 일본의 침략음모 ㅣ 703
제 2절. 잘못된 고종의 이이제이전략사상과 불평등 개항개국 ㅣ 710
제 3절. 고종의 잘못된 개화전략과 청·일·러의 한반도각축전 ㅣ 720
1. 잘못된 이이제이전략의 확대추구와 국가안보전략사상혼란 ㅣ 720
2. 한반도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장화, 고종의 얼빠진 왕권수호 ㅣ 732
제 15장. 신제국주의 일본의 무력침략으로 이씨조선왕조 멸망
초기광복전쟁전략사상의 태동과 광복전쟁의 시작 ㅣ 736
- 단기4227년(AD1894) ~ 4323년(1910) -
제 1절. 동학농민군혁명봉기와 청-일의 한반도패권전쟁 ㅣ 736
1. 청-일 양국의 한반도패권전략사상과 전쟁준비태세 ㅣ 736
2. 고종(민씨정권)의 삼정문란, 외세혼란과 농민들의 반발 ㅣ 738
3. 동학란(혁명)과 청-일전쟁, 갑오경장 그리고 을미사변 ㅣ 739
제 2절. 을미사변·대한제국개명시기, 항일광복전쟁과
위정척사(衛正斥邪)전략사상 그리고 국민계몽운동사상 ㅣ 748
1.고종의 안보도박, 친러로 전략전환 동시 을미사변발생 ㅣ 748
2.광복의병전쟁의 효시된 을미의병전쟁(제 1차 의병전쟁)과
위정척사전략사상 ㅣ 749
3. 독립협회의 애국자립자강국민계몽운동 ㅣ 851
4. 동아시아 일본과 청, 흥망의 갈림길 ㅣ 752
5. 고종의 대한제국 개명 ㅣ 755
6. 고종의 한반도중립전략실패, 일제(日帝)의 러일전쟁준비 ㅣ 755
7. 러-일 전쟁과 한반도침략만행 ㅣ 758
제 3절. 이씨조선왕조와 한국중세사에 해가 지다
한말 제 2차 의병전쟁과 신민회 등의 애국계몽운동
안중근의사의 항일광복운동사상과 의거 ㅣ 761
1. 고종의 마지막 이이치이외교, 미국에 지원요청 ㅣ 761
2. 왜의 고종 강제양위와 국권찬탈로 항일광복운동 분출 ㅣ 765
3. 제2차 의병전쟁(乙巳, 丁未전쟁)의 시말 ㅣ 766
4. 비밀결사 신민회 등의 애국계몽 및 자립자강광복운동전략사상 ㅣ 767
5. 안중근의사의 항일광복운동전략사상과 의거 등 민족의 분기 ㅣ 768
6. 이씨조선왕조의 소멸과 동시에 한국 중세기의 종말 ㅣ 769
부 록 ㅣ 771
1. 바로 세워 그린 동아시아 국가계보 ㅣ 773
2. 환웅천왕조시대-신시시대 역대 ㅣ 774
3. 단군조선 역대 임금 ㅣ 774
4. 역대왕의 재위 연대 ㅣ 776
5. 참고문헌 ㅣ 778
6. 색인 ㅣ 783~789
첨 부 ㅣ 동아시아 유색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