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87669861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13-05-30
목차
개정증보판 서문
머리말
SECTION 1 한국은 세계 원자력계의 3강이다
chapter1 대체에너지는 허상이다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과대한 기대를 버리자
2030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의 허실
신재생 에너지는 경제적이지 않다
경제성까지 따지면 그래도 원자력
chapter2 한국, 3세대 원자로 개발로 세계 3강에 진입한다
‘너무 오래 낮잠 잔’미국
TMI 사고로 문 닫은 밥콕 앤드 윌콕스
오스트리아가 無원전 국가가 된 사연
원천기술 사용권 구입한 프랑스
체르노빌 사고 덕 본 한국
한국에 기술 주고 무너진 컴버스천 엔지니어링
신포 가압경수로 공사는 한국 원전의 첫 수출
2000년과 함께 열린 원전 르네상스
KSNP의 새 이름‘OPR-1000’
최초 3세대 원자로 가동시킨 일본 히타치와 도시바
4세대 원전 개발하는 웨스팅하우스
심층 취·배수 시설
국가를 이끄는 견인차
chapter3 원자로의 종류와 핵폭탄
터지는 우라늄, 안 터지는 우라늄
사용후핵연료에서만 만들어지는 플루토늄
핵폭탄 폭발시키려면 기폭이 필요
수소폭탄은 원자폭탄을 기폭장치로 이용
핵연료는 폭발하지 않는다
커피포트와 비슷한 비등경수로
1차 냉각수와 2차 냉각수가 분리된 가압경수로
캐나다에서 발전한 중수로
SECTION 2 세계 원자력史 속에서 본 한국 원자력史
chapter1 1940년대 원폭 투하 결심한 트루먼, 원자력 이용 천명한 아이젠하워
‘희망 없는 나라’에서 세계 5위의 원전대국으로
핵무기의 등장
맨해튼 프로젝트
‘꼬마’와 ‘뚱보’ 사용 결정
핵폭탄 투하 공개한 트루먼
소련 핵실험 등으로 퇴조한 핵폭격 만능론
핵개발 도미노를 막아라
chapter2 1950년대 이승만의 집념과
시슬러의 우정 위에 출범한 한국 원자력
한국을 도와준 시슬러
원자력은 ‘머리에서 캐는 에너지’
원폭보다 먼저 개발된 원자로
김일성, 소련원전 준공식 참석
높았던 공학 열기
“자네 원자력을 공부했지. 그럼 원자탄을 만들 수 있나?”
미국 원조로 연구용 원자로 처음 도입
원자력연구소 부지 선정문제로 한미 대립
북한도 같은 시기에 원자력 시작
일본과 비슷한 시기에 시작한 한국 원자력
chapter3 1960년대 가압경수로 선택을 위한 최후의 도박 “아이젠버그를 따돌려라”
정변(政變)의 시대
원자력계도 장악한 군인들
기념우표까지 발행한 연구용 원자로 준공
현실적인 박정희, 원자력 발전에 도전하다
고리 1호기 건설은 무모했다?
험난했던 한반도의 안보환경
고리(월내리) 일대를 최초 원전 부지로 선정
아이젠버그를 따돌려라
김종주의 결단
한국은 뱁새, 일본은 황새
chapter4 1970년대 박정희의 야심 중수로 건설
미국의 태클“NPT를 비준하라”
전략핵잠수함 거론하며 원자력발전 설명한 박정희
독재 속에 밀어붙인 원자력 건설
73개월 만에 공사 완료
40년을 앞서 간 박정희의 꿈
늦어진 고리 2호기 공사
재처리하기 좋은 사용후핵연료 만드는 중수로
영국의 선택, 캐나다의 선택
콜롬보계획과 인도 그리고 한국
인도 핵실험이 끼친 파장
미중관계 위해 대만을 주저앉힌 미국
NPT 비준 대가 요구한 박정희의 벼랑끝 전술
재처리까지 질주한 일본의 원자력
佛, 프라마톰과 웨스팅하우스 컨소시엄 구성
원자력보다는 한반도 공산화에 주력한 북한
chapter5 1980년대 영광 원전 3, 4호기
원자력 기술 자립을 위한 거보(巨步)를 딛다
논 턴키로 발주된 고리 3, 4호기
격동의 1979년
핵개발 문제로 미국과 충돌한 박정희 정부
전두환-레이건 체제 등장
佛프라마톰, 김종필 총리 언급으로 한국 공략 시도
가압경수로냐, 비등경수로냐?
비등경수로 선택으로 실패한 대만 원전
“프라마톰을 배워라”
컴버스천 엔지니어링 기술로 만들어진 한국형 원전
윈저와 차타누가에서 기술 배워
컴컴한 반격들
고속증식로 시작한 프랑스
chapter6 1990년대 뒤죽박죽의 시절
북핵은 OK, 재처리는 물 건너가다
영광원전의 영광과 고통
1970년대의 핵주기 완성 노력
영남화학이 참여
재처리는 중단, 성형가공만 살아남아
중수로 세 기를 추가 건설 추진한 이유
5메가와트 연구용 원자로 자체 제작한 북한
비핵 3원칙으로 1석 4조 이룬 일본
북핵 실험으로 실패한 한국의 비핵화 선언
미국과 단독협상 성공시킨 북한
너무 쉽게 결정된 KEDO 원전 두 기 건설
‘북한에 원전 두 기 제공’은 무모한 발상
한 발 전진, 한 발 후퇴
chapter7 2000년대 도래한 원자력 르네상스
그러나 갈길은 멀다
원자력발전에 대해 언프랜드리했던 김대중 정부
APR-1400 원전을 지을 곳이 없다
북한, 불완전한 핵실험 감행
레이저 농축기술 보여준 한국
남북한 원자력 게임의 승자는 한국
4세대 원전인 고속증식로 개발에 앞서가는 일본
고준위폐기물 줄이려면 재처리를 해야 한다
SECTION 3 반핵(反核)에서 용핵(容核)으로
험난했던 원전의 사회수용 30년
chapter1 워싱턴이 기침을 하면 한국은 몸살을 앓는다
反美구호로 떨쳐버린 엽전의식
해외에서 불어온 반핵의 열풍
스리마일 섬 원전 2호기 용융사고
방사선이 아니라 엑소더스에 놀란 세계
스웨덴도 국민투표로 원전건설 중단 결정
이스라엘 공군의 이라크 오시라크 원전 공습
‘한국 원전에 문제 있다’는 기사 등장
미국의 핵실험과 충돌한 그린피스
chapter2 세계를 뒤덮은 체르노빌의 그림자, 한국에 상륙한 반핵
한국도 원전을 환경문제와 결부하기 시작
프랑스와 충돌한 그린피스
체르노빌 원전 4호기 용융 및 화재 사고의 충격
과장된 체르노빌 원전 사고
과학이 아니라 믿고 싶은 것만 믿는 사람의 심리
이탈리아도 스위스도 원전건설 중단 결정
chapter3 무뇌아에서 굴업도까지
방폐장 선정 놓고 강경해진 반핵시위
민주화운동→ 노사갈등→ 반핵시위로 발전
무뇌태아- 대두아 사건
방폐장 선정 문제로 터져 나온 반핵운동
1989년 경북 영덕군 남정면의 방폐장 반대 시위
1990년 안면도 반핵시위
기형가축 출산 사건
방촉법(放促法) 제정으로 경제적 지원 약속,
그런데도 또 실패…
1년을 끈 굴업도 사태, 정부 또다시 항복하다
chapter4 그래도 원자력이다
반핵에서 용핵(容核)의 시대로
북한 의식해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던 김대중 정부
부안사태 속의 김종규 군수 소신
패트릭 무어 박사가 폭로한 그린피스의 비리
지역 경쟁 구도를 만들어 숙원사업을 이루다
‘김종규 원자력문화상’ 제정을
SECTION 4 재처리를 위하여
chapter1 명분이 아니라 실속을…
일본 핵연료 클러스터인 롯카쇼무라를 가다
사과 산지와 공군기지로 유명한 곳
도끼 모양 반도에 모인 여섯 개 마을
핵연료 클러스터가 들어선 이유
쓰치다 촌장(村長)의 벼랑끝 전술
재처리공장 가동하고 MOX 공장 착공
사고를 극복하고 이룬 원자력 기술 자립
임계사고 극복한 일본 원자력
일본에서 가장 깊이 판 온천
chapter2 쉘부르에는 우산이 없다. 재처리공장이 있다
프랑스 라아그 사용후핵연료 재처리공장을 가다
막막한 아쉬움, 쉘부르의 우산
프랑스 최초의 핵잠수함 르두타블
“방문자가 직접 사진 찍을 수는 없다”
시속 160킬로미터로 충돌해도 파손 안 돼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야
남프랑스 마쿨에서 MOX연료 제작
한국은 ‘양날의 검’ 휘두를 것인가
chapter3 이종훈이 불 붙이고 장영식이 물 끼얹었다
1990년대 핵 재처리 추진 실패 내막
한국, 일찌감치 원자력에 눈떠
이종훈 씨의 비밀 행보
안보회의에서도 중지 결정
정치적으로 결정된 DJ 시절의 원전정책
chapter4 한미원자력협정 평화목적의 재처리
가능한 쪽으로 개정하라
한국은 제2의 일본이 될 수 있을 것인가
박근혜 대통령 의지와 미국 의회 설득이 관건
SECTION 5 한국원자력의 중심부 탐구
chapter1 “우리는 후손을 위해 원자력을 연구한다”
한국 원자력의 두뇌,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 원자력 연구의 뿌리
방사능 재해 막기 위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설립
‘핵 비확산’수행 위해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 설립
한국원자력의학원 설립
중소형 원자로 SMART
원자로 용융사고 처리 연구하는 시뮬레이터 ATLAS
사용후핵연료를 재활용하는 DUPIC(듀픽)
파이로 프로세싱
chapter2 특급 지상과제 “원자로용 실탄을 국산화하라”
핵연료 제조하는 한전원자력연료
원자로가 소총이면, 핵연료는 실탄
플러스-7과 에이스-7 양산
중수로용 핵연료, 캐나다와 공동 개발
chapter3 APR-1400 원자로로 세계시장 공략
한국‘원자력산업의 공장’두산중공업
‘볼보고개’
공장을 만드는 공장
쫀득쫀득한 쇠를 만든다
담금질은 보약
증기발생기는 미국으로 수출
해외시장 진출로 활로 모색해야
SECTION 6 그래도 원자력이다
-후쿠시마사고방사능사망자 단 한명도 없다
chapter1 동일본대지진 “정녕 인류최후의 모습이란 말인가?”
거대한 너울을 만드는 섭입대 지진
물지옥 불지옥
chapter2 매뉴얼사회의 한계, 과학을 너무 믿었다
원전, 동일본 대지진 때 자동정지
원전을 멈춰도 노심 용융이 일어날 수 있다
과학을 너무 믿었다
쓰나미로 인한 후쿠시마 제1발전소 사망자는 단 두 명
과학을 너무 믿은 일본
chapter3 일본의 한계가 가져온 돌이킬수없는 수소폭발
“원자로가 뚫렸다”
혼자서 독배를 마실 수는 없다
쓰나미에서 후쿠시마로 관심 이동
물러난 간 나오토 총리
chapter4 사고후대처를 잘한 일본
수소제거기 설치한 한국원전
소외(所外)전원 복구로 간신히 사태 진정
chapter5 ‘원전제로’ 정부방침으로 선택하지 않아
급격히 수치가 높아지는 방사선 선량계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발전소 폐쇄 로드맵 발표
反원전 시위 일어나다
무산된 ‘원전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