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87964041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5-06-30
책 소개
목차
서 론 (본질적인 의문, 인생학개론의 구성)
제1장 행복 (사전적 의미, 영어의 어원, 한자어의 뜻)
제2장 인생의 구조 (인생을 사는 주체, 환경, 생각이 실제상황을 왜곡하는 이유, 인생의 구조, 건강한 인생)
제3장 교육 (인성, 소통, 교육, 예절)
제4장 결혼 (여자와 남자의 어원, 행복한 결혼생활, 결혼에 있어서 이질 문화의 충돌과 그 해결책)
(남성과 여성의 커뮤니케이션, 임신.출산.육아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들, 부부의 덕목)
제5장 죽음 (영혼과 사후세계, 죽음에 대한 준비, 죽음에 대한 두려움, 죽음을 맞이하는 나의 자세)
제6장 타인의 죽음 (타인의 죽음이란, 타인의 죽음을 수용하는 태도 및 방법, 제대로 수용되지 못한
타인의 죽음이 인생에 주는 영향)
맺음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는 도대체 왜 사는 것일까?
이것은 한번쯤은 누구라도 생각해 보았을 질문이다.
하지만 그 누구도 속 시원하게 대답할 수 없는 질문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다보니 이런 질문은 그냥 답이 없는 질문으로 간주하고
사는 것이 상식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그 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태어났으니까." 또는 "죽을 수 없으니까."
그럼 "왜 태어났는가?"
이것 역시 그 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살려고."
그럼 왜 죽을 수 없는가?"
이것 역시 간단하다. "살아 있으니까."
그럼 다시 본래의 질문으로 되돌아가 보자.
"우리는 왜 사는 것일까?"
이렇게 하니 이제야 그 답이 비로소 명료해진다.
"살려고"
그렇다. 우리는 살려고 태어난 것이다. 그러므로 인생은 사는 곳이다.
따라서 인간의 삶의 목적은 바로 '사는 것'이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