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87964065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9-03-25
책 소개
목차
서론
제1강 종교란 무엇인가
1. 종교는 왜 필요한 것일까?
1) 종교의 시작
2) 행복(幸福)
2 종교의 정의
1) 종교의 어원(語源)
2) 종교의 목적
3. 종교
1) 종교적인 탐구의 시작
2) 학문
제2강 현존하는 종교의 진리들
1. 진리에 대한 탐구(探究)
2. 셈 족, 한족, 아리아족의 종교적 사고
1) 셈 족의 사고(유일신)
2) 한족(漢族)의 사고(음양론(陰陽論))
3) 아리아족의 사고(윤회(輪迴))
3. 오해된 불교비판
1) 인도적인 발상에서 오해된 불교
2) 중국적인 발상에서 오해된 불교
3) 오해된 불교비판
제3강 나는 지금 여기에 있다(불교의 진리(緣起法)의 출발명제)
1. 불교 사고의 출발점
1) 진리(眞理)
2) 불교 사고의 출발점
2. 연기법(緣起法)
1) 지금
2) 여기
3) 열반적정(涅槃寂靜)
4) 연기법(緣起法)
제4강 생명의 근원(無明)
1. 십이처(十二處)‧십팔계(十八界)‧오온(五蘊)
1) 십이처(十二處)
2) 십팔계(十八界)
3) 오온(五蘊)
2. 무명(無明)
1) 판단상황 속의 지금
2) 판단상황 속의 여기
3) 12연기(緣起)
4) 무명(無明)
제5강 받아야 할 괴로움과 받을 필요가 없는 괴로움
1. 고성제(苦聖蹄)
1) 사고(四苦)
2) 팔고(八苦)
3) 받아야하는 괴로움과 받을 필요가 없는 괴로움
2. 집성제(集聖諦)
1) 근원적인 이유
2) 집착(執着)
3) 집성제(集聖諦)
제6강 행복과 해피
1.행복과 해피
1) 행복(幸福)과 해피(happy)의 어원
2) 해피는 편안함이고 행복은 즐거움이다.
3) 해피는 재앙을 외면해도 얻을 수 있지만 행복은 반드시 마주해야만 한다.
4) 해피는 사고팔고를 느끼지 않아야 얻을 수 있지만 행복은 마주해야 얻을 수 있다.
5) 해피를 느껴야만 행복할까?
6) 해피만을 추구하는 이유
2. 불교에서의 행복
1) 성불(成佛)
2) 극락세계(極樂世界)
제7강 붓다의 행복해지는 법(八正道)
1. 바르게 알기(正見)
2. 바르게 생각하기(正思)
1) 생각이란?
2) 마음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3) 마음의 움직임
4) 바르게 생각할 수 없는 이유
5) 생각
6) 바르게 생각하기
3. 바르게 말하고(正語) 행동하기(正業)
1) 업(業)
2) 인과응보(因果應報)
3) 바르게 말하고 바르게 행동하기
4) 행복은 말과 행동에 있다.
5) 선과를 받을 땐 선업을 짓고 악과를 받을 때는 악업을 소멸시켜야 한다.
4. 바른 생활(正命)과 바른 노력(正精進)
5. 정념(正念)
6. 정정(正定)
제8강 육바라밀(六波羅蜜)
1. 사성제에 대한 정리
2. 대승불교의 흥기
1) 대승불교의 흥기
2) 공(空)
3) 정사의 어려움
3. 육바라밀
1) 보시바라밀(布施波羅蜜)
2) 지계바라밀(持戒波羅蜜)
3)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
4)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5) 선정바라밀(禪定波羅蜜)
6)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제9강 오문(五門)
1. 예배(禮拜)와 찬탄(讚歎)
1) 예배
2) 찬탄
3) 믿음
2. 작원(作願)
3. 관찰(觀察)
4. 회향(廻向)
제10강 행복해지기 위한 세 가지 실천법(사비다)
1. 이 실천법이 나오기까지
2. 귀의삼보(歸依三寶)
3. 사마타
1) 참선(參禪)
2) 염불(念佛)
3) 주력(呪力)
4) 오체투지(五體投地)
5) 그 외 사마타법
4. 비파사나(毘婆舍那)
5. 다나바라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