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88410813
· 쪽수 : 333쪽
· 출판일 : 2003-10-10
책 소개
목차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하여_머리말
1. 대중문화와 이론
피에르 부르디외: 미학은 정치학인가
어빙 고프만: '가면' 없는 삶이란 가능한가
쟝 보들리야르: '시뮬라시옹'이란 무엇인가
미셸 푸코: '판옵티콘'이란 무엇인가
스톨먼-토발즈-게이츠: 온라인은 '정글의 법칙'이 지배하는가
2. 소비문화와 정체성
소비가 정체성을 형성하는가
'어플루엔자'란 무엇인가
사람들은 왜 '명품'에 집착하는가
'디드로 효과'란 무엇인가
'보보스'는 어떻게 사는가
3. 문화공학과 마케팅
소비자는 어떻게 유혹되는가
잠재의식 광고란 무엇인가
'알파 소비자'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몸에 대한 숭배인가, 학대인가
'맥도널드 손'는 '신의 축복'인가
4. 정보기술의 정치학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엔터테인먼트 경제'란 무엇인가
'데이터 스모그'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나
'외로운 분자들의 나라'로 가는가
'업그레이드' 속도는 왜 빨라지나
5. 인터넷의 사회학
'인터넷 중독'은 과장된 표현인가
'다중인격'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인터넷 패러독스'는 타당한가
사이버 공간은 보수적인가
인터넷은 권력구조를 어떻게 바꾸나
6. 인터넷과 휴대폰의 경제학
'디지털 격차'는 기우인가
'인터넷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나
'인터넷 시간'이란 무엇인가
한국은 왜 인터넷·휴대폰 강국이 되었나
현대인은 왜 휴대폰에 열광하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왜 국가가 그다지도 사소하게 보이는 행동들을 규제하는 법률을 제정하려 노력했을까? 사회학자 어빙 고프만이 말한 바대로, 만약 사물의 구매목적이 한 특정 신분 집단의 일원임을 드러낸다면 사물은 신분의 상징이다. 만약 다른 신분 집단이 이러한 물건들을 산다면 그것들은 신분 상징으로서의 가치를 잃어버린다. 현대에도 구매는 터무니없는 가격, 권력층, 구매의 친근한 장소, 사회적 표준을 통해서 규제된다. (p.99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