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88933787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08-09-1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마케팅의 할아버지는 철학이다
01 마케팅 철학 제1법칙 : 들숨날숨의 CC
“관계의 마술을 잊지 마라!”
02 마케팅 철학 제2법칙 : 보이지 않는 CC
“보이지 않는 것을 팔아라!”
03 마케팅 철학 제3법칙 : 희망과 체험가치의 CC
“연애편지를 많이 쓰면 애인이 우체부와 결혼한다!”
04 마케팅 철학 제4법칙 : 졸도시키는 CC
“고객의 지갑을 닫게 하고 마음을 열게 해라!”
05 마케팅 철학 제5법칙 : 고객가치의 CC
“싼 제품은 과연 가치가 없는가?”
06 마케팅 철학 제6법칙 : 차별화의 CC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일은 필요없다!”
07 마케팅 철학 제7법칙 : 브랜드의 CC
“브랜드만 이야기하는 것은 경솔하다!”
08 마케팅 철학 제8법칙 : 감성의 CC
“여자가 원하는 것을 알면 세상은 당신 것이다!”
09 마케팅 철학 제9법칙 : 고객화의 CC
“좋은 회사는 재고가 없는 회사다!”
10 마케팅 철학 제10법칙 : 윤리와 진실의 CC
“잡은 물고기에 먹이를 주라고?”
에필로그 : 철학을 파는 CEO
책속에서
성공한 기업은 훌륭한 철학이 그 바탕에 있다
철학이란 무엇인가? 저자는 나름대로 철학을 생각의 집합으로 본다. 생각은 세상을 보는 방법(the way to see the universe)이며, 이것이 세상에서 활동하고 행동하는 철학(philosophy, 觀)을 만들어낸다. ‘세상을 보는 방법’은 어떤 창(window)을 통해서 보느냐에 달려있다. 이 창은 학자와 학문 분야에 따라 프레임(frame), 렌즈(lens), 방식(way), 관점(perspective)이라 부르기도 하고, 총칭하여 패러다임(paradigm)이라 한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세상이 바뀔 때면 항상 패러다임을 바꾸라는 충고의 소리를 듣는다. 그렇다면 도대체 패러다임이란 또한 무엇인가?
패러다임이란 ‘어떤 안경을 쓰고 세상을 보느냐’이다. 즉 지금 내가 어떤 안경을 쓰고 보는가에 따라 세상도 다르게 보인다. 이것이 곧 생각의 집합인 철학을 만들어낸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안경을 쓰고 세상을 보는가에 의해 이러한 생각의 집합인 철학은 한 개인의 살아가는 방향과 척도가 된다.
개인은 생각의 집합인 철학이 행동을 이끌어 결국 운명을 바꾸기도 하는데 기업은 어떤가? 기업이 철학을 기반으로 해야 함이 중요한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기업이 어떤 철학을 가지고 있는가에 의해 기업의 행동을 이끌어 운명을 바꾸기 때문이다.
기업의 안경 중에서도 특히 최고경영자가 쓰고 있는 안경이 중요하다. 이런 이유로 인해 기업 이미지를 나타내는 기업 실체인 CI(Corporate Identity)와 최고경영자 실체인 CI(Chairman Identity)를 동등하게 다루는지도 모른다. 큰 경영을 하는 최고경영자일수록 돈이 아니라 경영자 철학을 필요로 한다. 돈을 철학의 중심으로 놓고 세상을 바라볼 때, 그는 이미 큰 경영을 할 그릇이 되지 못한다. - 본문 17~18쪽, '프롤로그_마케팅의 할아버지는 철학이다'에서
연애편지를 2백 통 쓰면…
어떤 청년이 여자친구에게 2백 통의 연애편지를 보냈다. 어떻게 되었을까? 2백 통의 연애편지를 보낸 후에 여자친구에게서 “우체부와 결혼하기로 했다”는 답장을 받았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사랑한다는 생각보다 2백 통의 편지를 전해주면서 “오늘은 얼굴이 핼쑥해 보이네요”, “식사는 하셨는지요”와 같은 따뜻한 만남의 체험이 사람의 마음을 더욱 끌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랑한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만남 그 자체의 체험이 중요하다.
이것이 체험 마케팅(experiential marketing)이 중요한 이유이다.체험 성과는 고객이 구매하기 전에 가지고 있었던 기대치나 희망 수준보다 높을 때 반복구매를 이끌어낸다. 그러므로 체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의 성능과 품질뿐만 아니라 영업 및 판매 후 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야 한다. - 본문 92쪽, '03_마케팅 철학 제3법칙 : 희망과 체험가치의 CC'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