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국제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89007708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13-01-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감사의 글
1장 이슬람주의는 왜 이슬람교가 아닌가
이슬람주의와 꾸며낸 전통
이슬람주의와 관련된 쟁점들
이념의 전쟁
제도적 이슬람주의자와 지하디스트
이슬람주의와 이슬람교 차이에 대한 반박
정치질서: 이슬람국가와 세계 재편
이슬람식 세계질서를 위협하는 “유대인 모략”
민주주의와 민주화
전통 지하드와 현대 지하드의 테러리즘
이슬람교의 샤리아화
이슬람주의자들의 세계관을 어떻게 실현시킬 것인가?
전체주의로서의 이슬람주의
언론이 이슬람주의에 끼친 영향
2장 이슬람주의와 정치질서
이슬람주의는 이슬람국가의 정치 이데올로기
새로운 반란
신정질서를 추구하는 이슬람주의
지구촌의 이슬람주의 이데올로기
베스트팔렌 질서 VS 정치적 이슬람교의 국제주의
집단기억으로서의 전쟁
“이슬람주의의 쇠퇴”는 그릇된 개념이다
3장 이슬람주의와 반유대주의
반유대주의, 유대인혐오증, 불만 표출
제 2의 반유대주의
반유대주의의 이슬람화
사이드 쿠틉과 유대인의 갈등
“포위된 이슬람교” 이미지
쿠틉에서 하마스까지
유럽의 무슬림은 “제 2의 유대인”인가?
예외적 사례: 이슬람주의와 “나치 팔레스타인”
이슬람주의식 반유대주의의 주축
4장 이슬람주의와 민주주의
이슬람주의의 세 권위자와 서방세계의 세 가지 혼란
제도적 이슬람주의의 두 가지 사례: AKP와 무슬림 형제단
이슬람주의자들이 민주정치를 이용하다
민주적인 샤리아의 모순
다원 민주정치의 환상
우리가 논하려는 것이 무엇인가?
제도적 이슬람주의와 민주주의
아랍의 봄, 민주주의, 이슬람주의
5장 이슬람주의와 폭력: 신세계 무질서
지하드와 지하드운동의 이해
칼의 종교
고전 지하드
전통 지하드에서 지하드운동까지
서방세계와 신프롤레타리아
팍스 이슬라미카
서방세계에 맞선 반란과 신세계 무질서
지하디스트의 폭력성
연구 결과
6장 이슬람주의와 율법: 전통을 꾸며낸 샤리아화
이슬람세계에서의 샤리아 정치
세속화와 신정질서를 위한 탐구
이슬람세계의 샤리아와 샤리아 헌법 채택론
샤리아화와 법의 보편성
국가의 샤리아화가 아니면 샤리아가 존재할 수 있을까?
샤리아와 법률학
샤리아와 자유
7장 이슬람주의, 순결, 진정성
이슬람주의자의 “진정성”의 의미
이슬람교의 합리주의는 진정한 것인가?
이슬람주의의 순결과 비무슬림 이방인 배척
이슬람교 합리주의의 인본주의를 상기시키다
헛된 도그마
8장 이슬람주의와 전체주의
이슬람주의의 매력
한나 아렌트의 이슬람주의 연구
전체주의적 이슬람주의의 뿌리
이슬람주의는 제2의 전체주의
이슬람국가와 문명의 충돌론
9장 이슬람주의의 대안 민간 이슬람교
왜 이슬람교가 아닌 이슬람주의인가?
3대 기본 특징
이슬람주의, 유럽, 그 밖의 세계
이슬람주의는 반이슬람교인가?
온건파 이슬람주의자란 누구인가?
근대성, 이슬람교, 계몽주의
정치, 그리고 종교의 모호성
에필로그
미주
참고문헌
이슬람 용어 정리
인명 설명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이 전하고자 하는 첫 번째 메시지는 이슬람교 신앙과, 정치적 목적을 위해 이슬람교의 종교성을 도입한 이슬람주의의 종교화된 정치가 다르다는 것이다. 물론 저명한 이슬람주의자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은 이를 부정할 것이다. 이슬람주의자들은 이슬람주의가 명실상부한 이슬람교라고 확신하고 있으나 이슬람주의는 이슬람교를 정치적으로 해석한 데서 비롯되었다. 즉 이슬람주의는 이슬람교라는 종교적 신앙이 아니라 정치적 영역 내에서 종교를 이데올로기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 토대를 두고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슬람주의와 이슬람교는 서로 다른 것이므로 이 점을 혼동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책에서 그 차이를 해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종교화한 정치”?는 이 책의 논지를 이해하는 데 필히 알아두어야 할 개념이다. 이슬람주의에서 종교화한 정치란 국민의 주권이 아닌, 알라의 뜻에서 비롯된 정치질서를 장려하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반면, 이슬람교에는 그런 의미가 없다. 이슬람교는 신앙과 종교 및 윤리적 기틀로서 정치적 가치를 내포하긴 하지만 정부의 구체적인 질서를 전제하지는 않는다. 이슬람주의는 이슬람교를 명확하게 해석하는 과정에서 태동한 것으로, 종교적 가르침이 뚜렷한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일컫기도 한다.
종교가 종교화된 정치의 탈을 쓰고 공공영역에 귀환한 것은 이슬람교에 국한된 일이 아니라 범세계적인 현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이슬람교의 이데올로기는 여느 종교적 원리주의보다 세계의 정치에 중요하다. 전통적인 보편주의를 종교적 토대 위에 제기된 새로운 국제주의로 옮기는 데 이슬람주의가 다른 원리주의보다 더 공격적이었기 때문이다. 이슬람주의자들은, 9?11테러 사태 이후 에드워드 사이드가 그랬던 것처럼 “발광하는 폭력배”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이슬람주의는 팔레스타인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그릇된 서양식 정치에 도전하는 것이 아니라 신세계질서를 추구하는 세력이다. 이는 아랍 및 이슬람세계의 구조적?규범적 위기에 매우 깊이 내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