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정암과 이퇴계의 철학사상

나정암과 이퇴계의 철학사상

최중석 (지은이)
심산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나정암과 이퇴계의 철학사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정암과 이퇴계의 철학사상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89721048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02-09-10

목차

서 론
1. 정주철학의 양면적 전개와 나정암·이퇴계의 철학
2. 이 책의 내용과 서술방향

제1장 나정암과 이퇴계 철학의 정주학적 기반
1. 송대 성리학의 형성배경과 그 이념적 특성
1) 신유학으로서 성리학의 본질과 도학정신
2) 정주의 노불에 대한 이해와 비판
2. 정주의 태극음양론과 이기설
1) 정주의 태극음양론
2) 정명도의 도기론(道器論)과 정이천의 이기설
3) 주자 이기개념의 사실적 불리성(不離性)과 논리적 부잡성(不雜性)
3. 정주의 인간이해와 심성정론
1) 성리학적 인간이해의 두 범주로서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2) 정주의 심성정론과 수양론의 성립
4. 정주학에 대한 정암과 퇴계의 인식
1) 나정암의 일원론적 입장과 정주학의 비판적 계승
2) 이퇴계의 이원론적 입장과 정주학의 인간학적 전개

제2장 나정암의 성명지묘(性命之妙)의 철학과 이기일원론적 특성
1. 나정암의 생애와 시대배경 및 사상적 과제
2. 정암철학의 비평정신과 정주학의 계승
1) 이기의 이원론적 해석에 대한 비판
2) 정암의 일원론적 이기론
3. 정암의 인간이해와 체용론적 심성론
1) 성명지묘와 일원론적 심성론
2) 인심도심의 체용론적 해석
4. 정암의 이단비판론과 정주학의 천명
1) 선학(禪學) 및 육왕학(陸王學)에 대한 비판
(1) 심·성의 구별과 심즉리설(心卽理說) 비판
(2) 선학 및 육왕학의 주관주의와 그 학문론에 대한 비판
2) 정주학적 진리의 추구와 정암의 수양론
(1) 내외겸전(內外兼全)의 학문론
(2) 존양성찰(存養省察)의 수양론

제3장 이퇴계 철학의 구인성성론(求仁成聖論)과 이기이원론적 특성
1. 이퇴계의 생애와 시대배경 및 사상적 과제
2. 퇴계철학의 본령과 학문적 특성
1) 퇴계철학의 본령으로서 구인성성과 위기지학(爲己之學)
2) 좬심경부주(心經附註)좭의 사상체계와 퇴계의 학문론
(1) 정복심의 심학도(心學圖)와 존양성찰론
(2) 퇴계의 학문론과 좬심경부주좭의 영향
3. 이귀기천(理貴氣賤)의 가치관과 이기(理氣)의 이원론적 해석
1) 이원론적 이기론
(1) 이귀기천의 가치체계
(2) 주기론적 이기일물설(理氣一物說) 비판
2) 퇴계의 인간이해와 이원론적 심성론
(1) 이기호발의 심성론
(2) 인심도심의 이원론적 해석
4. 인간의 주체적 진실성의 구현과 경(敬)사상
1) 진적력구(眞積力久)의 성장성숙론
2) 존천리(存天理) 알인욕(저人欲)의 존양성찰론
3) 동정일관(動靜一貫)의 경공부

제4장 나정암과 이퇴계 철학의 특이성과 상보성의 조명
1. 나정암 철학에서 일원성과 이원성의 문제
1) 이기일원론적 특성
2) 이기이원론적 측면
(1) 이기의 이원적 해석과 인기위리(認氣爲理)의 경계
(2) 육왕심학의 비판과 심·성의 구별
2. 이퇴계 철학에서 이원성과 일원성의 문제
1) 이기이원론적 특성
2) 이기일원론적 측면
(1)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와 사실적 일원성
(2) 이기의 상수상대(相須相待)와 심성론의 일원성
3. 나정암과 이퇴계 철학의 상호 보완성의 탐구
1) 정암의 일원론적 사상과 퇴계의 이원론적 사상의 상보성
2) 성리학파의 분열대립과 상보적 화해논리의 모색
4. 나정암과 이퇴계 철학의 현대적 의의
1) 진리와 현실의 주체적 매개
2) 인간의 주체적 진실성과 현실적 구현

결 론 : 정주학적 가치의 추구와 현실적 구현

참고문헌
중문적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최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경기도 華城 출생. 水城高等學校 졸업. 成均館大學校 儒學大學 韓國哲學科 졸업.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韓國哲學科 碩士課程 수료. 同 大學院 東洋哲學科 博士課程 韓國哲學 전공(哲學博士). 2008년 현재 성균관대, 인천·수원가톨릭대 강사. 주요 논저 및 역서 「退溪哲學에 있어서 心德에 관한 硏究」 (석사, 1990) 「羅整庵과 李退溪 哲學의 比較硏究」 (박사, 1999) 「退溪 哲學의 爲己之學과 自省錄」·「困知記와 羅整庵의 哲學思想」 「退溪의 學問觀과 心經附註·朱子全書의 영향」 『한국철학사상사』 (공저, 도서출판 한울, 1997)·『譯註 自省錄』 (국학자료원, 1998) 『譯註 困知記』 (국학자료원, 1998)·『譯註 心經附註』 (국학자료원, 1998)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