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리스도교 사회윤리

그리스도교 사회윤리

(토대와 목적)

프란쯔 푸르거 (지은이), 심현주 (옮긴이)
우리겨레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20,2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그리스도교 사회윤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리스도교 사회윤리 (토대와 목적)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9888352
· 쪽수 : 387쪽
· 출판일 : 2024-06-05

책 소개

1991년 독일에서 출간된 프란쯔 푸르거 교수의 『그리스드교 사회윤리』를 번역한 책으로 그리스도교 사회윤리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조직신학에 속하는 하나의 학과목으로 신학과 철학, 윤리학, 사회학 등 여려 영역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학문으로서 개념과 체계를 설명하고 있다.

목차

옮긴이의 글
추천사
머리말

I. 서문

1. 사람은 공동체적 존재
2. 사회윤리 - 사회적 관심사에 대한 역동적 신학
3. 개요와 중점

II. 사회윤리 - 신학의 도전

1. 예수 복음의 요청
2. 인도적 발의와 초기 제도들
3. 늦어진 출발
4. 19세기 사회문화적 환경 - 개요

III. 그리스도교 사회윤리 이론들

1. 가톨릭 사회론 - 여러 발전 단계들과 역사적 다양성을 지닌 하나의 길
2. “종교 사회주의”
3. 젊은 교회의 새로운 추진력과 사회윤리의 종합(Synthese)을 위한 표지

IV. 사회 환경

1. 현대사회의 정신사적 풍토
2. 현재 사회 현실의 정치적 특성

V. 그리스도교 사회윤리의 구상과 전제

1. 인간학적 전제 - 사람은 “정치적 동물”
2. 방법론적 정당성
3. 역동적인 자연법 경향 - 그리스도교 사회윤리의 보편 윤리적 논증
4. 철학적 정당성을 갖는 신학적 사회윤리

VI. 사회 원리들, 기본원칙들, 규범들

1. 그리스도교 사회질서의 핵심 - 정의
2. 사회윤리의 주요 원리들(Leitprinzipien)
3. 인권의 규범적 원칙
4. 그리스도교 특수성에 관한 문제

VII. 인권에 입각한 오늘날 사회의 모습

1. 민주주의 건설
2. 사회 하위조직들의 그물망

VIII. 사회윤리 - 오늘날에도 중요한가? 정치, 경제, 과학과 사회윤리의 대화

1. 개인에 관련되는 공동선 - 사회윤리의 목표 설정을 위한 요인들
2. 정의를 통한 평화 보장 - 정치의 핵심
3. 생계 보장과 경제적 안정
4. 과학기술과 연구에서 꿈의 실현 가능성이 갖는 한계
5. 사회윤리 - 오늘날에도 중요한가?

사항 색인
인명 색인

저자소개

프란쯔 푸르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 사제서품 1967년부터 스위스 루체른 대학의 가톨릭 신학과에서 윤리철학과 도덕신학의 교수를 지내며 사회윤리 연구소를 설립했다. 1987년 이후로 독일 뮌스터 대학 가톨릭 신학과의 “사회윤리” 교수이자, “그리스도교 사회과학 연구소”(Institut fur Christliche Sozialwissenschaften)의 소장을 지냈다. 이 외에도, 스위스의 의학 아카데미에서 자연과학의 윤리적 문제점에 관한 연구위원, 스위스 그리스도교 기업가 연합(VCU)의 고문, 스위스 가톨릭 신학 위원회 의장으로 제3세계에 관한 문제에 몰두했으며, 독일 주교회의의 사회복지 위원회와 신앙 위원회의 자문의원, 유럽회의의 생명의학 진보(CAHBI)를 위한 전문위원회의 자문의원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Was Ethik begrundet - Deontologie oder Theologie. Hintergrund und Tragweite einer Moraltheologischen Auseinandersetzung』(1984), 『Menschenrechte und katholische Soziallehre』(1985), 『Weltgestaltung aus Glauben』(1989), 『Einfurung in die Moraltheologie』(1991), 『Moral oder Kapital. Grundlage der Wirtschaftsethik』(1992), 『Politik oder Moral. Grundlage einer Ethik der Politik』(1994) 외 다수의 단행본과 논문, 강연집이 있다.
펼치기
심현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 가톨릭 신학과에서 사회윤리를 전공하고, “글로벌 문화와 지역 문화 간의 관계”에 대해 박사학위 논문을 썼다. 현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대우교수,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독일 Ordo Socialis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그리스도교 사회윤리 기초』(분도, 2009), 역서로는 『가정윤리』(가톨릭대학교출판사, 2007), 논문으로는 「가톨릭의 평화 사상과 평화권 연구」(가톨릭철학), 「아시아 평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아시아 주교회의 연합의 역할 모색 」(신학과 철학), 「기본소득과 노동소득 사이의 분배 정의」(윤리연구), 「포스트휴머니즘의 기회와 위기」(생명연구)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리스도교 사회과학과 가톨릭 사회론이 그리스도교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이유는, 그 이론들이 늘 일정한 가치를 갖는 복음의 세계관에 의해 방향을 잡고 본질적으로 비판적이기 때문이다.


윤리 신학적 고찰과 사목적 고찰은 19세기 말경 산업 노동자의 불행에 대한 반응으로서, 말하자면 시대적 요구의 반응으로서 등장하면서 본연의 사회윤리를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이런 고유한 역사적 발전을 배경으로 오늘날 사회윤리는 그 자체에 안주하지 않는 개방된 이론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회윤리의 고유한 전통에 대한 역동적 신뢰 안에서 젊은 교회들과 교회일치의 경향들에 대한 존중은 앞으로 사회윤리의 지속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해줄 것이다.


규범을 찾는 일에서 그리스도교 사회윤리의 특수한 과제는 그리스도교 인간관에서 출발하는 사회윤리의 토대에 대한 확신을 윤리적으로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동시에 역사와 문화를 초월한 인간 존엄과 공동선, 보조성과 연대성의 원리를 방안 제시의 토대로서 담론으로 이끌어 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