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9888352
· 쪽수 : 387쪽
· 출판일 : 2024-06-05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추천사
머리말
I. 서문
1. 사람은 공동체적 존재
2. 사회윤리 - 사회적 관심사에 대한 역동적 신학
3. 개요와 중점
II. 사회윤리 - 신학의 도전
1. 예수 복음의 요청
2. 인도적 발의와 초기 제도들
3. 늦어진 출발
4. 19세기 사회문화적 환경 - 개요
III. 그리스도교 사회윤리 이론들
1. 가톨릭 사회론 - 여러 발전 단계들과 역사적 다양성을 지닌 하나의 길
2. “종교 사회주의”
3. 젊은 교회의 새로운 추진력과 사회윤리의 종합(Synthese)을 위한 표지
IV. 사회 환경
1. 현대사회의 정신사적 풍토
2. 현재 사회 현실의 정치적 특성
V. 그리스도교 사회윤리의 구상과 전제
1. 인간학적 전제 - 사람은 “정치적 동물”
2. 방법론적 정당성
3. 역동적인 자연법 경향 - 그리스도교 사회윤리의 보편 윤리적 논증
4. 철학적 정당성을 갖는 신학적 사회윤리
VI. 사회 원리들, 기본원칙들, 규범들
1. 그리스도교 사회질서의 핵심 - 정의
2. 사회윤리의 주요 원리들(Leitprinzipien)
3. 인권의 규범적 원칙
4. 그리스도교 특수성에 관한 문제
VII. 인권에 입각한 오늘날 사회의 모습
1. 민주주의 건설
2. 사회 하위조직들의 그물망
VIII. 사회윤리 - 오늘날에도 중요한가? 정치, 경제, 과학과 사회윤리의 대화
1. 개인에 관련되는 공동선 - 사회윤리의 목표 설정을 위한 요인들
2. 정의를 통한 평화 보장 - 정치의 핵심
3. 생계 보장과 경제적 안정
4. 과학기술과 연구에서 꿈의 실현 가능성이 갖는 한계
5. 사회윤리 - 오늘날에도 중요한가?
사항 색인
인명 색인
책속에서
그리스도교 사회과학과 가톨릭 사회론이 그리스도교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이유는, 그 이론들이 늘 일정한 가치를 갖는 복음의 세계관에 의해 방향을 잡고 본질적으로 비판적이기 때문이다.
윤리 신학적 고찰과 사목적 고찰은 19세기 말경 산업 노동자의 불행에 대한 반응으로서, 말하자면 시대적 요구의 반응으로서 등장하면서 본연의 사회윤리를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이런 고유한 역사적 발전을 배경으로 오늘날 사회윤리는 그 자체에 안주하지 않는 개방된 이론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회윤리의 고유한 전통에 대한 역동적 신뢰 안에서 젊은 교회들과 교회일치의 경향들에 대한 존중은 앞으로 사회윤리의 지속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해줄 것이다.
규범을 찾는 일에서 그리스도교 사회윤리의 특수한 과제는 그리스도교 인간관에서 출발하는 사회윤리의 토대에 대한 확신을 윤리적으로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동시에 역사와 문화를 초월한 인간 존엄과 공동선, 보조성과 연대성의 원리를 방안 제시의 토대로서 담론으로 이끌어 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