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88989899655
· 쪽수 : 379쪽
· 출판일 : 2003-10-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장 - 화랑도, 새로운 역사로의 전환
1. 화랑의 역사를 알 수 있게 한 <화랑세기>
2. 지금까지 화랑의 역사 읽기와 그 문제
3. 화랑도 읽기와 새로운 역사로의 전환
4. 이 책에서 다루려는 내용과 관점
제1장 골품제 사회의 화랑도
1. 화랑도와 골품
2. 골품과 풍월주의 세계·세보
1) 세계-골품의 좌표
2) 세보-신라인의 연결망
3) 풍월주 세습 가문의 존재
3. 신라 친족 체계와 화랑도
1) 종모성으로 본 부계 혈족 집단
2) 풍월주 지위의 계승
3) 출생과 골품
4) 혼인과 출생
4. 화랑도와 재용
5. 화랑도의 사랑
6. 화랑도와 주색
제2장 화랑도의 설치와 기원
1. 화랑도의 설치
2. 화랑도의 기원
1) 화랑도의 기원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그 문제
2) 화랑도의 기원으로서 선도
제3장 화랑도 조직의 큰 줄거리
1. 화랑도의 종류
2. 화랑도와 왕정의 관계
3. 낭적의 존재
4. 화랑도 조직의 역사적 발전
5. 선문과 낭문
6. 선로와 가물
7. 화랑도 조직의 정체
1) 화랑
2) 낭두
3) 낭도
4) 국선
5) 원화
6) 상선
7) 화랑도와 관련된 여자들
제4장 화랑도 조직의 운용
1. 낭정의 존재
1) 낭정의 운용
2) 지방 낭정
2. 화랑도가 되는 길
3. 자립일문한 화랑들
1) 문노의 경우
2) 춘추공을 둘러싼 세력
4. 화랑도 간의 관계
1) 화랑도 관의 애 - 형제애
2) 평생을 이어간 화랑들의 관계
3) 화랑 간의 종과 속 관계
4) 불신지신과 방외우
5. 화랑도를 거느리는 방법
1) 일반적인 방법 - 형제애·중망·의리
2) 행뢰와 산재
6. 화랑도제의 운용
1) 화랑도의 승진
2) 화랑도의 임기
3) 화랑도의 능력·실력·모습
4) 풍월주의 임명과 왕
5) 풍월주의 퇴임
6) 풍월주의 임명과 퇴임 절차
7) 낭도의 해산
8) 화랑정신
7. 화랑도의 낭정·낭권 장악
1) 낭정의 공과 사
2) 화랑도의 낭정·낭권 장악
3) 화랑도와 조정
8. 폐정 개혁
9. 무너진 낭정
제5장 화랑도의 활동
1. 화랑도 9부의 활동
2. 화랑도가 배우고 익힌 것들
1) 화랑도가 배웠던 것들
2) 궁마와 검
3) 향가와 노래
4) 주행천하
3. 화랑도의 군사 활동
1) 화랑도와 전쟁
2) 반란 진압에 나선 화랑도
3) 반란을 일으킨 화랑도
4) 왕의 폐위에 가담한 화랑도
4. 화랑도의 종교 활동
1) 신들의 나라, 신국의 화랑들
2) 신선의 진도, 우주 청원의 기를 찾는 화랑도
3) 화랑도와 불교
4) 화랑도와 유·불·선 3교의 관계
5) 김유신에 대한 신비화
5. 화랑도와 공·사 활동
1) 사적인 활동 - 사신이 된 화랑들
2) 공적인 활동 - 화랑도와 관위·관직
6. 퇴임 화랑도의 활동
제6장 화랑도의 파맥
1. 파맥의 정사를 밝힌 까달
2. 파맥의 형성과 전개
3. 파맥과 낭정 장악
4. 파맥 화합 노력
제7장 화랑도의 대변동
1. 삼간의 등장과 낭정의 무너짐
1) 삼간의 등장
2) 홈돌 등 삼간의 세력 배경
3) 삼간으로 인해 무너진 낭정
2. 홈돌의 난과 화랑도의 폐지·부활
보론 - <화랑세기>에 대한 사료 비판
1. <화랑세기> 위작설과 그 문제
2. 고려·조선의 역사가와 다른 박창화
3. <화랑세기>가 가지는 서사로서의 의의
4. <화랑세기>의 사서로서의 한계
집필후기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