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雜多: [잡다]](/img_thumb2/978899042907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90429070
· 쪽수 : 285쪽
· 출판일 : 2003-05-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나를 자극하고 매혹시켰던 문화적 텍스트들
'해질 녘의 감수성'속에 펼쳐지는 386세대의 내면풍경 - 봄여름가을겨울의 'Bravo, my life'
우리는 여전히 운명적 사랑을 갈망한다 - 드라마 '겨울연가'
일반대중의 분노 섞인 풍자가 가지는 힘 - 배칠수의 개그 파일
고물창고와 박물관 사이를 오가는 우리 시대의 문화 - 복고의 문화적 의미
인간은 잡종이다 - 오시이 마모루의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
흐린 날 블루스에 젖어 - 블루스 키타리스트 채수영
공부는 결코 사치가 아니다 - 수유 연구실 + 연구공간 너머
스포츠인가, 쇼 비즈니스인가 - 프로레슬링에 대한 단상
혁명이 사라진 시대의 분출구 - 축구에 대하여
일본 음악 마니아는 매국노다? - 우리가 일본 음악을 수용해야 하는 이유
종로서적, 그 추억의 사라짐에 관하여 - 종로의 문화적 상징, 종로서적
제대로 한번 미쳐보자 - 광장의 의미론
한국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승리 - 이성강의 애니메이션 '마리 이야기'
셜록 홈즈와 아르센 뤼팽의 부활 - 추리소설의 문화적 의미
공유와 복제의 딜레마 - 소리바다의 불법 복제 문제
영원히 비기기 위한 인간과 자연의 싸움 - 미야자키 하야오의 '모노노케 히메'
인간 복제의 불가능성을 꿈꾸며 - 인간 복제에 대하여
노인 문제를 바라보는 문화적인 시선들 - 영화 '죽어도 좋아'와 만화 <로망스>
조용필의 오빠부대부터 god의 팬픽까지 - 팬픽과 팬덤, 새롭게 떠오르는 10대들의 팬 문화
단순한 말장난인가, 새로운 언어의 출현인가 - 인터넷상의 외계어에 관하여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이다 - 미디어와 맥루언
스타크래프트, 또는 디지털 게임의 고향 - 프로게이머의 등장과 게임 인구의 확대
산방山房의 행자들, 사이버 공간 속으로 뛰어들다 - '아햏햏'의 문화적 의미
나를 키운 건 팔 할이 폭력이다? - 조폭 영화의 유행에 대해
명품을 둘러싼 상류층과 중산측의 숨바꼭질 - 명품 신드롬에 관하여
메타 개그의 새 장을 연 '우격다짐' - '개그콘서트'의 이정수
크라잉넛에서 흐지부지까지 - 한국 록을 다시 말한다
두 거장과의 행복한 만남 - 신중현과 조지 벤슨
드러냄과 숨김의 광고 미학 - 티저 광고와 타이업 전략
남자도 수다스러워질 필요가 있다 - 슈바니츠의 <남자>와 워렌 패럴의 <남자 만세>
광화문에서 발견한 정감의 정치학 - 촛불 시위를 바라보며
즐거운 혼돈과 무질서 - 2002년은 대중축제의 원년
섹스 어필? No! 푼수 이미지? Yes! - 장나라의 탈성화 전략의 성공신화
차별이 아닌 차이의 문화적 표지 - 사투리의 부활
"내 아~를 나도" - '개그콘서트'의 생활 사투리
'무뇌충'을 아십니까 - 문희준의 로커 발언 소동
왜 불편하지 않고 불안한가 - 인터넷 마비 사태와 네트워크
폭소에서 냉소로 웃음의 코드가 바뀌고 있다 - '개그콘서트'가 보여주는 가벼움의 미학
염소 목의 방울 떼기 - 성석제가 보여주는 불법不法의 역설
과외의 문화적 의미 - 영화 '동갑내기 과외하기'와 이광수의 <무정>
모던보이와 모던걸의 데이트는 어땠을까? - 신명직의 <모던뽀이, 경성을 거닐다>
낭만파 주먹에 대한 향수 - 드라마 '야인시대'
가짜 성해방론자를 위하여 - 박지윤의 노래 '할 줄 알어?'
디지털 시대의 어른들을 위한 장난감 - 디지털 카메라의 문화적 의미 (상)
일상을 새롭게 발견하고 표현한다 - 디지털 카메라의 문화적 의미 (하)
스타일의 정치학 - 패션의 사회적 의미
지구인들이 외면한 지구 구출 프로젝트 - 영화 '지구를 지켜라'
사이버 문학을 통한 새로운 출판유통 방식의 출현 - 귀여니의 <그 놈은 멋있었다>
함께 늙어갈 밴드가 있다는 것은… - 델리스파이스의 공연을 보고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