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9109427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08-02-13
책 소개
목차
- 머리글
1. 매체, 철학적으로 읽기
1. 매체는 단순히 의사소통의 매개가 아니다
2. ‘핫 미디어’와 ‘쿨 미디어’ 나누기
3. 칸트 철학으로 본 매체의 분류
2. 디지털 매체와 가상현실, 그리고 디지털 이미지
1. 가상현실의 가상성과 현실성
2. 디지털 이미지의 존재론
3. 가상현실의 긍정과 부정
3. 매체예술과 이미지의 변화-들뢰즈와 매체예술
1. 매체예술이 가져온 ‘이미지’의 변화
2. 문자로부터 이미지로-이미지의 탈서사화
3. 매체예술, 영화, 그리고 운동 이미지
4. 하이테크놀로지 기계의 비선형성과 매체, 그리고 이미지
1. 근대적 기계와 문자의 패러다임
2. 차이와 반복의 메커니즘으로서의 기계 혹은 기계성
3. 하이테크놀로지 기계와 이미지의 패러다임
5. 프리드리히 키틀러와 아날로그 매체-축음기와 영화
1. 매체란 기록양식이다
2. 기록양식1800-낭만주의와 문자의 시대
3. 기록양식1900-모더니즘의 시대
3.1. 축음기와 실재의 패러다임
3.2. 영화와 가상의 패러다임
6. 매체예술과 탈장르화-‘사운드 아트’의 철학적 의미
1. 진부한 도식의 탈피와 예술의 탈장르화
2. 뵈메의 확장된 미학과 사운드 아트의 현대성
3. 모더니즘 허물기-탈장르화를 통한 소리와 이미지의 결합
(소리의 이미지‘되기’ 혹은 이미지의 소리‘되기’)
-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맥루언의 특이성은 과거에는 단순히 기술적인 발명물이나 특정한 대상으로 한정하여 보았던 매체를 인간의 사고나 상호관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확장시켰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이성은 맥루언이 미디어를 '핫 미디어'와 '쿨 미디어'로 분류하는 과정에서 가장 극적으로 드러난다.-p44 중에서
하이테크놀로지의 기계 개념이 근대적 기계 개념과 다른 비선형적인 특성을 지니며 스스로 변형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이라는 사실은 바로 기계를 활용한 예술들 속에서 반성적으로 드러난다. 이른바 매체 예술은 문자의 선형성과 고정성(변형 불가능성)에 대한 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문자에 대립되는 비선형적이고 변형 가능한 이미지를 표현한다.-p139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