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8899109598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2-07-0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적정기술 개발은 발전을 위한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 | 홍성욱
1장 적정기술과의 만남 | 홍성욱
1. 적정기술이란
2. 적정기술이 걸어온 길
3. 인간 중심의 기술
2장 적정기술과 디자인의 만남 | 정인애
1. 적정기술의 잃어버린 고리
2.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 변화
3. 사례를 통해보는 적정기술과 디자인의 만남
4. 새로운 디자인 동향
5. 고리를 연결하여 통합 디자인으로
3장 적정기술과 비즈니스의 만남 | 김정태
1. 시장 중심 적정기술의 필요성
2. BOP 시장 중심 적정기술 개발 통합모델
3. 비즈니스를 통한 적정기술 접근 사례: 캄보디아 솔라쿠커를 중심으로
4. 소외된 90%를 위한 비즈니스를 위해
4장 지속가능한 발전과 적정기술의 만남 | 김주헌
1.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2. 개발도상국/저개발국 지원의 필요성
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적정기술 모델: 빈곤층을 포함한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4. 적정기술 관련 파이낸스 메커니즘
5. 빈곤층을 포함한 혁신을 위해
5장 적정기술과 국제개발협력의 만남 | 하재웅
1. 적정기술을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2. 선진국의 적정기술을 활용한 국제개발협력 사업
3. 한국의 적정기술을 활용한 국제개발협력 사업
4.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국내의 적정기술 활성화 방안
6장 국제 자원활동과 적정기술의 만남 | 한재윤
1. 국제 자원활동이란
2. 현재의 단기국제 자원활동의 한계 및 문제점
3. 단기국제 자원활동과 적정기술의 융합
4. 단기국제 자원활동과 적정기술의 융합 사례
5. 단기국제 자원활동과 적정기술의 융합을 위한 과제
6. 창의적인 도전의 필요
에필로그 | 적정기술은 세계관이자 플랫폼이다 | 김정태
참고 주
지은이 후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적정기술에서는 '만남'이 매우 중요하다. 적정기술이 현지에 잘 정착되기 위해서는 적정기술을 현지에 제공하려는 사람과 적정기술의 수요자인 현지인과의 허심탄회한 만남이 필수적이다. 현지에 대한 정확한 문제 파악이 선행되지 않으면 현지인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면서도 지속가능한 적정기술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적정기술 개발은 발전을 위한 '수단'이고 '도구'이지 개발 자체가 최종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하면 적정기술 개발은 '발전을 위한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정기술'이 '디자인', '비즈니스', '국제개발협력' 등의 다양한 영역과 서로 만나야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