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기술과의 만남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기술과의 만남

(Appropriate Technology)

적정기술미래포럼, 김정태, 김주헌, 홍성욱, 정인애, 하재웅, 한재윤 (지은이)
에이지21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기술과의 만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기술과의 만남 (Appropriate Technology)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8899109598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2-07-03

책 소개

적정기술의 다양한 접점을 소개한 책으로, 적정기술이 지닌 의미가 단지 '기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의미와 넓은 활용 범위를 지닌 것임을 이야기 하고 있다. 이 책은 모두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1장에서는 적정기술의 의미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고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적정기술의 역사에 대해서 살펴본다. 2장에서 6장까지는 적정기술과 디자인, 적정기술과 비즈니스, 적정기술과 지속가능발전, 적정기술과 국제개발협력, 적정기술과 국제 자원활동이 어떤 연관성이 있으며 어떻게 협력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목차

프롤로그 | 적정기술 개발은 발전을 위한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 | 홍성욱

1장 적정기술과의 만남 | 홍성욱
1. 적정기술이란
2. 적정기술이 걸어온 길
3. 인간 중심의 기술

2장 적정기술과 디자인의 만남 | 정인애
1. 적정기술의 잃어버린 고리
2.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 변화
3. 사례를 통해보는 적정기술과 디자인의 만남
4. 새로운 디자인 동향
5. 고리를 연결하여 통합 디자인으로

3장 적정기술과 비즈니스의 만남 | 김정태
1. 시장 중심 적정기술의 필요성
2. BOP 시장 중심 적정기술 개발 통합모델
3. 비즈니스를 통한 적정기술 접근 사례: 캄보디아 솔라쿠커를 중심으로
4. 소외된 90%를 위한 비즈니스를 위해

4장 지속가능한 발전과 적정기술의 만남 | 김주헌
1.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2. 개발도상국/저개발국 지원의 필요성
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적정기술 모델: 빈곤층을 포함한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4. 적정기술 관련 파이낸스 메커니즘
5. 빈곤층을 포함한 혁신을 위해

5장 적정기술과 국제개발협력의 만남 | 하재웅
1. 적정기술을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2. 선진국의 적정기술을 활용한 국제개발협력 사업
3. 한국의 적정기술을 활용한 국제개발협력 사업
4.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국내의 적정기술 활성화 방안

6장 국제 자원활동과 적정기술의 만남 | 한재윤
1. 국제 자원활동이란
2. 현재의 단기국제 자원활동의 한계 및 문제점
3. 단기국제 자원활동과 적정기술의 융합
4. 단기국제 자원활동과 적정기술의 융합 사례
5. 단기국제 자원활동과 적정기술의 융합을 위한 과제
6. 창의적인 도전의 필요

에필로그 | 적정기술은 세계관이자 플랫폼이다 | 김정태
참고 주
지은이 후기

저자소개

김정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월급만으로는 구성원들에 대한 회사의 마음을 전달하기 충분치 않아 ‘어떻게 하면 급여명세서 경험을 새롭게 할 수 있을까?’라는 디자인씽킹 질문을 도출, 2018년 1월부터 매월 20일 급여명세서 편지 쓰기를 계속하고 있다. 사회혁신가(social innovator)라 불리기를 가장 좋아하며 국내 최초의 사회혁신 컨설팅 ‘임팩트투자사 엠와이소셜컴퍼니(MYSC)’ 대표를 맡고 있다. 학부에서 역사를 전공했고, 국제기구학 석사와 사회적기업가정신 석사 학위를 받고 현재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사회혁신 박사과정에서 사회혁신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유엔에서 일을 하며 깊게 이해하게 된 사회환경 문제가 비즈니스 혁신의 원천이 되며, 비즈니스와 투자를 통해 더욱 혁신적, 지속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저서로는 경제경영 베스트셀러 『스토리가 스펙을 이긴다』 등 다수의 저서와 번역서가 있다. facebook.com/Thesocialentrepreneurship/ @able_jeongtae linked/in/jeongtaekim
펼치기
김주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ASEM 중소기업 녹색혁신센터에서 태양열 조리기 등의 적정기술을 이용해 캄보디아 지역 기업가 정신을 고양시키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 제네바 사무소에서 녹색경제이니셔티브 컨설턴트로 근무했으며 지속가능한 발전, 국제환경협력,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등의 주제로 강의, 컨설팅 등을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TEEB(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의 경제학)의 한국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저서로 <하루에 국경을 두 번 넘는 사람들> 등이 있다.
펼치기
홍성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교수이자 적정기술ㆍ블록체인연구소장이다. 국내 최초의 적정기술 관련 저널인 《적정기술》의 발행인 겸 편집위원장이기도 하다. 『시민을 위한 테크놀로지 가이드』를 함께 썼고, 옮긴 책으로 『공학은 인류에게 무엇을 줄 수 있나』, 『과학기술로 세상을 바꾸고 싶은 사람들』, 『주가드 이노베이션』, 『검소한 이노베이션』이 있다.
펼치기
정인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혁신 디자인 연구소인 Lovo design의 컨설턴트이며, DOMC(Design Oneness Mission Center)의 창립자이자 최고 공감책임자(Chief Empathy Officer)이다. DOMC는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들기 위하여 미래의 흐름을 연구하고, 창의적이고 독립적인 개인의 능력을 하나로 연결하는 참여와 통합의 디자인 방법으로 사회·환경 문제에 긍정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디자인 사고를 갖춘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 비영리단체이다.
펼치기
하재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는 공학과 인문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는 사회과학인 국제관계학을 전공한 융합형 학력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제워크캠프기구를 운영하고 있는 (사)더나은세상에서 국제개발협력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12년 전 해외봉사에 투신해서 개발 NGO, 국제기구, 정부 원조기관 등에서 현장을 경험했고, 현재는 적정기술 관련 프로젝트에 매진하고 있다. '적정기술을 활용한 효과적인 ODA 활용 방안' 등을 연구했고, 저서로는 <자원활동은 자원봉사가 아니다> 등이 있다. 번역서로 <소외된 90%를 위한 디자인> 등이 있다.
펼치기
한재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환경 교육을 공부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고민하며 다양한 국제 단체와 사회적 기업에서 일한다. 유엔과 국제활동 정보센터(ICUNIA) 공동대표, 유엔 세계 평화의 날 한국위원회 사무차장,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경제학(TEEB) 한국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현재 시민 교육을 개발하는 사회적 기업 ‘시민·되다’의 대표로 활동하며,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글을 쓰고 강의를 하고 있다. 함께 쓴 책으로 《평화를 꿈꾸는 곳 유엔으로 가자》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기술과의 만남》이 있다.
펼치기
적정기술미래포럼 (기획)    정보 더보기
첨단기술 위주의 상위 10%를 위한 기술보다 새로운 생산성을 만들어내는 소외된 90%를 위한 기술에 집중하는 비영리 단체입니다. 적정기술미래포럼에서는 적정기술 플랫폼으로서 적정기술 아카데미, 적정기술 포럼, 적정기술 전시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적정기술의 인지도 제고를 위해서 적정기술 관련 서적을 발간하고 있으며, 적정기술 관련 연구개발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www.approtech.or.kr E-mail: register@approtech.or.kr Twitter: @Approtec Facebook: www.facebook.com/approtec
펼치기

책속에서

적정기술에서는 '만남'이 매우 중요하다. 적정기술이 현지에 잘 정착되기 위해서는 적정기술을 현지에 제공하려는 사람과 적정기술의 수요자인 현지인과의 허심탄회한 만남이 필수적이다. 현지에 대한 정확한 문제 파악이 선행되지 않으면 현지인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면서도 지속가능한 적정기술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적정기술 개발은 발전을 위한 '수단'이고 '도구'이지 개발 자체가 최종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하면 적정기술 개발은 '발전을 위한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정기술'이 '디자인', '비즈니스', '국제개발협력' 등의 다양한 영역과 서로 만나야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