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91124523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07-03-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조직경영·자기경영·인생경영의 도, 오륜서 / 공병호
<오륜서>에 관하여
미야모토 무사시의 생애
시대적 배경
연보
땅의 장
- 공병호가 본 땅의 장
물의 장
- 공병호가 본 물의 장
불의 장
- 공병호가 본 불의 장
바람의 장
- 공병호가 본 바람의 장
공의 장
- 공병호가 본 공의 장
책속에서
사물을 보는 눈은 관(觀)과 견(見)의 두 가지 눈이 있다. 관의 눈이라 함은 상대방의 생각을 간파하는 마음의 눈을 말하며, 견의 눈이라 함은 육안으로 상대의 현상을 보는 것을 이른다. 싸울 때는 관의 눈을 크게, 견의 눈을 작게 뜨고서 먼 곳을 정확하게 포착하고, 가까운 곳의 움직임을 통하여 대국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병법에서는 상대의 눈과 칼끝, 주먹의 움직임을 통하여 상대의 마음을 정확히 읽어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적의 칼끝 움직임을 잘 파악하여 적의 표면적인 행동에 조금도 현혹되지 않는 것이 병법의 주안점이다. -본문 중에서
상대를 예의주시하고 본질을 찾아내야 한다. 누구나 볼 수 있는 것들에 현혹되어서는 안 된다. 육체의 눈이 아니라 마음의 눈으로 사물이나 현상을 주시하면서 본질을 꿰뚫을 수 있어야 한다. 시야가 좁은 사람은 육체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에 만족하지만 이것은 대개 피상적인 가능성이 높다. 마음의 눈으로 “먼 곳을 가깝게 보고 가까운 것을 멀리 볼 줄 알게 되면”, 그때 비로소 문제의 핵심을 간파할 수 있을 것이다. 눈에 보이는 자질구레한 것들에 현혹되어 시간과 자원을 낭비하지 말아야 한다. 어떤 일이든 실천에 들어가기 전에 본질이 무엇인가를 정확하게 간파할 수 있는 능력을 닦아 나가야 한다. -본문 중에서



















